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영재학생을 위한 학교 학습 경험과 연계된 과학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지질 박물관을 이용하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Scientific Inquiry Program Related to School Science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Using the Geological Museum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8 no.2, 2014년, pp.244 - 256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의 사고 과정에 바탕 둔 박물관을 이용한 지질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 선정에 대해 과학교육전문가 3인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영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4주 14시간 동안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영재학생들은 박물관을 이용한 지질 탐구 프로그램에 대해 흥미를 보였으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영재학생들은 도슨트의 설명을 들으며 탐구활동을 한 것이 기억에 남는다고 하였으며, 과학자들의 탐구 활동을 직접 체험해본 것이 재미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영재담당 교사 또한 영재학생들의 참여도 및 기대감이 높았다고 응답하였다. 또 이번 프로그램이 영재학생들이 과학 탐구에 대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n scientific inquiry program related to school science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development of a program had been used a geological museum. A science inquiry program had developed after verifying a content validity to 3 science educ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에서 이번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추구하면서 형식적 교육에서 부족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육을 명시적으로 다뤄보고자 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과 과학적 태도 변화에 관점을 두고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손정주 등(2009)은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학부모와 학생 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학교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에서 학교교육과의 연계는 지식적 측면 보다는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의 측면 에서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 둘째, 프로그램은 교사, 동료 및 도슨트와의 상호 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고자 한다. 박물관은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므로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이주연 등(2010)에 의하면 도슨트와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제가 발전되며 이것으로 인해 담화는 지체되기 보다는 다양한 주제의 형태를 지니면서 변화, 반복, 진행된다고 보고 하였다.
  • 이 연구는 학교에서 배운 학습 내용과 연계된 박물관을 이용한 지질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지질 탐구 프로그램은 방문 전 학습활동, 박물관 방문활동, 방문 후 학습 활동이라는 3가지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 또한 Hawkey(2001)는 자연사박물관에서 과학의 본성을 다룰 때에는 형식적 과학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과학의 과정과 실제를 포함해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번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추구하면서 형식적 교육에서 부족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육을 명시적으로 다뤄보고자 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과 과학적 태도 변화에 관점을 두고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 손정주 등(2009)은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학부모와 학생 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학교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에서 학교교육과의 연계는 지식적 측면 보다는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의 측면 에서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번에 개발할 프로그램 또한 학생들에게 지식이나 개념을 전달하는 것 보다는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함양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 이번 연구는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관련된 전시물이 있는 박물관을 이용하여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절차는 Fig.
  • 이번 프로그렘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박물관에서 탐구한 내용을 확인하고 확장시키면서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경험시켜주기 위해 여러 가지 탐구 활동을 구성하였다. 예컨대 ‘화석 캐기’ 활동은 초코칩 속의 초코렛 조각을 이쑤시개와 붓을 이용해 캐내면서 과학자들이 화석을 캐낼 때 얼마나 주의 깊게 깨내는지 그리고 붓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게 하고 ‘무슨 공룡일까’의 활동은 과학자들이 발견된 화석과 같은 정보를 이용해 어떻게 추론하는지에 대해 학생들이 단계별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 2004)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연계활동 보다는 독립적인 학교 밖 활동에 중심을 둔 연구만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박물관 견학 활동을 하기 전, 그리고 박물관 견학 활동 중, 견학 활동 후와 관련된 내용 들을 모두 구성함으로써 교실에서의 학습 경험과 학교 밖에서의 학습 경험을 연결한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박물관 관람이 구체적인 목표 없이 일회성 방문으로 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박물관 관람에 대한 사전활동과 사후활동을 연계하여 연령별로 고안된 전시 연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이선경 등(2004)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박물관 관람과 연계된 탐구활동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다른 분야와 달리 지질과 관련된 학습을 교사와 학생 모두가 어려워하고 있다는 점(김경수와 김정률, 2006; 위수민 등, 2008)을 참고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 수 있으며 교사가 학습에 사용하기 용이하게 학습지 및 학습형태를 구성하였다.
  •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학교 학습 경험과 연계되며 다양한 활동 중심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대적 요구(김미숙과 서혜애, 2005)에 맞춰 학교 학습 경험과 연계된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번 연구에서 지질박물관을 이용한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은 고성과 해남의 공룡박물관과 같이 최근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 지질관련 박물관들이 지어지고 있어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지층과 화석, 지표의 변화, 화산과 지진과 같은 단원과 연계하여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학습 경험과 학교 밖 학습 경험의 조화란 무엇인가? 이 두 교육이 조화를 이루어야한다는 것은 교사나 과학교육자들 모두가 인정하는 부분이다. 두 교육의 조화란 교실 에서 배우는 과학이 일상생활에 이용되거나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과학 현상들을 설명하는데 유용함을 뜻한다. 이렇게 교실 과학과 일상생활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는 학교 학습 경험과 학교 밖 학습 경험을 연속적으로 갖는 것이 중요하다 (Orion, 1993; Rickinson et al.
학교 밖 경험으로 대표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과학에 있어서 학교 밖 경험으로 대표할 수 있는 것은 박물관이다(김찬종 등, 2006). 이러한 박물관은 현대 사회에서 발견을 위한 탐색과 학습 공간이다.
과학교육은 어떻게 나뉘는가? 과학교육은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 형태의 형식적 교육과 학교 밖 경험활동으로 일컬어지는 비형식적 교육은 나눌 수 있다. 이 두 교육이 조화를 이루어야한다는 것은 교사나 과학교육자들 모두가 인정하는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