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을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Regular Medical Services Utilization of Chronic Disease Patients - Focusing on the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3, 2014년, pp.27 - 37  

서영숙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박종호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임지혜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gular medical services utilization of chronic disease patients. Methods: The research selected 4,489 adults aged over 30, diagnosed with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표성이 있는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만성질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지속성 있는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과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표적인 만성혈관질환자를 대상으로 정기적 의료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만성질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 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단면연구이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만성질환 종류별로 정기적 의료이용 현황 및 여러 가지 변수와 정기적 의료이용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고지혈증의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은 우리나라에서 어떠한 질환인가? 세계보건기구는 2005년 세계 질병부담의 주요 원인 중에서 만성질환이 총 질병 부담(Burden of disease)의 약 54%를 차지한다고 보고하였으며(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IHME], 2012), 오는 2020년에는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수가 약 5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05).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은 우리나라 주요 만성질환의 하나로 혈관질환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고혈압이나 당뇨병에 비하면, 이제까지 고지혈증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고지혈증은 우리나라 국민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선행연구에 의하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10% 증가하면 심혈관계질환의 발생이 30% 정도 늘어나고, 약 30% 정도 증가하면 심혈관계질환 발생이 2배 가까이 늘어난다고 한다(Hobbs, 2004). 또한 고지혈증은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인 심혈관계질환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ong, Shin & Jang, 2011). 이러한 만성질환들은 복합적인 병인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누적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무엇보다 조기발견과 조기치료, 정기적인 관리가 질병의 예후를 크게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만성혈관질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률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어떠한가? 대표적인 만성혈관질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률을 살펴 본 결과, 당뇨병, 고혈압에 비해 고지혈증 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률이 현저하게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보유하고 있는 만성질환 개수가 많을수록, 비만이 있는 경우,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경우 정기적 의료이용을 할 확률이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L. S. (2008). The effects of continuity of primary care on the hospitalization and the emergency department use for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 Bridges to Excellence. (2005). Diabetes care analysis-savings estimate: Available at http://www.bridgestoexcellence.org/pdf/ DCL_analysis1207051.pdf 

  3. Chang, D. M., Kang, S. H., Kim, D. H., Kim, Y. M., & Suh, C. J. (2008).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4(2), 43-66. 

  4. Chodosh, J. Morton. S. C., Mojica, W., Maglione, M., Suttorp, M. J., Hilton, L., Rhodes, S., & Shekelle, P. (2005). Meta-analysis: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s for older adult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3(6), 427-438. 

  5. Choi, H. J., Lee, K. Y., Kim, B. N., Park, T. J., & Lee, J. N. (2005). Managing outpatients with dyslipidemia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6(7), 384-390. 

  6. Hobbs, R. E. (2004).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art failure. American Journal of Therapeutics, 11(6), 464-472. 

  7.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2012). Search GBD data: Available at http://www.healthdata.org/search-gbd-data?schronic disease 

  8. Jeong, J. Y., Choi, Y. J., Jang, S. N., Hong, K. S. Choi, Y. H., Choi, M. K., & Kim, D. H. (2007).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s of hypertension nad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among middle aged adult and elderly in Chuncheon: Hallym aging stud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0(4), 305-312. 

  9. Kim, C. Y., Lee, K. S., Khang, Y. H., Yim, J., Choi. Y. J., Lee, H. K., Lee, K. H., & Kim, Y. I. (2000), Health behaviors related to hypertension in rural populat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3(1), 56-68. 

  10. Kim, J. Y., Kim, H. Y., Kim, H. Y., Min, K. W., Park, S. W., Park, I. B., Park, J. H., Baik, S. H., Son, H. S., Ahn, C. W., Oh, J. Y., Lee, S. H., Lee, J. Y., Chung, C. H., Choi, K. M., Choi, I. J., & Kim, D, J. (2006). Current status of the continuity of ambulatory diabetes care and its impact on health outcomes and medical cost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Diabetes and Metabolism of Journal, 30(5), 377-387.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Results of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The 2013 Korea Health Panel Study: An in-depth analysis of KHP. 

  13. Muntner, P., Gu, D., Wu, X., Duan, X., Wenqi, G., Whelton, P. K., & He, J.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in a representive sample of chinese population. Hypertension, 43, 578-585. 

  14. Song, H. J., Shin, S. O., & Jang, S. M. (2011). Medical services utilization among lipid-modifying drug user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1), 25-33. 

  15. Starfield, B. (1992). Longitudinally and managed care, primary care: concepts, evaluation, and poli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1-55. 

  16. Vijan, S., Stevens, D. I., Herman, W. H., Funnel, M. N., & Stanford, C. J. (1997). Screening, preventing, counseling, and treatment for the complications of type II diabetes mellitus: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2(9), 567-580.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Preventing chronic a vital invest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