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럽발 자료를 위한 함수적 군집 분석: 사례연구
Functional clustering for clubfoot data: A case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5, 2014년, pp.1069 - 1077  

이미애 (롯데카드 신용기획팀) ,  임요한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  박천건 (경기대학교 수학과) ,  이경은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클럽발은 발이 안쪽으로 굽어있는 상태로 태어나는 선천적인 발 기형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 쪽 클럽발 환자들의 수술 후 시간에 따른 양 쪽 발의 상대적인 차이 커브들을 군집분석 하려고 한다. 관측값들이 일정하지 않은 (irregular) 시점에서 희박하게 (sparsely) 관측되어서 일반적인 함수적 군집모형을 사용할 수 없어 James와 Sugar (2003) 가 제안한 희박한 자료의 함수적 군집 모형 (functional clustering model)을 이용하여 모수들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Sugar와 James (2003)의 왜곡함수 (distortion function)를 이용하여 군집의 수를 결정하여 군집분석하여 두 개의 군집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lubfoot is a kind of congenital deformity of foot, which is internally rotated at the ankle.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cluster the curves of relative differences between regular and operated feet. Since these curves are irregular and sparsely sampled, general clustering models could not b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한 대학병원에서 한쪽 클럽발 환자들이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 크기가 정상적으로 돌아오는지, 어떠한 패턴을 띄고 있는지 알고자 하여 2001년 수집된 환자자료를 분석하려고 한다. 이 자료는 수술을 받은 67명 한쪽 클럽발 환자들의 수술 후 경과시간(주단위), 클럽발 쪽 다리길이 (leg1), 정상 쪽 다리 길이 (leg2), 클럽발 쪽 발 길이 (ft1), 정상쪽 발의 길이 (ft2), 정상 쪽과 클럽발 쪽의 다리길이 상대차이 (rel.
  • 본 연구에서는 클럽발을 가지고 태어난 아기 환자들의 수술 후 경과하는 패턴을 알기 위하여 수술 후 시간에 따른 클럽발의 상대적인 발차이의 커브들을 군집분석하여 보았다. 특별히, 각 환자당 관측값 수가 2 ∼ 4개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일반적인 함수적 자료의 군집분석 방법들을 이용하지 못하여 James와 Sugar (2003)가 제안한 희박한 함수적 자료를 위한 군집모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하여보았고 점프 함수를 이용하여 군집의 수를 2개로 결정하여 각 군집의 평균 커브를 추정하였다.
  •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논문의 주 관심사는 수술 후 다양한 회복 패턴들을 발견하는 것이다. 즉, 상대적 발 길이 차이 커브들을 군집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자료처럼 희박한 함수적 자료인 경우는 이러한 군집 분석 방법들을 사용하기가 어려워 본 논문에서는 James와 Sugar (2003)가 제안한 희박한 함수적 자료 (sparsely sampled functional data)를 위한 군집 모형을 클럽발 자료에 적용하려고 한다. 이 모형은 사실상 모든 형태의 함수적 자료들을 군집분석 할 수 있으나 특별히 자료가 희박한 경우에 더 유용하다라고 알려져 있다.
  • 이번 절에서는 James와 Sugar (2003)가 제안한 희박한 함수적 자료를 위한 군집모형에 대하여 설명하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럽발의 원인은 무엇인가? 클럽발 (club foot, 혹은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은 한 쪽 혹은 양 쪽 발목이 안쪽으로 굽어있는 상태로 태어나는 선천적 발 기형의 일종으로 유전자의 결함과 같은 유전적 원인 혹은 양수부족으로 인한 자궁압착과 같은 외부적 원인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00명당 한 명 정도가 선천적 기형을 가지고 태어나며, 그 중 약 50% 정도는 양 쪽 발목 (양측 기형)에 생긴다고 보고되고 있다.
클럽발이란 무엇인가? 클럽발 (club foot, 혹은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은 한 쪽 혹은 양 쪽 발목이 안쪽으로 굽어있는 상태로 태어나는 선천적 발 기형의 일종으로 유전자의 결함과 같은 유전적 원인 혹은 양수부족으로 인한 자궁압착과 같은 외부적 원인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00명당 한 명 정도가 선천적 기형을 가지고 태어나며, 그 중 약 50% 정도는 양 쪽 발목 (양측 기형)에 생긴다고 보고되고 있다.
club foot의 발생 비율은 어느 정도입니까? 클럽발 (club foot, 혹은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은 한 쪽 혹은 양 쪽 발목이 안쪽으로 굽어있는 상태로 태어나는 선천적 발 기형의 일종으로 유전자의 결함과 같은 유전적 원인 혹은 양수부족으로 인한 자궁압착과 같은 외부적 원인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00명당 한 명 정도가 선천적 기형을 가지고 태어나며, 그 중 약 50% 정도는 양 쪽 발목 (양측 기형)에 생긴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여아보다 남아에서 발생 빈도가 두 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Wikipedia, Figure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e Boor, C. (1978). A Practical guide to splines, Springer, New York. 

  2. Fraley, C. and Raftery, A. E. (2002). Model-based cluster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density estim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7, 611-631. 

  3. Green, P. J. and Silverman, B. W. (1994). Nonparametric regression and generalized linear models: A roughness penalty approach, Chapman and Hall, London. 

  4. Hastie, T. J., Buja, A. and Tibshirani, R. J. (1995). Penalized discriminant analysis. The Annals of Statistics, 23, 73-102. 

  5. James, G. M. and Hastie, T. J. (2001). Functional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for irregularly sampled curve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63, 533-550. 

  6. James, G. M. and Sugar, C. A. (2003). Clustering for sparsely sampled functional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8, 397-408. 

  7. Lee, H-J. and Kang, S-B. (2013).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in the data from KYPS. Journal of the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409-1419. 

  8. OrthoInfo. Children's clubfoot: treatment with casting or operation? Retrieved May, 2014, from http://orthoinfo.aaos.org/topic.cfm?topica00296. 

  9. Rice, J. A. (2004). Fun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analysis perspectives on smoothing. Statistica Sinica, 14, 413-629. 

  10. Sugar, C. A. and James, G. M. (2003). Finding the number of clusters in a dataset: An informationtheoretic approach.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0, 928-934. 

  11. Yao, F., Muller, H-G. andWang, J-L. (2005). Functional data analysis for sparse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0, 577-590. 

  12. Clubfoot. (n.d.) In Wikipedia. Retrieved May, 2014, from http://en.wikipedia.org/wiki/Club\_foo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