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중증 외상환자의 병원 전 요인에 따른 중증 손상의 예측과 손상의 예방
Predictive Indicators for the Severity of Pediatric Trauma and the Prevention of Injuri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e-hospital Factors of Severe Pediatric Trauma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7 no.3, 2014년, pp.43 - 49  

우재혁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양혁준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임용수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조진성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김진주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박원빈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장재호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  이근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raum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for children, and identifying severely injured children quickly in an overcrowded emergency room (ER) is difficult. Therefore, severe injury must be prevented, and the severity of injuries in children must be determined easily from their g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과밀화되고 어수선한 응급실 환경에서 중증의 소아 외상 환자를 조기에 찾아내 치료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소아 외상의 중증도를 낮추고 중증의 외상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외상을 입고 내원한 소아의 간단한 문진 결과와 내원 전 상황 등의 변수 중 중증 환자임을 판단할 수 있는 항목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 외상 환아의 발생이 가장 많은 계절은 언제인가? 중증 외상 환아의 발생 계절을 보면 봄과 여름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날씨가 따뜻하여 바깥 활동이 많아지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에서 실내에서는 경증군의 환자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고 중증군의 외상 환아들이 다친 장소는 70% 가까이가 실외에서 다친 것이었다.
실외에서 발생한 중증군의 외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이번 연구에서 실내에서는 경증군의 환자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고 중증군의 외상 환아들이 다친 장소는 70% 가까이가 실외에서 다친 것이었다. 이러한 실외에서의 손상을 예방하고 중증도를 줄이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한데 Mott 등(9)은 놀이터 바닥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또한 중증 손상이 많이 나타나는 도로에서의 사고를 막기 위해 학교 주변의 어린이 보호구역을 설치해 운영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많이 뛰어 노는 주택가 이면도로나 아파트 주차장 등에도 어린이 보호구역을 확대 설치하고 제도적인 뒷받침을 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아이들의 부모는 소아가 집 밖으로 놀러 나가거나 스포츠 활동 시 안전장구를 반드시 착용시키고 노는 곳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부모는 물론 지나가는 주변 어른들도 아이들을 관찰하여 사고를 막도록 노력해야 한다.
응급실로 내원하는 소아의 수가 증가하게된 배경은 무엇인가? 핵가족화 사회가 되어 가며 부모가 맞벌이 부부라서 외래시간에 아이를 데리고 병원을 내원할 수 없거나, 육아 경험이 없는 아기 엄마들이 아이를 혼자 키우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소아의 울음이나 정확하지 않은 호소에 대해 문의하기 위해 응급실을 많이 내원하여 응급실로 내원하는 소아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1) 좀 더 전문적인 진료에 대한 사회와 보호자의 요구가 늘어나고 소아로 인해 응급실이 과밀화 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2010년부터 보건복지부에서는 소아 전용 응급실을 지정하여 운영케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ee JH, Kim ST, Ko DI, Moon TI, Choo YS, Kim OJ, et al. Assessment of the propriety of separating the pediatric emergency room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3; 14: 366-70.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jury surveillance [Internet]. Chungcheongbuk-do: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accessed 2013 Dec 11]. Available from: http://injury.cdc.go.kr/. 

  3. Haller JA. Problems in children trauma. J Trauma 1970; 19: 551-5. 

  4. Mace SE, Gerardi MJ, Dietrich AM, Knazik SR, Mulligan- Smith D, Sweeney RL, et al C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in children. Ann Emerg Med 2001; 38: 405-14. 

  5. Kim AJ, Baek KJ, Lee JH, Han SB, Lee YJ, Shin DW, et al. Efficacy of injury severity score in pediatric trauma patients admitted via emergency medical center. J Trauma Inj 2001; 14: 15-22. 

  6. Shanon A, Bashaw B, Lewis J, Feldman W. Nonfatal childhood injuries: a survey at the 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Can Med Assoc 1992; 146: 361-5. 

  7. Lee GW, Kim SP, Kim SJ, Cho SH, Cho NS.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Injury in Pediatric Multiple Trauma Patients. J Trauma Inj 2010; 23: 68-74. 

  8. Sawyer JR, Flynn JM, Dormans JP, Catalano J, Drummond DS. Fracture pattern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who fall from significant heights. J Pediatr Orthop 2000; 20: 197-202. 

  9. A, Rolfe K, James R, Evans R, Kemp A, Dunstan F, et al. Safety of surfaces and equipment for children in playgrounds. Lancet 1997; 349: 1874-6. 

  10. You JY, Lee JI, Ryu JY.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Pediatric Trauma Patients under 7 Years. J Trauma Inj 2004; 17: 197-205. 

  11. Kim JW, Cho JP.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Evaluation of Child Hand Injuries. J Korean Soc Emerg Med 2001; 12 : 503-10. 

  12. Lim KS, Kang SJ, Yoo SY, Kim HJ. The Pediatric Trauma Score as a Predictor of Injury Severity in the Injured Child. J Korean Soc Emerg Med 1990; 1: 150-5. 

  13. Park JO. The effect of an age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n the death from the injury in childre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14. Carr BC, Kaye AJ, Wiebe DJ, Gracias VH, Schwab CW, Reilly PM. Emergency Department Length of Stay: a Major Risk Factor for Pneumonia in Intubated Blunt Trauma Patients. J Trauma 2007; 63: 9-12. 

  15. Downing A, Wilson RC, Cooke MW. Which patients spend more than 4 hours in the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J Public Health (Oxf) 2004; 26: 172-6. 

  16. Cowley RA. The resuscitation and stabilization of major multiple trauma patients in a trauma center environment. Clin Med 1976; 83: 16-22. 

  17. Cowley RA. A total emergency medical system for the state of Maryland. Md State Med J 1975; 24: 37-45. 

  18. Jeon HJ, Kim SS, Bae HA, Yoo IY. Utilization Statu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8; 14: 5-13. 

  19. Mintegi S, Shavit I, Benito J; REPEM group (Research in European Paediatric Emergency Medicine). Pediatric emergency care in europe: a descriptive survey of 53 tertiary medical centers. Pediatr Emerg Care 2008; 24: 359-63. 

  20. Eichelberger MR, Gotschall CS, Sacco WJ, Bowman LM, Mangubat EA, Lowenstein AD. A comparison of the trauma score, the revised trauma score, and the pediatric trauma score Ann Emerg Med 1989; 18: 1053-8. 

  21. Kaufmann CR, Maier RV, Rivara FP, Carrico CJ. Evaluation of the Pediatric Trauma Score. JAMA 1990; 263: 69-72. 

  22. Lee SH, Park KH, Park DH, Cho JH, Park HY, Kwon IH, et al. Usefulness of the Pediatric Risk of Mortality Score III as a Predictor of Severity or Mortality for Injured Children. J Korean Soc Emerg Med 2013; 24: 17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