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아동복 브랜드의 생산현황 및 치수체계 실태 조사
A Survey of the Current Production and Sizing System of Korean Children's Wear Brand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6, 2014년, pp.33 - 46  

김민정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  어미경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박선경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sizing system for children's wear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production and sizing system of Korean children's wear brands. The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f 20 brands show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2~2013년을 기준으로 전체 스타일 중에서 남아의 셔츠와 바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브랜드명은 임의로 알파벳을 사용하였으며 시즌별 남아 총 스타일 수와 셔츠 및 바지의 스타일 수는 <표 2>와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아동복의 효율적인 치수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단계의 연구로 국내아동복 20개의 브랜드를 대상으로 의류 생산현황 및 치수치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아동복 브랜드에서 현재 생산되고 있는 아동복의 일반적인 생산현황 및 치수 체계, 그레이딩 편차범위, 패턴 치수를 비교·분석하여 효율적인 치수 체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의 학령기 아동들이 과거에 비해 체격이 더욱 발달한 이유는? 현재의 학령기 아동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식생활의 향상으로 인하여 과거에 비하여 체격이 더욱 발달되었다. 학령기 아동의 체형특성은 일반적으로 둘레부위보다 길이부위의 발육속도가 큰 시기이며 피하지방은 상대적으로 발달되어 수평단면형상이 둥근 체형을 지닌다.
학령기 아동의 체형특성은 어떻게 되는가? 현재의 학령기 아동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식생활의 향상으로 인하여 과거에 비하여 체격이 더욱 발달되었다. 학령기 아동의 체형특성은 일반적으로 둘레부위보다 길이부위의 발육속도가 큰 시기이며 피하지방은 상대적으로 발달되어 수평단면형상이 둥근 체형을 지닌다.1) 학령기 후반에는 청소년기에 나타나던 신체적 2차 성장이 나타나며 신체 구조 또한 성인과 비슷한 체형을 지니기도 한다.
학령기 아동의 의복구매 형태와 관련하여 과거에는 한 치수 큰 의복을 구매하곤 하였는데 현재는 그렇지 아니한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과거 이들의 의복구매 형태는 한 치수 큰 의복을 구매하거나 체형에 맞지 않는 경우 둘레사이즈만 맞춰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저출산으로 인해 큰 치수의 옷을 구매하여 내려입는 풍습이 사라지고 인터넷, 미디어의 활성화로 학령기 아동들도 자신의 개성에 맞춰 착용하려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인숙 외 (2002), 아동복 치수 인지도와 맞음새 조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2), p. 120. 

  2. 삼성디자인넷, 2013년 패션산업 10대 이슈, 자료검색일 2014. 2. 7, www.samsungdesign.net/include/report_print.asp?tablename. 

  3. 김경화, 남윤자 (2004), 성인 여성의 기성복치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1), pp. 143-153. 

  4. 이정진, 서미아 (2007), 유아용 오버롤의 치수체계 실태조사, 한국생활과학연구, 27(2), p.13. 

  5. 유은주 (2004), 학령기 아동의 기성복 치수적합성 및 치수규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85. 

  6. 윤정혜, 조윤주, 박정순 (1995), 아동 기성복 상의 치수규격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3권(2), pp. 307-321. 

  7. 정명숙, 강혜진, 장인선 (2014), 시판 유아동복 치수체계에 관한연구, 복식, 64(2), pp. 70-83. 

  8. 어패럴 뉴스사 편집부 (2012), 한국 패션 브랜드 연감 (2012/2013), 서울: 어패럴뉴스사, pp. 355-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