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기 말실행증 아동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Alternating Motion Rate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Childhood Apraxia of Speech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3, 2014년, pp.33 - 40  

박준범 (한림대보건과학대학원) ,  하승희 (한림대학교 언어청각학부, 청각언어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alternating motion rate and its variability in children with childhood apraxia of speech (CA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ix children with CAS aged 9-12 years old and 10 children who were age-matched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study mea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AS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와 타당한 진단기준을 세우기 위해서는 말 계획과 프로그램상의 문제로 인한 변이성의 특징이 조음의 정확도뿐만 아니라 AMR 과제와 같은 단순 일음절 반복 과제에서도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AS 아동들을 대상으로 CV 일음절 반복과제를 이용하여 AMR과 AMR의변이성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일반아동들과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CAS 아동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와 타당한 진단기준을 세우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CV 반복 과제를 이용하여 AMR과 AMR의 변이성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일반아 동들과 비교하였다.
  • CAS의 핵심 특징으로 알려진 조음 변이성은 주로 말소리의 정확도면에서만 연구되어졌다. 본 연구는 CAS 아동이 일반아동과 비교해 말 계획과 프로그램상의 문제로 인한 변이성의 특징이 조음의 정확도 뿐 만 아니라 단순 CV 반복 과제의 AMR에서도 나타나고 조음운동속도의 변이성이 조음운동속도 자체보다도 일반아동과 구별되는 CAS 의 핵심적인 말 특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평가 단계에서부터 정확하고 타당하게 말 문제를 진단하는 것이 어려운 CAS 아동에 대한 진단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청지각적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 지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CAS 관련 후속연구와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로 CAS 아동과 통제집단 아동 간의 AMR, AMR 변이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CAS와 통제집단 간 AMR의 차이는 /p* a/, /t* a/, /k* a/중 /k* a/에서만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고, AMR 변이성은 모든 검사어 /p* a/, /t* a/, /k* a/에서 유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CAS 아동 사이에서도 연령, 조음문제 심각도, 치료기간, 치료 내용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서 말 문제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CAS 대상자 수가 적지만 연령과 핵심적인 특징을 보이는 수, 치료기간 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동질적인 CAS 아동을 수집하고자 노력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10,000명당 1명이라는 낮은 출현율 (ASHA, 2007)을 고려하여 보다 장기간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여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 말실행증의 문제는 무엇인가? 아동기 말실행증(childhood apraxia of speech; 이하 CAS)은 의도적인 말(speech)움직임의 손상으로 간주되며, 말운동 계획 (planning)과 프로그래밍의 장애로 설명되어진다. 최근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이하 ASHA)에서는 “CAS란 말 운동 장애로 CAS를 동반한 아동은 소리와 음절, 낱말들을 말할 때 문제를 갖는다. 이것은 근육의 약화나 마비 때문이 아니고 입술, 턱, 혀 등을 움직이기 위한 뇌의 계획(planning)의 문제이다. 아동은 말하기 원하지만 뇌의 문제로 낱말을 말할 때 필요한 근육의 협응이 되지 않는다.
아동기 말실행증은 어떻게 설명되는가? 아동기 말실행증(childhood apraxia of speech; 이하 CAS)은 의도적인 말(speech)움직임의 손상으로 간주되며, 말운동 계획 (planning)과 프로그래밍의 장애로 설명되어진다. 최근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이하 ASHA)에서는 “CAS란 말 운동 장애로 CAS를 동반한 아동은 소리와 음절, 낱말들을 말할 때 문제를 갖는다.
ASHA에 따른 CAS의 출현율은 어느 정도인가? ASHA에 따르면 CAS의 출현율은 미국 인구 10,000명당 1~2명이라고 하고 CAS의 원인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 신경학적 문제로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유전적 문제의 가능성이 연구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HA (2007). Childhood Apraxia of Speech [technical report]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Available from www.asha.org/policy. 

  2. ASHA (2013). Childhood Apraxia of Speech,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Available from www.asha.org/policy. 

  3. Azza, A. A., Sahar, S., Dalia, M. O. and Emad, I. H. (2010). Childhood apraxia of speech and multiple phonological disorders in Cairo-Egyptian Arabic speaking children: language, speech, and oro-motor differ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4, 578-585. 

  4. Blumstien, S., cooper, W., Goodglass, H. and Gottleb, J. (1980). Production deficits in aphasia: a voice-onset time analysis. Brain and Language, 9, 153-170. 

  5. Freeman, F., Sands, E. S. and Harris, K. (1978). Temporal coordination of phonation and articulation in a case of verbal apraxia: a voice onset time study. Brain and Language, 6, 106-111. 

  6. Groenen, P., Maassen, B., Crul, T. and Thoonen, G. (1996). The specific 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errors for place of articulation in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3), 468-482. 

  7. Hall, P., Jordan, L. and Fobin, D. editors. (2007).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2nd. Austin, TX: Pro-ed. 

  8. Hoit-Dalgaard, J., Jurry, T. and Kopp, H. (1983). Voice onset time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apraxia subjects, Brain and Language, 20, 329-339. 

  9. Kim, M. J. (2005).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Seoul: Yonsei university. (김민정 (2005).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의 개발,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0. Lee, S. Y. (2013). A study of memory function in children with childhood of apraxia of speech, Daegu university. (이세연 (2013). 시각 청각자극 입력 기억과제에 나타난 아동기 말실해증과 음운장애아동의 동시적, 순차적 기억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11. Lewis, B., Freebairn, L., Hansen, A., Iyengar, S. and Taylor, H. (2004). School-age follow-up of children with childhood apraxia of speech.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5, 122-140. 

  12. Maassen, B., Groenen, P. and Crul, T. (2003). Auditory and phonetic perception of vowels in children with apraxic speech disorders.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17 (6), 447-467. 

  13. Nijland, L., Maassen, B. and Van der Meulen, S. (2003). Evidence of motor programming deficits in children diagnosed with DA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46 (2), 437-450. 

  14. Nijland, L., Maassen, B., Van der Meulen, S., Gabreels, F., Kraaimaat, F. W. and Schreuder, R. (2003). Planning of syllabl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17 (1), 1-24. 

  15. Park. H. J. (2006). A study of suprasegmental abili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developmental verbal apraxia and phonological disorder-focusing on perceptual and acoustic analysis, Daegu university. (박희정 (2006). 발달성 말실행증과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초분절적 특성 비교 : 청지각 및 음향학적 평가과제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16. Park. H. J. and Seok. D. I. (2006). A study of internal juncture and IP-final boundary tone in sentence acc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developmental verbal apraxia and phonological disorder,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7 (1), 557-575. (박희정.석동일 (2006). 발달성 말실행증의 연접과 문미 억양구 특성 비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 (1), 557-575.) 

  17. Seddoh, S. A. k., Robin, D. A., Hageman, C., Sim, H. S., Moon, J. B. and Folkins, J. W. (1996). Temporal control in apraxia of speech: an acoustic investigation of token-to-token variability. Clinical aphasiology, 24, 65-81. 

  18. Skinder, A. E. (2000). The relationships of prosodic and articulatory errors prod-used b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Unpublished Doctoral of Philosophy,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USA. 

  19. Stackhouse, J. and Wells, B. (1997). Children's speech and literacy difficulties. Whurr Publishers Ltd, London. 

  20. Thoonen, G., Maassen, B., Wit, J., Gabreels, F. and Schreuder, R. (1996). The integrated use of maximum performance tasks in differential diagnostic evaluations among children with motor speech disorders.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10, 311-336. 

  21. Thoonen, G., Maassen. B., Gabreeels, F., Schreuder, R. and de Swart, B. (1997). Towards a standardised assessment procedure for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European Journal of Disorders of Communication, 32, 37-60. 

  22. Thoonen, G., Maassen, B., Gabreels, F., and Schreuder, R. (1999). Validity of maximum performance tasks to diagnose motor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13, 1-23. 

  23. Ziegler, S. (1987). Phonetic realization of phonological contrast in aphasic patients, In phonetic aphasia and related disorders(ed. ryalls JH), College hill, 163-179. 

  24. Ziegler, S. and Von Cramon D. (1986). Timing deficits in apraxia of speech.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cience, 236, 4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