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 전통 복식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 비교 연구 - 불교권, 힌두권, 이슬람권 복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Asian Traditional Costumes - Emphasis on Buddhist, Hindu and Islamic Costume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6, 2014년, pp.47 - 64  

서봉하 (용인송담대학교 스타일리스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ariety of traditional costumes have been developed in Asia due to different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they are still worn by people in many areas. Traditional costumes in Asia have been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ideologies, as well as technology and social structure. Thre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시아의 3대 종교는 무엇인가? 불교와 힌두교, 이슬람교는 아시아의 3대 종교로서, 통계상으로는 아시아 전체 종교 인구의 약 70%가 이들 세 종교의 신도들이다. 그러나 불교와 함께 영향을 서로 주고받으며 습합해 온 유교, 도교, 신도 등의 동아시아의 여러 종교들 역시 불교 문화권이라 할 수 있고, 기독교 신자라고 하여도 소속 국가의 전통적인 종교 문화를 벗어날 수 없다는 점에서 적어도 아시아 인구의 90% 이상은 이들 세 개의 종교 문화권 안에서 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전통 복식과 민속 복식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사하게 혼용되고 있는 용어로 민속 복식이 있는데, 민속 복식은 전통 복식과 마찬가지로 역사성과 현재성을 모두 띠고 있으나, 귀족의 복식이 아닌 서민의 복식을 가리키는 용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계급이 소멸된 현대 사회에서 누구나 전통 복식을 착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 복식과 민속 복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종교 복식이란 종교적인 믿음 체계가 특정의 존재 양식으로 구체화되고 상징화된 복식 전체를 가리키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성직자의 복식을 가리킨다.
아시아의 전통 복식이 서구 복식과 다른 비 구조적 특징을 띄는 이유는 무엇인가? 서구의 복식은 옷감을 인체 맞게 재단하고 봉제하여 인체를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고 인체의 굴곡을 드러나게 하는 반면, 아시아의 전통 복식들은 구성과 형태, 착장법 등에서의 비구조적인 특징을 띤다. 이는 물질보다 정신을 중요시하는 동양의 사상들에 의해 총체적 외관을 강조하여 인체를 감싸고 은폐하는 초공간적인 무정형의 복식이 우세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기능적이고 비 장식적인 현대 복식에 비하여 아시아의 전통 복식은 종교적 상징과 각각의 다양한 장식들로 꾸며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노길명 (1998), 문화인류학의 이해, 서울: 일신사, p. 237. 

  2. 김해연 (2003), 동서종교문화교류사, 서울: 성지출판사, p. 297. 

  3. 山折哲雄(2004), 세계의 종교, 이계성 역, 서울: 서울문화사, p. 18. 

  4. 자료검색일 2014. 3. 21, http://global.britannica.com/EBchecked/topic/1731588/Religion-Year-In-Review-2010 

  5. Fallding, H. (1974), The Sociology of Religion, New York: McGraw-Hill, pp. 167-169. 

  6. Cassirer, E. (1970), An Essay on Man, New York: Bantam Books, p. 27. 

  7. 서광선 (1975), 종교와 인간,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49-50. 

  8. Smart, Ninian (2000), 종교와 세계관, 김윤성 역, 서울: 이학사, pp. 55-57. 

  9. Tillich, P (1948), The Protestant Era,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7. 

  10. 이원규 (2006), 인간과 종교, 파주: 나남출판, pp. 30-33. 

  11. 서봉하 (2007a), 종교에 영향 받은 아시아 복식미와 아시안 룩의 조형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58. 

  12. 권영실, 조우현 (1997), 인도 종교 복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4), pp. 678-679. 

  13. Barnard, M. (1996), The Function of Fashion and Clothing, Fashion as Communication, Oxford: Resources, p. 67. 

  14. Wilson, E. (1985),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London: Virago Press, p. 56. 

  15. 최수현 (2003), 복식에 표현된 숭고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87. 

  16. 김민자 (2013), 복식미학: 패션을 보는 시각과 패션에 대한 생각, 서울: 교문사, p. 24. 

  17. Hamilton, J. A. (1988), Dress as a Culture Subsystem: A Unifying Metatheory for Clothing and Textil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6(1), pp. 1-7. 

  18.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p. 114-115. 

  19.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 23. 

  20. 윤재근 (1993), 동양의 미학, 서울: 둥지, p. 71. 

  21. 홍윤식 (1986), 韓國의 佛敎美術, 서울: 대원정사, p. 15. 

  22. 윤재근 (1993), 동양의 미학, 서울: 둥지, pp. 72-73. 

  23. 임영자 (1990), 韓國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문화사, p. 37. 

  24. 홍윤식 (1986), 韓國의 佛敎美術, 서울: 대원정사, p. 21. 

  25.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1996), 헤겔 미학 II: 동양예술, 서양예술의 대립과 예술의 종말, 두행숙 역, 서울: 나남출판, p. 71. 

  26.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1996), 헤겔 미학 II: 동양예술, 서양예술의 대립과 예술의 종말, 두행숙 역, 서울: 나남출판, p. 72. 

  27. 서봉하 (2007b), 힌두 사상에 영향을 받은 인도 무봉의(無縫衣)의 조형미, 복식, 57(10), pp. 129-141. 

  28. 이은봉 (1992), 종교와 상징, 서울: 세계일보, p. 189. 

  29. Dar, S. N. (1982), Costumes of India and Pakistan: A Historical and Cultural Study, Bombay: D. B. Taraporevala Sons & Co, p. 89. 

  30. 서봉하 (2007b), 힌두 사상에 영향을 받은 인도 무봉의(無縫衣)의 조형미, 복식, 57(10), pp. 128-140. 

  31. Leslie, J. (1992), The Significance of Dress for the Orthodox Hindu Woman, R. Barnes & J. B. Eicher (eds.), Dress and Gender Making and Meaning in Cultural Context, Oxford: Berg Publishers. 

  32. Ross, H. C. (1985), The Art of Arabian Costume: a Saudi Arebian Pofile, Fribourg, Switzerland: Arabesque, p. 37. 

  33. 황춘섭 (1995), 세계전통복식, 서울: 수학사, pp. 83-84. 

  34. 이준오 (1990), 아르뛰르 랭보의 詩. 영혼의 언어와 침묵-동양의 형이상학과 미학, 서울: 숭실대학교 출판부, p. 2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