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MD(Visual Merchandising) 운영체계에 따른 VMD 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MD(Visual Merchandising) cognition difference of the VMD operation system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5, 2014년, pp.62 - 75  

김민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이진화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김세희 (부산경상대학교 패션.뷰티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VMD operation strategies in fashion business is growing, and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consumers' VMD cognition of the two VMD operation systems: VMD specialist employment system and VMD outsourcing system. Two SPA brands were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업의 이러한 VMD 운영체계에 따른 VMD 결과물에 대해 소비자들은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긍정적인 인지 결과를 보이는 VMD 운영체계를 지향함으로써 소비자 요구에 부응할 필요성이 있기에, 본 연구는 VMD 운영체계에 따른 소비자의 VMD 인지 차이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VMD 운영체계는, VMD 전문 아웃소싱업체를 통해 시즌별 VMD를 하는 운영체계(VMD 전문 아웃소싱업체 운영체계)와 VMD 전문가를 고용하여 매장에 상주시킴으로써 상시 VMD를 하는 운영체계(VMD 전문가 고용 운영체계) 등의 2가지 대표적인 운영체계로 구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VMD 운영체계에 따른 소비자의 VMD 인지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는 그간 VMD 관련 연구에서 도입하지 않았던 VMD 운영체계를 기준 변수로 도입하여, 그에 따른 VMD 인지 차원 평가 차이를 밝혔다는 공헌점이 있다. 단, 현재 VMD 전문가 고용 운영체계가 SPA 브랜드에서만 도입되고 있어 SPA 브랜드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점은 한계점으로, 향후 해당 운영체계가 일반 내셔널 브랜드 등으로 확대된 이후, VMD 운영체계에 따른 소비자 인지 차이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볼 필요가 있겠다.
  • 이와 같이 전중옥, 박현희14)의 연구가 그간 체계성이 부족했던 VMD 인지 차원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가 여러 선행연구에 활용되어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본 연구에서도 소비자의 VMD 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VMD 인지 측정에 전중옥, 박현희15) 연구에서 추출된 조화성, 매력성, 적합성, 유행성, 기능성 등 5가지 차원을 도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패션업계에서 VMD 투자는 왜 미흡하였는가? 그러나, 그간의 국내 패션업계는 국내 패션기업의 보수적인 성향과 백화점 중심으로 운영되는 유통 상황으로 인해 VMD에 대한 투자가 미흡했던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패션기업들은 최근까지도 VMD팀을 별도로 만들지 않고 마케팅 부서나 MD 부서의 직원들이 VMD를 겸직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객의 입장에서 상품이 잘 팔린다는 것은 무엇인가? 상품이 잘 팔리는 매장을 살펴보면, 상품력도 뛰어나지만 체계적인 VMD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객의 입장에서 봤을 때 상품이 잘 팔린다는 것은 고객에 대한 소구 포인트가 명확하고 고객이 사고 싶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다.2)
패션 매장 내 VMD의 중요성은 왜 부각되는가? 상품을 효과적으로 전시하고 보여줌으로써 판매로 이끄는 것이 궁극적 목표인 패션 매장에서는, 단순히 상품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소비자 니즈를 만족시키고 다양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는 판매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매장 내 VMD(Visual Merchandising)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양진숙 (2011), 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류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pp. 335-344. 

  2. 박현희, 전중옥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 발을 위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0(2), pp. 117-139. 

  3. "VMD넘어 VM으로" (2012. 4. 1), 패션채널, pp. 50-51. 

  4. "SPA브랜드 VMD 같거나 혹은 다르거나" 서세령 (2012. 12. 17), 국제섬유신문. 

  5. 이소은 (2008), 의류 점포의 VMD와 브랜드 인지도에 따른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유영배 (1998), 유통환경디스플레이, 서울: 디자인하우스. 

  7. 심낙훈 (1997), 비주얼머천다이징 & 디스플레이, 서울: 영풍문고. 

  8. 이호정 (2000), 의류상품학, 서울: 교학연구사. 

  9. 장정원 (2007), 소비자들의 VMD 의식성과 구성요소평가가 의복구매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현희, 전중옥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0(2), p. 117. 

  11. 박지민 (2006), 스포츠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태도, 지각된 품질이 VMD 태도와 인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선희, (2013. 12. 19), "미센스 찾아가는 현장교육화제", 어패럴뉴스. 

  13. Tigert, D. J., Ring, L. J., and King, C. W. (1976), Fashion involvement and buying behavior : A methodological stud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 pp. 54-60. 

  14. Zaichkowsky, J. L. (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pp. 341-352. 

  15. Laurent, G., and Kapferer, J. N. (1985),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February), pp. 41-53. 

  16. 최은영 (1990), 의복에 대한 소비자 관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선 (1993),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정복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류은정 (1991), 의복 관여도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은영 (1993), 의복관여에 따른 제품평가기준과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