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이 성인의 식이행동과 신체활동 및 심혈관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중재 3개월 결과를 중심으로
Short-term Effect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on Eating Behaviors,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4, 2014년, pp.37 - 49  

박지연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김혜경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for Korean adul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n their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Methods: A total of 448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and additional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보유한 대상자들 스스로가 건강관리를 위한 행동변화 의지를 형성하고, 실천기술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들의 식습관, 신체활동 및 심혈관질환위험 요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올바른 식습관의 개선 특히 비만과 관련된 이상식행동의 교정에 중점을 둔 본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 상 상담은 임상영양사가 담당하도록 하였다. 또한 16개 센터 영양사들의 온라인 정보 공유방을 개설 운영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 각종 자료 및 정보 등을 공유하며 중재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2013년 4-6월 전국 16개 지역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참여에 서면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Crosby, DiClemente & Salazar, 2006)이다.
  •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5가지 중 복부비만이면서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 고혈당 중한 가지 이상의 위험요인 보유자에게 집중관리와 1회성 상담을 각각 제공하고, 이들의 건강행동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총 6개월 동안 12회 이상의 중재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연구로, 중재 3개월 시점에서 건강행동, 이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긍정적 변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16개 지역 건강검진센터를 중심으로 식습관, 신체활동, 절주, 스트레스관리 등 건강생활실천 강화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개발·적용 후의 건강행동, 건강행동 결정요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전국 16개 지역 건강검진센터에서 실시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에 관한 것으로, 6개월 중재기간 중 3개월 시점에서의 집중중재군과 최소중재군의 중재 전·후 식습관, 신체활동 수준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관한 단기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 이는 단순히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서도 심혈관질환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1:1 관계에서의 집중적이고 개별적 상담형태의 중재를 통해 생활습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스스로의 생활습관을 파악하고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개선의지를 강화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개인의 건강관리 능력을 강화하고 실천 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은 행동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 개선해나가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 과정에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이 지지자가 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5가지 중 복부비만이면서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 고혈당 중한 가지 이상의 위험요인 보유자에게 집중관리와 1회성 상담을 각각 제공하고, 이들의 건강행동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총 6개월 동안 12회 이상의 중재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연구로, 중재 3개월 시점에서 건강행동, 이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긍정적 변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에 집중중재군의 중재 후 개선항목이 최소중재군보다 몇 가지를 더 보유하고 있었으나, 최소중재군 역시 중재 후 긍정적 변화가 있어, 1회성 중재를 통한 건강행동 개선에 대한 3개월 단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 관리 능력 함양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 2010),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는 자가 관리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자가 관리 능력 함양을 위해서는 필요한 지식, 정보, 기술 등을 습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Choo & Kim, 2011; Kim, 2013b). 그런데 이러한 건강 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Park & Kim, 2013), 단기간 내에 행동변화 효과보다는 변화의 중요성 인식, 변화가능성에 대한 자신감 증진 등을 통한 동기제고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주요 4대 만성 질병은 무엇인가? 최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2014)에서 발표한 10대 사망원인에 따르면, 주요 4대 만성 질병은 심혈관질환, 암, 당뇨병, 만성폐질환이었으며, 10대 사망원인 중 1위는 심혈관질환이다. 이 결과에 따르면, 2012년 전 세계 사망자 수의 68%가 만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하였고,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약 1,750만 명이었다.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5개의 상황은 무엇이 있는가? 식사 절제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Clark, Abrams, Niaura, Etton & Rossi (1991)이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였는데,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5개의 상황을 제시하고 각 상황에서 음식섭취를 자제할 자신감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부정적 감정(negative emotion), 이용가능성(availability), 사회적 압력(social pressure), 신체적 불편(physical discomfort), 긍정적 활동(positive activities)의 상황별 4개 문항씩 총 20개 문항을 9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식습관 자기효능감 설문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2, November 20). Understand your risk of heart attack: Risk factor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etrieved from http://www.heart.org/HEARTORG/Conditions/HeartAttack/UnderstandYourRis%20kofHeartAttack/Understand-Your-Risk-of- Heart-Attack_UCM_002040_Article.jsp 

  2. Artinian, N. T., Fletcher, G. F., Mozaffarian, D., Kris-Etherton, P., Van Horn, L., Lichtenstein, A. H., . . . Burke, L. E. (2010).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lifestyle change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 reduction in adults. Circulation, 122, 406-441. http://dx.doi.org/10.1161/CIR.0b013e3181e8edf1 

  3. Beverly, B. G., Timothy, M., Michael, H., Madsen, L., Madlen, C., & Diana, B. (2002). Effectiveness of telephone support i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in primary care patient.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2(3), 177-183. 

  4. Chan, C. B., Ryan, D. A., & Tudor-Locke, C. (2004). Health benefits of a pedometer-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sedentary workers. Preventive Medicine, 39, 1215-1222. 

  5. Choo, H. I., & Kim, G. S. (2011). Effects of a self-regulation program on blood pressure control and self-care in patient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6(1), 33-43. 

  6. Clark, M. M., Abrams, D. B., Niaura, R. S., Etton, C. A., & Rossi, J. S. (1991).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 739-744. 

  7. Crosby, R. A., DiClemente, R. J., & Salazar, L. F. (2006) Research Methods in Health Promo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8. Donnelly, J. E., Blair, S. N., Jakicic, J. M., Manore, M. M., Rankin, J. W., & Smith, B. K. (2009).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weight loss and pre-vention of weight regain for adult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41, 459-471. 

  9. Evans, K. E., Prochaska, J. O., Johnson, J. L., Mauriello, L. M., Padula, J. A., Prochaska, J. M. (2006).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 population- and Transtheoretical Model based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Health Psychology, 15(4), 521-529. 

  10. Hurling, R., Catt, M., DeBoni, M., Fairley, W., Hurst, T., Murray, P., . . . & Sodhi, J. S. (2007). Using Internet and mobile phone technology to deliver an automa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ine Internet Research, 9(2), 1-13. 

  11. Jeon, H. O. & Kim, O. S. (2011). The effects of an internet based coaching program for obesity management in hypertension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2), 146-159. 

  12. Johnson, S. S., Paiva, A. L., Cummins, C. O., Johnson, J. L., Dyment, S. J., Wright, J. A., . . . & Sherman, K. (2008). Transtheoretical Model-based multiple behavior intervention for weight management: Effectiveness on a population basis. Preventive Medicine, 46, 238-246. 

  13. Johnson, J. L., Slentz, C. A., Houmard, J. A., Samsa, G. P., Duscha, B. D., Aiken, L. B., . . . & Kraus, W. E. (2007). Exercise Training Amount and Intensity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 (From Studies of a Targeted Risk Reduction Intervention through Defined Exercis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00(12), 1759-1766. 

  14. Ju, K. O., & So, H. Y. (2008).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elf-efficacy, diet behavior patter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r the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64-73. 

  15. Jung, Y. H., Ko, S. J., & Kim E. J.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6. Kim, H. (2013a). Effects of health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of cellular phon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3), 241-249. 

  17. Kim, H. S. (2013b). Role of diabetes educators and effectiveness of diabetes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4, 194-198. http://dx.doi.org/10.4093/jkd.2013.14.4.194 

  18. Kim, M. S. & Song, M. S. (2013). The effects of 6 months lifestyle coaching program for adults with hypertensio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2), 111-119. 

  19. Kim, S. H., Yu, O. K., Byun, M. S., Cha Y. S., & Park T. S. (2014). Effects of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 age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Obesity, 23(2), 106-115. 

  20. Kim, H. Y., Cho, M. S., & Lee, H. 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6(1), 83-92. 

  21. Lee, M. R. (1997).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7(1), 156-168. 

  22. Lee, I. S., Kim, J. H., & Kim, H. J. (1996).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5, 141-150. 

  23. Lee, H. J., Lee, J. J., Hwang, T. Y., & Kam, S.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ty staged education program for th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igh-risk pati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3), 167-180. 

  24. Lee, S. K., Lee, K. Y., Lee, S. Y., Park, T. J., & Kim, J. S. (2010). Factors related to eating behavior assessed using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and change of eating behavior after receiving weight reduction treatment.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 361-368 

  25. Nam, T. Y., & Kim, J. H. (2014).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counseling for adults with risk factors for dyslipidemi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9(1), 27-40. 

  26.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NHI Publication No. 02-521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7. Oh, S. W. (2011).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35, 561-566. 

  28. Park, J., Kim, H., Cho, S., & Cho H. (2012). The effect of Healthy Life Plan prlgram on the management of obesity for Korean adults: A pilot stud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5), 89-101. 

  29. Park, M. K., & Kim, J. H. (2013).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related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2), 111-122. 

  30. Prochaska, J. O., Velicer, W. F., Redding, C., Rossi, J. S., Goldstein, M., DePue, J., . . . Plummer, B. A. (2005). Stage-based expert systems to guide a population of primary care patients to quit smoking, eat healthier, prevent skin cancer, and receive regular mammograms. Preventive Medicine, 41, 406-416. 

  31. Sarah, M. C., Marcia, L. S., Peter, T. K., & Deborah, R. Y. (2009). Metabolic syndrome and changes in body fat from a low-fat diet and/or exercis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esity. doi:10.1038/oby.2009.304 

  32. Statistics Korea. (2013).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12 

  33. U. 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2). Screening for and management of obesity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7(5), 1-5. 

  34. Van Strien, T., Frijters, J. E., Bergers, G. P., & Defares, P. B. (1986).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for assessment of restrained,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5, 295-315. 

  35. Wendel-Vos, G. C., Schuit, A. J., Saris, W. H., & Kromhout,, D. (2003).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the short questionnaire to assess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6, 1163-1169. 

  3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The top 10 causes of death. Retrieved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 

  37. Yoo, S., Kim, H., & Cho, H. (2012). Improvements in the metabolic syndrome and stages of change for lifestyle behaviors in Korean adults.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3(2), 85-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