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성 신호 분류에 따른 장애 음성의 변동률 분석, 비선형 동적 분석, 캡스트럼 분석의 유용성
The Utility of Perturbation, Non-linear dynamic, and Cepstrum measures of dysphonia according to Signal Typing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3, 2014년, pp.63 - 72  

최성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  최철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assessed the utility of acoustic analyses the most commonly used in routine clinical voice assessment including perturbation, nonlinear dynamic analysis, and Spectral/Cepstrum analysis based on signal typing of dysphonic voices and investigated their applicability of clinical aco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병원 음성 센터에서 음성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의 장애 음성을 대상으로 음성 신호를 분류하여 이에 따른 청지각적 평가 및 음향학적 분석을 실시하고 측정치를 비교하여 장애 음성의 특징을 파악하고, 현재 사용되는 음향학적 검사 측정치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 2013).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의 음성 신호와 비교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음성 장애 신호들의 특성을 비선형 동적 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장애 음성의 중증도에 따른 비선형적인 동역학 특징으로 기술할 수 있었다. 하지만 Type4와 같은 고차원계의 신호를 소음과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향학적 평가의 특징은? 음성 평가에 대한 과학 기술의 진보와 함께 정상 음성으로부터 장애 음성을 판별하고 중증도에 따라 분류할 뿐 아니라, 장애 음성의 특성을 잘 기술하고, 성대의 생체 역학적(biomechanical) 변화에 민감하고, 진단과 치료 변화 여부에 임상적으로 유용한 음성 평가 파라미터를 찾아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음향학적 평가는 비침습적이고, 청지각적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이며, 녹음 절차가 간단하여 임상적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임상과 연구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기반 음성 프로그램인 MDVP (Multi -Dimensional Voice Program)이나 PRAAT에 의한 장애 음성의 음향학적 분석 결과, 개개의 측정 변수들에 의한 결과들이 두 프로그램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MDVP를 사용했을 때 장애 음성의 약 20% 정도는 분석이 불가능하였고, 이러한 장애 음성들이 Type 2나 Type 3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arding et al.
MDVP를 사용한 음향분석이 가지는 특징은? 이러한 관점에서, 음향학적 평가는 비침습적이고, 청지각적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이며, 녹음 절차가 간단하여 임상적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임상과 연구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기반 음성 프로그램인 MDVP (Multi -Dimensional Voice Program)이나 PRAAT에 의한 장애 음성의 음향학적 분석 결과, 개개의 측정 변수들에 의한 결과들이 두 프로그램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MDVP를 사용했을 때 장애 음성의 약 20% 정도는 분석이 불가능하였고, 이러한 장애 음성들이 Type 2나 Type 3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arding et al., 2004).
MDVP 및 전통적인 음향학적 분석이 가지는 한계는? , 2004). 또한 대부분의 전통적인 음향학적 분석들은 주기적이거나 준주기적(quasi-periodic)인 Type 1 신호만이 신뢰성 있는 변동률(perturbation) 분석이 가능하므로(Titze, 1995), 모음 연장 발성에서도 안정된 부분에 한하여 분석을 해야 하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비주기적이거나 비선형적인 음성 신호들은 정확한 기본주파수 추출을 기반으로 하는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분석(time-domain based analysis)인 jitter, shimmer, 조화비대잡음비(HNR 혹은 SNR)와 같은 변동률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wan, S.N., & Roy, N. (2005). Acoustic prediction of voice type in women with functional dysphonia. Journal of Voice, 19(2), 268-82. 

  2. Awan, S.N., Roy, N., & Dromey, C. (2009). Estimating dysphonia severity in continuous speech: application of a multi-parameter spectral/cepstral model.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23(11), 825-841. 

  3. Awan, S.N., Roy, N., Jette, M.E., Meltzner, G.S., & Hillman, R.E. (2010). Quantifying dysphonia severity using a spectral/cepstral-based acoustic index: comparison with auditory-perceptual judgments from the CAPE-V.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24(9), 742-758. 

  4. Balasubramanium, R. K., Bhat, J. S., Fahim, I. S., & Raju, I.R. (2011). Cepstral analysis of voice in unilateral adductor vocal fold palsy. Journal of Voice, 25(3), 326-329. 

  5. Carding, P.N., Steen, I.N., Webb, A., MacKenzie, K., Deary, I.J., & Wilson, J.A. (2004). The reliability and sensitivity to change of acoustic measures of voice quality. Clinical Otolaryngology and allied Sciences, 29(5), 538-44. 

  6. Choi, S. H., Zhang, Y., Jiang, J.J., Bless, D.M., & Welham, N.V. (2012). Nonlinear dynamic-based analysis of severe dysphonia in patients with vocal fold scar and sulcus vocalis. Journal of Voice, 26(5), 566-576. 

  7. Heman-Ackah, Y.D., Heuer, R.J., Michael, D.D., Ostrowski, R., Horman, M., Baroody, M.M., & Sataloff, R.T. (2003). Cepstral peak prominence: a more reliable measure of dysphonia.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112(4), 324-333. 

  8. Jiang, J.J., Zhang, Y., & McGilligan, C. (2006). Chaos in voice, from modeling to measurement. Journal of Voice, 20, 2-17. 

  9. Kang, Y., & Seong, C. (2012). A cepstral analysis of breathy voice with vocal fold par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4(2), 89-94. (강영애.성철재(2012). 성대마비로 인한 기식 음성에 대한 Cepstral 분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4(2), 89-94). 

  10. Maryn, Y., Roy, N., De Bodt M., Van Cauwenberge, P., & Corthals, P. (2009). Acoustic measurement of overall voice quality: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6(5), 2619-2634. 

  11. Radish, K. B., Bhat, J. S., & Prasad, N. (2010). Cepstral analysis of voice in persons with vocal nodules. Journal of Voice, 24(6), 651-653. 

  12. Seo, I., & Seong, C. (2013). Voice quality of dysarthric speakers in connected spee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5(4), 33-41. (서인효.성철재(2013). 연결발화에서 마비말화자의 음질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5(4), 33-41.) 

  13. Shim, H. J., Jang, H. R., Shin, H. B., & Ko, D.H. (2014). Spectral and Cepstral analyses of Esophageal Spea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6(2), 47-54. (심희정, 장효령, 신희백, 고도흥(2014). 식도발성화자 음성의 spectral & cepstrum 분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6(2), 47-54.) 

  14. Sprecher, A., Olszewski, A., Jiang, J.J., & Zhang, Y. (2010). Updating signal typing in voice: addition of type 4 signals.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7(6), 3710-16. 

  15. Titze, I.R. (1995). Workshop on acoustic voice analysis: Summary statement. National Center for Voice and Speech; Iowa City, IA. 

  16. Yang, A.C., Wang, S.J., Lai, K.L., Tsai, C.F., Yang, C.H., Hwang, J.P., Lo, M.T., Huang, N.E., Peng, C.K., & Fuh, J.L. (2013). Cognitive and neuropsychiatric correlates of EEG dynamic complexit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47, 52-61. 

  17. Zhang, Y., & Jiang, J.J. (2008). Acoustic analyses of sustained and running voices from patients with laryngeal pathologies. Journal of Voice, 22,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