$\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외선 경화형 2-EHA/AA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실리카 함량 및 경화제 효과
Effect Of Silica Concentration and Crosslinking Agent on Adhesion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UV Cured 2-EHA/AA PSA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6 no.2, 2015년, pp.55 - 62  

김호겸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외선 경화를 통한 2-EHA/AA 점착제 제조 시 나노 충전제로 실리카를 도입하는 경우 실리카의 표면 처리 여부와 실리카 함량이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반복단위 길이를 가진 경화제에 따른 실리카의 보강 효과 차이도 관찰하였다.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경우 실리카 표면과 고분자 매트릭스 간 계면 상호 작용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내 분산 정도를 높여 겔 함량의 저하 없이 0.3 wt%의 농도까지 점착 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화제로 PEGDMA를 사용할 때 분자 내 상대적으로 긴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에 기인하는 분자 유연성으로 EGDMA를 사용한 계에 비해 실리카 보강 역할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 분해 후 잔존량을 통해 실리카와 고분자 간 강한 계면 결합으로 인한 열 장벽 효과로 점착제의 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and concentration of fumed silica on the adhesion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2-EHA/A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s) prepared by UV irradiation. The influence of repeating units of crosslinking agent on PSAs were also studi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외선 조사에 의한 2-EHA/AA 점착제를 제조하고 여기에 실란 화합물로 표면 처리한 실리카를 나노충전재로 첨가했을 때 실리카의 농도가 점착제의 점착 물성과 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때 분자 내 반복 단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 관능성 단량체인 EGDMA와 PEGDMA를 경화제로 각각 사용하였을 때 경화제의 종류에 따른 각종 물성의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실란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경우 실리카 표면에 도입된 C=C 이중결합과 고분자 간 화학 반응으로 상용성이 증대되어 고분자 매트릭스 내 균일하게 분산되었으며 미 분산된 실리카 응집체에 의한 겔 함량의 저하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 자외선 조사에 의한 2-EHA/AA 점착제를 제조하고 여기에 실란 화합물로 표면 처리한 실리카를 나노충전재로 첨가했을 때 실리카의 농도가 점착제의 점착 물성과 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때 분자 내 반복 단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 관능성 단량체인 EGDMA와 PEGDMA를 경화제로 각각 사용하였을 때 경화제의 종류에 따른 각종 물성의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크릴 단량체로 제조된 점착제에서 자외선에 의한 중합반응에 대한 장점은 무엇인가? 점착제의 물리, 화학적 그리고 기계적 특성은 아크릴 공중합체에 도입되는 가교제의 종류와 함량에 크게 의존하며, 생성된 가교 구조는 고분자 사슬 간 광범위한 화학적 결합을 통해 고분자의 유동성을 억제하여 전단 및 박리 강도 (peel strength)을 증가시키고 열 안정성을 높이는 반면 초기접착력(tack)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존의열 경화에 비해 자외선(UV, ultraviolet)에 의한 경화방법은 상대적으로 환경친화적이고 더 빠른 경화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그리고 저온 경화가 가능하다는 점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코팅, 점착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3차원 정밀 금형 설계 및 레이저 기록 물질 등의 분야에 많이 사용된다[4,5].
점착제란? 감압성 점착제 또는 점착제(PSA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가벼운 압력 하에서 고체 기질(substrate) 표면에 강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점탄성 고체 물질을 말한다[1]. 점착제는 의료 산업에서 부터 전자부품, 건축, 자동차 산업 및 테이프, 라벨, 장식용 필름과 같은 사무용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1-3].
점착제가 사용되는 분야는? 감압성 점착제 또는 점착제(PSA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가벼운 압력 하에서 고체 기질(substrate) 표면에 강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점탄성 고체 물질을 말한다[1]. 점착제는 의료 산업에서 부터 전자부품, 건축, 자동차 산업 및 테이프, 라벨, 장식용 필름과 같은 사무용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 Pang, C. M. Ryu, and H. I. Kim, Mat. Sci. and Eng., B178, 1212 (2013). 

  2. Y. S. Lee, J. K. Ha, and E. S. Lee, J. Adhesion and Interface, 9, 22 (2008). 

  3. D. Satas, Handbook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Third ed., New York, Reinhold (1999). 

  4. Z. Czech, Int. J. of Adhes. & Adhes., 24, 503 (2004). 

  5. Z. Czech, Politechnika Szczecinska, Szczecin (1999). 

  6. A. Kaboorani and B. Riedl, Composites, A, 42, 1031 (2011). 

  7. H. Dodiuk, S. Kenigm, I. Dotan, and A. Buchman, Int. J. Adhes. Adhes., 25(3), 211 (2005). 

  8. E. S. Park, H. D. Hwang, C. H. Park, Y. H. Lee, J. I. Moon, and H. J. Kim, J. Adhesion and Interface, 12, 47 (2011). 

  9. P. S. Kim, S. M. Lee, S. H. Jung, and W. K. Lee, J. Adhesion and Interface, 14, 191 (2013). 

  10. T. Y. Wei, T. F. Chang, S. Y. Lu, and Y. C. Chang, J. Am. Ceram. Soc., 90, 2003 (2007). 

  11. S. D. Bhagat, C. S. Oh, Y. H. Kim, Y. S. Ahn, and J. G. Yeo,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100, 350 (2007). 

  12. N. Y. Kim and S. W. Kim, J. of Kor. Oil Chemists' Soc., 29(1), 141 (2012). 

  13. S. J. Park, K. S. Cho, and M. Zaborski, Polymer(Korea), 26(4), 445 (2002). 

  14. L. Bokobza, L. Ladouce, Y. Bomal, and B. Amram, J. Appl. Polym. Sci., 82, 1006 (2001). 

  15. H. Ismail, U. S. Ishiaku, Z. A. M. Ishak, and P. K. Freakley, Eur. Polym. J., 33(1) (1995). 

  16. S. W. Jin, K. H. Yu, and H. I. Kim, Polymer(Korea), 28(6), 487 (2004). 

  17. A. K. Sing, D. S. Mehra, U. K. Niyogi, S. S. Sabharwal, J. Swiderska, Z. Czech, and R. K. Khandal, Int. J. of Adhes. & Adhes., 41, 73 (2013). 

  18. H. G. Kim and K. E. Min, Polymer(Korea), 39(2), 281 (2015). 

  19. H. H. Joo, C. Y. Park, T. K. Kim, J. H. Chun, W. K. Lee, and S. T. Oh, J. Adhesion and Interface, 11, 106 (2010). 

  20. G. T. Lu and Y. Huang, J. Mater. Sci., 37, 2305 (2002). 

  21. L. J. Kim, H. G. Yoon, S. S. Lee, and J. Kim, Polymer(Korea), 28, 391 (2004). 

  22. G. H. Ryu, Y. L. Liu, and H. H. Liao,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9, 986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