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uman Library: The Case of Human Library in Seongbuk-Gu, Seoul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3, 2014년, pp.9 - 28  

조찬식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새로운 형태의 도서관으로 휴먼라이브러리는 도서나 인쇄매체가 아닌 사람이 정보자료가 되어 이용자와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도서관서비스의 개념이다. 휴먼라이브러리는 '사람책(휴먼북)'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기존의 도서관서비스와는 다른 특성을 내포하게 되며 새로운 도서관 형태로서의 의의를 지니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에서 실시된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의 배경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2012년과 2013년에 진행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과 실태 및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new library system, the 'human library', in which a man becomes an information resource, provides a library service through face-to-face communication in delive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users. Since the human library exchanges information with 'human books', it shows some characteri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의 배경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2012년과 2013년에 진행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과 실태 및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 · 제시함으로써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문헌조사, 현장방문, 그리고 면담조사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의 배경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2012년과 2013년에 진행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과 실태 및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 · 제시함으로써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에서 실시된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성북구는 문화적 기반이 뿌리내리고 있는 지역일 뿐만 아니라 관내 9개의 구립도서관과 40여개의 작은 도서관이 위치하고 있는 등 풍부한 도서관 환경과 배경을 바탕으로 2011년부터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대중독서운동을 주도해오고 있다.
  • 그리고 아직은 생소한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홍보를 전개하였다. 홍보내용은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설명과 참여방법 그리고 각 회차별 추진일정과 장소 및 주제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홍보는 구청 및 각 구립도서관과 홈페이지, 행사안내 리플렛과 포스터 제작, 현수막 설치, 초청장 발송, 지역언론, 직접 방문 등의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홍보대상은 관내 도서관 이용자, 주민, 각급 학교, 관계기관 및 단체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먼라이브러리는 어떻게 처음 시작되었나? 휴먼라이브러리는 20대부터 청소년 폭력 방지활동에 관심을 가졌던 로니 아버겔(Ronni Abergel)이 덴마크에서 열린 청소년 축제에서 이벤트를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고 고민하다가 2000년도에 리빙라이브러리 프로그램을 처음 기획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청소년들의 시야를 넓히고, 서로 미워하는 사람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좋은 이웃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장은 단순한 독서보다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풀어보자는 발상으로 리빙라이브러리를 시작하였다.
휴먼라이브러리란? 휴먼라이브러리(human library)는 2000년도에 덴마크에서 시작된 새로운 형태의 도서관으로, 도서나 인쇄매체가 아닌 사람이 정보자료가 되어 이용자와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도서관서비스의 개념이다. 이러한 휴먼라이브러리는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이후 다양한 형태로 파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먼라이브러리를 지칭하는 여러 가지 용어는 무엇인가? 먼저 휴먼라이브러리는 도서관 자료가 사람(human)이라는 실물이란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이름이다. 리빙라이브러리(living library)는, 가장 먼저 쓰였던 용어로,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서 생생하게 대화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잘 알지 못해 가질 수밖에 없었던 타인이나 주제에 대한 편견과 선입관, 고정관념을 줄이자는 의도를 강조한 것이다. ‘숨 쉬는 도서관’이란 하루하루 자신의 이야기를 채워나가고 살아 숨 쉬는 사람책을 읽으므로 눈빛과 몸짓까지 읽으며 깊은 공감과 이해를 하는 상호작용의 독서가 가능하다는 관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그러나 위의 명칭들은 모두 휴먼라이브러리의 다른 면을 강조하고 있을 뿐 그 본질에 있어서는 동일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수정. 2009. 나는 런던에서 사람 책을 읽는다. 경기도 파주: 달. (Kim, Soo-Jung. 2009. Living Library. Paju, Gyeonggi-Do: Dal.) 

  2. 노우진. 2013. 국회도서관 휴먼DB의 발전방향. 국회도서관, 50(5): 1-13. (Noh, Woo-Jin. 2013. "Suggestions for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Human DB." National Assembly Library, 50(5): 1-13) 

  3. 뉴시스. 2011. 성균관대 "사람책을 빌려드립니다." 5월 17일. (Sungkyunkwan University "Borrow Human Book." 2011. NEWSis, May 4.) 

  4. 양시모. 2013. 노원휴먼라이브러리: 운영 현황과 향후 과제. 국회도서관, 50(5): 14-21. (Yang, Si-Mo. 2013. "Nowon Human Library." National Assembly Library, 50(5): 14-21.) 

  5. 유종필, 심효정. 2010. 국회도서관, 리빙 라이브러리를 한국에서 실현시키다. 도서관문화, 51(3): 37-39. (Yoo, Jong-Pil and Hyo-Jung Sim. 2010. "Human Library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n Library Journal, 51(3): 37-39.) 

  6. 조찬식. 2013.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201-221. (Cho, Chan-Sik. 2013. "A Study on the Public Reading Campaign: The Case of "One Book, SeongBuk" Campaign in Seongbuk-Gu,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201-221.) 

  7. 한겨레21. 2014. '휴먼네트워크서비스'로 사람책 상설화. 3월 3일. (Human Network and Human Book. 2014. The Hankyoreh 21, March 3.) 

  8. Abergel, Ronnie, Antje Rothemund, Gavan Titley, and Peter Wootsch. 2005.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 The Living Library Organiser's Guide. UK: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9. Constable, Linda. 2007. "I am A Book, Borrow Me." Public Library Journal, 22(4): 19. 

  10. Harris, Kevin and Linda Constable. 2008. "Like a Light Going on: The Report on the Local Living Library Project." Library & Information Update, 7(9): 31-33. 

  11. Mowbray, Jemima. 2012. The Power of One on One: Human Libraries and the Challenges of Antiracism Work. UK: UTS publishing. 

  12. 성북구립도서관. . 

  13. Human Library Home.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