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항산화 및 면역 활성
Antioxidant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Cultured Mycelia of Schizophyllum commun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334 - 1341  

이준우 (경북전문대학교 호텔조리제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보체 활성, NO 생성능, 지질 과산화 억제능, OH radical 제거 효과, 미백효과, 항균효과 및 피부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치마버섯 배양균사체 유래 다당류의 항보체 활성은 열수 추출 알코올침전분획(SC-EP)이 $8.9{\pm}0.3%$, 세포내성 다당류(SC-IP)는 $14.7{\pm}1.7%$, 열수 추출 한외여과분획(SC-UP)은 $10.2{\pm}0.8%$, 균사체외성 무처리 분획(SC-NEP)은 $5.2{\pm}0.7%$로 나타났다.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한외여과 처리한 다당류(SC-UP)는 $12.8{\pm}0.7{\mu}M$의 NO를 생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성 대조물질로 사용한 IFN-${\gamma}$와 LPS에서는 각각 $33.4{\pm}1.7{\mu}M$$35.1{\pm}1.5{\mu}M$로 나타났다. AsA-$Fe^{2+}$로 유도된 지질 과산화에 대한 영향은 열수 추출 에탄올 처리 분획(SC-EP) 및 UF 처리 분획(SC-UP)의 경우 각각 $28.9{\pm}0.7nM$$26.5{\pm}0.3nM$의 MDA를 생성시켰다. ADP-NADPH-$Fe^{3+}$로 유도된 지질 과산화에 대한 영향은 배양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에탄올 처리 분획(SC-EP) 및 UF 처리 분획(SC-UP)이 각각 19.8%와 20.8%의 지질 과산화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OH radical의 제거 효과로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의 OH radical 제거 효과에 대한 $IC_{50}$은 3.32 mg/mL로 조사되었다.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1.0 mg/mL의 농도 처리 시에 19.9%로 나타났다. 또한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위한 MIC 치는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이 10 mg/mL, 균사체외성 다당류(SC-NEP)의 경우는 20 mg/mL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의 피부투과도는 3시간, 6시간 및 9시간 경과 후 각각 0.47%, 0.73% 및 1.20%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들로부터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의 면역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biological activity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cultured mycelia of Schizophyllum commune, we determined anti-complementary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s a measure of immunological activity, anti-lipidperoxidation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a measur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치마버섯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균사체를 대량배양 하여 얻은 다당류의 면역 활성을 위해서는 항보체활성과 nitric oxide 생성능, 항산화능을 위해서는 지질과산화 억제능과 hydroxy radical 저해능을 조사하였고, 기타로는 미백효과, 항균효과 및 피부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성 확인을 통하여 식품, 화장품 및 산업용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마버섯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균사체를 대량배양 하여 얻은 다당류의 면역 활성을 위해서는 항보체활성과 nitric oxide 생성능, 항산화능을 위해서는 지질과산화 억제능과 hydroxy radical 저해능을 조사하였고, 기타로는 미백효과, 항균효과 및 피부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성 확인을 통하여 식품, 화장품 및 산업용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ibbs Jr JB, Taintor RR, Vavrin Z, Rachlin EM. 1998. Nitric oxide: a cytotoxic activated macrophage effector molecule. Biochem Biophys Res Commun 157: 87-94. 

  2. Di Renzo L, Yefenof E, Klein E. 1991. The function of human NK cells is enhanced by beta-glucan, a ligand of CR3 (CD11b/CD18). Eur J Immunol 21: 1755-1758. 

  3. Chihara G, Hamuro J, Maeda YY, Shiio T, Suga T, Takasuka N, Sasaki T. 1987. Antitumor and metastasis-inhibitory activities of lentinan as an immunomodulator: an overview. Cancer Detect Prev Suppl 1: 423-443. 

  4. Denis M. 1991. Tumor necrosis factor and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stimulate human macrophages to restrict growth of virulent Mycobacterium avium and to kill avirulent M. avium: Killing effector mechanism depends on the generation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J Leucocyte Biol 49: 380-387. 

  5. Chihara G, Hamuro H, Maeda Y, Arai Y, Fukuoka K. 1970.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des. Cancer Res 30: 2776-2781. 

  6. Wang HX, NG TB, Liu WK, Ooi VE, Chang ST. 1996. Polysaccharide-peptide complexes from the cultured mycelia of the mushroom Coriolus versicolor and their culture medium activate mouse lymphocytes and macrophages. Int J Biochem Cell Biol 28: 601-607. 

  7. Miyazaki T, Nishijima M. 1981. Studies on fungal polysaccharides (X X VII), structural examination of a water-soluble, antitumor polysaccharide of Ganoderma lucidum. Chem Pharm Bull 29: 3611-3616. 

  8. Lee JW, Bang KW, Seo BI, Lee ES. 2003.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 obtained from the fruit body and mycelia of Ganoderma lucidum IY005. Kor J Herbology 18: 149-156. 

  9. Lee JW, Baek SJ, Bang KW, Kang SW, Kang SM, Kim BY, Ha IS.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26-735. 

  10. Ikegawa T, Nakanishi M, Uehara N, Chihara G, Fukuoka F. 1968. Antitumor action of some basidiomycetes, especially Phellinus linteus. Gann 59: 155-157. 

  11. Ohno N, Suzuki I, Oikawa S, Sato K, Miyazaki T, Yadomae T. 1984. Antitumor activity and 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glucans, extracted from cultured fruit bodies of Grifola frondosa. Chem Pharm Bull 32: 1142-1151. 

  12. Tsukagoshi S, Ophashi F. 1974.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reparation, PS-K, effective against mouse sarcoma 180 and rat ascites hepatoma AH-13 by oral use. Japan J Cancer Res 65: 557-560. 

  13. Komatsu N, Okubo S, Kikumoto S, Kimura K, Saito G. 1969. Host-mediated antitumor action of schizophyllan, a glucan produced by Schizophyllum commune. Gann 60:137-145. 

  14. Li G, Kim DH, Kim TD, Park BJ, Park HD, Park JI, Na MK, Kim HC, Hong ND, Lim K, Hwang BD, Yoon WH. 2004.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Phellinus linteus induces G2/M phase arrest and apoptosis in SW480 human colon cancer cells. Cancer Lett 216: 175-181. 

  15. Franz G. 1989. Polysaccharides in pharmacy: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concepts. Planta Med 55: 493-497. 

  16. Lee JW, Kim YS. 2009.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cultured mycelia of Schizophyllum commune. Kor J Mycol 37: 91-95. 

  17. Park WH, Lee HD. 1996. Wild fungi of Korea in color.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2. 

  18. Song MH, Bae JT, Kho HJ, Jang YM, Lee JD, Lee GS, Pyo HB. 2011. Anti-oxidant effect and anti-inflammatory of fermented Citrus unshiu peel extract by using Schizophyllum commun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 351-356. 

  19. Yamada H, Kiyohara H, Cyong JC, Kojima Y, Kumazawa Y, Otsuka Y. 1984. Studies on polysaccharides from Angelica acutiloba. Part 1. Fractiona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Planta Med 50: 163-167. 

  20. Ding AJ, Nathan CF, Stuehr DJ.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ison of activating cytokines and evidence for independent production. J Immunol 144: 2407-2413. 

  21. Kiso Y, Tohkin M, Hikino H, Hattory M, Sakamoto T, Namba T. 1884. Mechanism of antihepatotoxic activity of glycyrrhizin, I: Effect on free radical generation and lipid peroxidation. Planta Med 50: 298-303. 

  22. Ohka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23. Aruoma OI. 1994. Deoxyribose assay for detecting hydroxyl radicals. In Methods in Enzymology. Packer L, ed.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 USA. Vol 233, p 57-66. 

  24. Ishihara Y, Oka M, Tsunakawa M, Yomita K, Hatori M, Yamamoto H, Kamei H, Miyaki T, Konishi M, Oki T. 1991. Melanostatin, a new melanin synthesis inhibitor. Production, isolation, chemical properties,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J Antibiotics 44: 25-32. 

  25. Shimura A, Ito H, Hibasami H. 1983. Screening of hostmediated antitumor polysaccharides by crossed immunoelectrophoresis using fresh human serum. Jpn J Pharmacol 33: 403-408. 

  26. Okuda T, Yoshioka Y, Ikekawa T, Chihara G, Nishioka K. 1972.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antitumor polysaccharides. Nature New Biol 238: 59-60. 

  27. Buchner RB, Hugli TE, Ember JA, Morgan EL. 1995. Expression of functional receptors for human C5a anaphylatoxin(CD88) on the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 Stimulation of acute-phase protein-specific mRNA and protein synthesis by human C5a anaphylatoxin. J Immunol 155: 308-315. 

  28. Bendtzen K. 1988. Interleukin 1, interleukin 6 and tumor necrosis factor in infection, inflammation and immunity. Immunol Lett 19: 183-192. 

  29. Lee JW, Kim KN, Jeong H, Lee SY, Kang SM. 1996. Effect of G009 on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peroxidizer in rats. J Appl Pharmacol 4: 244-250. 

  30.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91.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in measurement of lipid peroxid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 224-234. 

  31. Takebayashi J, Ishii R, Chen J, Matsumoto T, Ishimi Y, Tai A. 2010. Re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arbutin: multifaceted evaluation using five antioxidant assay systems. Free Radic Res 44: 473-478. 

  32. Choi H, Kim K, Han J, Choi H, Jin SH, Lee EK, Shin DW, Lee TR, Lee AY, Noh M. 2012. Kojic acid-induced IL-6 production in human keratinocytes plays a role in its anti-melanogenic activity in skin. J Dermatol Sci 66: 207-215. 

  33. Lee JS, Shin DB, Lee SM, Kim SH, Lee TS, Jung DC. 2013. Melanogenesis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hellinus baumii methanol extracts. Korean J Mycol 41: 104-111. 

  34. Kuk MH, Kim DH, Lee C, Jung ES, Choi EJ, Lee JS, Lee TS. 2013.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methanol extract. J Mushroom Sci Prod 11:99-106. 

  35. Choi WS, Kwon HS, Lim HW, No RH, Lee HY. 2013. Whitening effects of Lactobacillus rhamnosus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183-189. 

  36. Ramasamy P, Vino AB, Saravanan R, Subhapradha N, Shanmugam V, Shanmugam A. 2011. Screening of antimicrobial potential of polysaccharide from cuttlebone and methanolic extract from body tissue of Sepia prashadi Winkworth, 1936. Asian Pacific J Tropical Biomedicine 1:S244-S248. 

  37. Jayakumar GC, Kanth SV, Chandrasekaran B, Raghava Rao J, Nair BU. 2010. Prepar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cleraldehyde from Schizophyllum commune. Carbohydr Res 345: 2213-2219. 

  38. Kim MK, Hong EK. 2006. Effects of polysaccharide from Schizophyllum commune on burn and wound healing. Korean Chem Eng Res 44: 87-91. 

  39. Oh HS, Lee YS, Kim HH, Lee KP. 2001. Formulation and skin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ketoprofen patches. Yakhak Hoeji 45: 506-5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