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대한 미용 칼라렌즈의 탈색 관찰
Bleaching Observation of Cosmetic Color Lenses According to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3 = no.56, 2014년, pp.295 - 303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렌즈 관리에 이용되는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의한 탈색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6개월용 착용렌즈로 굴절력이 0.00 D이며, 주변부가 다른 제조공법으로 착색된 세 가지 칼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타입 1: pigment application method, 타입 2: chemical bonding process, 타입 3: sandwich method), 다목적용액은 성분이 다른 두 종류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칼라 콘택트렌즈는 다목적용액에서 20일간 보관하면서 1일 15초 동안 소용돌이 혼합(vortexing) 하였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형광흡광도, 표면사진 그리고 명도지수와 색좌표지수를 측정하여 탈색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두 종류의 다목적용액에서 모든 타입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형광 흡광도 값은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면사진은 렌즈의 전면은 모든 타입에서 매끄러웠고, 후면은 타입 3은 1과 2 보다 돌출된 정도가 적었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 렌즈 표면색의 색차 변화는 타입 3이 타입 1과 2보다 유의하게 변화도가 작았으나 모두 허용오차 안에 들었다.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 다목적 용액에 의한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탈색은 형광 흡광도와 표면색 측정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따라 렌즈 후면의 돌출된 정도는 달랐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observe bleaching resulted from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used to manage lenses with the subjects of colored contact lenses being distributed in Korea. Methods: The lenses have been worn for six months, and their refraction is 0.00D. Three types of colored co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5] 또한 색소가 균질하지 않게 거칠게 착색된 경우 각막염 및 각막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각막궤양으로 진행할 수 있다.[14] 본 연구에서는 색소를 렌즈에 부착하는 방법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유발시킬 수 있는 렌즈의 표면 사진을 중점적으로 관찰하였고, 이와 함께 염료의 탈색을 측정하기 위해서 형광 흡광도와 색변화를 시도하였다.
  •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의한 sandwich method로 제조된 칼라 렌즈의 탈색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따른 다목적용액의 탈색을 비교하고자 함수율과 중심두께는 동일하고, pigment application method, chemical bonding process, sandwich method로 제조된 세 종류의 렌즈에 대하여 형광 흡광도, 표면사진 촬영과 색차계 분석을 통해 칼라 콘택트렌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igment application method와 chemical bonding process, sandwich method의 제조과정으로 염색된 6개월용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해 다목적 용액에 의한 탈색을 관찰하고자 형광 흡광도, 표면사진 그리고 색차 변화를 측정하였다.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따라 렌즈의 후면부 표면 사진은 돌출 정도가 달랐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료를 렌즈에 착색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탈색 및 변색은 제조공법의 기술적인 문제와 관리용액 및 관리방법의 문제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5,6] 먼저 염료를 렌즈에 착색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콘택트렌즈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염료를 부착하는 pigment application method, 염료를 렌즈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내부로 침투시키는 pigment inlay method, 콘택트렌즈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염료를 넣고 접합시키는 sandwich method, 접착제착색법(chemical bond tinting), 염료분산착색법(dye dispersion, tinting), 용기내염료착색법(vat dye tinting), 박막착색법 (laminate tinting), swelling method가 있으며,[7,8] 각각의 제조방법에 따라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착색과정에서 표면에 착색된 렌즈는 표면의 사진으로 인해 착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전 연구에서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용칼라 콘택트렌즈를 무작위로 수집하여 표면 사진 이외에 용출물 시험과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1,2] 따라서 의료 목적 이외에 미용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홍채 색상과 디자인으로 개발 되어 판매되고 있다.[3] 그러나 일반 콘택트렌즈와 달리 칼라 콘택트렌즈는 염료가 렌즈에 착색되기 때문에 렌즈의 물성 변화나 렌즈 착용시 눈 환경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3] 이전의 보고에 의하면 부정난시의 유발, 각 막부종, 그리고 투과율 저하와 같은 단점이 있었다.
칼라 콘택트렌즈의 단점은? [3] 그러나 일반 콘택트렌즈와 달리 칼라 콘택트렌즈는 염료가 렌즈에 착색되기 때문에 렌즈의 물성 변화나 렌즈 착용시 눈 환경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3] 이전의 보고에 의하면 부정난시의 유발, 각 막부종, 그리고 투과율 저하와 같은 단점이 있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organ PB, Woods CAG, Helland TI, Efron M, Grupcheva NCN, Tan DJ, et al.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11. Cont Lens Spectr. 2012;27(1):26-32. 

  2. Morgan PB, Woods CAG, Helland TI, Efron M, Orihuela N, Grupcheva NCN et al.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12. Cont Lens Spectr. 2013;28(2):31-38. 

  3. Park HJ. The evaluation of property of colored contact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5;10(2):119-126. 

  4. Gauthier CA, Grant T, Holden BA. Clinical performance of two opaque, tinted soft contact lenses. J Am Optom Assoc. 1992;63(5):344-349. 

  5. Kim JM, Lee YH, Cho SK, Lee SA, Ra MS. Relationship between care system and bleaching effect on cosmetic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2000;2(2):229-235 . 

  6. Lutzi FG, Chou BR, Egan DJ. Tinted hydrogel lenses permanency of tint. Am J Optom Physiol Optics. 1985;62(5): 329-333. 

  7. Efron N. Contact lens practice. Edinburgh: Butterworth- Heinemann, 2002;253-260. 

  8. Jung MA, Lee HJ. Survey on cosmetic color contact lens wear status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Korean J Vis Sci. 2013;15(4):339-446. 

  9. Kim DH, Oh SJ, Hwang JH, Sung DY, Jeon IC, Choi HY et al. Th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smetic color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2008;10(3): 239-259. 

  10. Kim KS, Jeon DW, Ha BJ. Studies on the surface color and tensile property of hair according to bleaching treatment. J Fashion Bus. 2006;10(1):94-105. 

  11. Yoon BT, Ryu JY, Shin JH, Song BK, Kim TJ, Jeon Y. Development of decolorizing method for color ledger. J Kor TAPPI. 2002;32(2):45-50. 

  12. Kim SY. A study on bleaching and hair damage by concentration of sodium metasilicate in bleaching agent.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12;25. 

  13. Chung Y. Decolourization of denim with laccase and mediator.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12;15. 

  14.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Contact lens :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Naewaehaksool. 2007;123-127. 

  15. Kim SR, Park SH, Joo SO, Lee HR, Park MJ. A comparison of the movements of circle contact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on corne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1):27-35. 

  16. Kim MJ, Hwang HY, Jang WY, Hong HK.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rogression of dry eyes caused by wearing soft contact lenses(SCL) and cosmetic soft contact lenses(C-SCL).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4): 375-381. 

  17. Kim SR, Kang UR, Seo BM, Park MJ. A Study on Dye Elution from the Circle Contact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171-177. 

  18.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Contact lens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Naewaehaksool. 2007;225-232. 

  19. Park HJ. Review on the fabric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colored contact le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5;10(2):127-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