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공간정보의 3차원 가시화 방안 연구
A Study on 3D Visualization Strategy of Cadastral Spatial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2 no.4 pt.2, 2014년, pp.413 - 420  

김재인 (Dep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김태정 (Dep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배상근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정동훈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적공간정보는 국민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로서 내재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최근에는 인간의 생활영역 및 권리관계를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3차원 지적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어 향후 이를 이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정보에 대한 직관적인 사고를 용이케 하여 의사결정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가시화 측면에 있어서는 현재 기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들과 함께 이러한 지적공간정보를 지도상에 가시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적공간정보와 기존 3차원 공간정보와의 효과적인 통합을 위한 가시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 조사 및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3차원 지적공간정보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구사항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로부터 사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가시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성과는 향후 지적공간정보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상에서 기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와 통합되는 과정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dastral spatial information closely related to ownership of people is potentially very valuable information. As 3D cadastre has been actively discussed to reflect realistic living territory and legal relationship in recent years, it is highly expected to be created added value before long us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고급의 공간정보로서 현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를 고려하여, 이를 기 구축된 공간정보 오픈 플랫 폼상에서 효과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사례 및 기존 가시화플랫폼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3차원 지적공간정보 가시화시스템이 갖춰야할 요구사항들을 도출하였고, 가시화 시나리오를 통해 구체적인 가시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 본 논문의 의의는 향후 3차원 지적제도가 안착되어 관련 지적공간정보들을 국민들에게 공개할 때를 대비한 가시화 방식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현재 공유와 개방의 단계를 지나 사용자 맞춤형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는 공간정보산업에 있어 본 논문의 가시화 방안은 좋은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절에서는 도출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지적공간정보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기술된다. 기 구축된 공간정보와의 통합적 가시화를 위해 공간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정보와 지적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정보 각각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식의 LOD 기법을 적용하였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해당객체의 상세 속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3차원 지적정보는 이에 부합되는 좋은 대안이라 할 수 있으나, 상술하였듯이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공간정보들과 함께 통합하여 가시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지적제도의 성공적인 안착과 무료로 공개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에 기반한 정보의 공유 및 개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3차원 지적공간정보의 효과적인 가시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 이어질 2장에서는 이와 관련된 기존 선행연구들의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지며, 3장에서는 가시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의 가시화 방안이 제시되고, 4장의 결론으로 끝맺음된다.
  • 0의 관점에서도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절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 공개 가시화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여러 측면에서 각 시스템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능들을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실제 시스템 구현 시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기능들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비교 대상 시스템으로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공간정보란? 지적공간정보는 국민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로서 내재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최근에는 인간의 생활영역 및 권리관계를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3차원 지적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어 향후 이를 이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공간정보의 가시화 기술이란? 공간정보의 가시화 기술은 공간정보기술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정보에 대한 직관적인 사고를 용이케 하여 공간분석과 그에 따른 의사결정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El-Hakim et al., 1998).
지적정보의 2차원적 표현단계에 대한 문제점은? 그러나 이러한 지적정보는 토지의 물리적·권리적·가치적·이용규제적인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어 주로 지적 행정 업무상에 치우쳐 활용되어왔기 때문에 지금까진 정보의 가시화를 통한 공유와 개방적 측면에 있어서 다소 폐쇄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적제도는 2차원에 기반하고 있어 지상으로부터 지하 및 공중공간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인간의 생활영역 및 권리관계를 현실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최근 이러한 지적제도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입체적 토지활동과 이로 인한 복잡한 권리관계를 보다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3차원 지적제도의 도입과 체계 구축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나, 이 또한 기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들과 지도상에 함께 가시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은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aun, C., Kolbe T.H., Lang F., Shickler W., Steinhage V., Cremers A.B., Forstner W., and Plumer L. (1995), Models for photogrammetric building reconstruction, Computer & Graphics, Vol. 19, No. 1, pp. 109-118. 

  2. Dimovski, V., Bundaleska-Pecalevska, M., Cubrinoski, A., and Lazoroska, T. (2011), Web portal for dissemination of spatial data and services for the needs of the agency for real estate cadastr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AREC),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3D Cadastres, 6-18 November, Delft, The Netherlands, pp. 531-542. 

  3. El-Hakim, S., Brenner C., and Roth G. (1998), An approach to creating virtual environments using range and texture, 1998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32, pp. 331-338. 

  4. Gruen, A. and Wang, X. (1998), CC-Modeler: a topology generator for 3D city model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Vol. 53, No. 5, pp. 286-295. 

  5. Hildebrandt, D. and Dollner, J. (2010), Service-oriented, standardsbased 3D geovisualization: potential and challenge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4, No. 6, pp. 484-495. 

  6. Jang, W., Yu, C., and Jeong, D. (2013),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strategies for industrialization of local resources,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Vol. 13, No. 1, pp. 125-147.(in Korean) 

  7. Jeong, D. and Lee, S. (2014), A study on expression of threedimensional right object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Vol. 16, No. 1, pp. 15-2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ninger, A. and Bartel, S. (1998), 3D GIS for urban propose, Geoinformatica, Vol. 2, No. 1, pp. 79-103. 

  9. Park, S., Lee, J., and Lee, H. (2009), 3D cadastre data model in Korea : based on case studies in Seoul,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17, No. 4, pp. 469-481. 

  10. Pouliot, J. (2011), Visualization, distribution and delivery of 3D parcels,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3D Cadastres, 6-18 November, Delft, The Netherlands, pp. 563-574. 

  11. Rahman, A.A., Hua, T.C., and Van Oosterom, P. (2011), Embedding 3D into multipurpose cadastre, 2011 the FIG Working Week, 18-22 May, Marrakech, Morocco, pp. 20-35. 

  12. Shojaei, D., Kalantari, M., Bishop, I.D., Rajabifard, A., and Aien, A. (2013), Visualization requirements for 3D cadastral system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41, pp. 39-54. 

  13. Trias, A., Febri, I., Wirawan, A., and Laksono, D.P. (2011), 3D cadastre web map: prospects and developments,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3D Cadastres, 16-18 November, Delft, The Netherlands, pp. 189-208. 

  14. Vandysheva, N., Ivanov, A., Pakhomov, S., Spiering, B., Stoter, J., Zlatanova, S., and Oosterom, P. (2011), Design of the 3D cadastre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in the Russian federation,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3D Cadastres, 16-18 November, Delft, the Netherlands, pp. 356-376. 

  15. Yang, I., Oh, Y., Yu, Y., and Chun, G. (2004), A selection of building registration method to construct the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cadastral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2, No. 3, pp. 245-25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