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축건물에서 안구건조증이 작업생산성과 일상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 Eye Symptoms o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 Activity in Newly Building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3 = no.56, 2014년, pp.389 - 396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박찬정 (코웨이 환경기술연구소) ,  임병서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호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신축건물 재실자들의 안구건조증을 조사하고, 안구건조증이 작업생산성 및 일상적인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신축한지 3개월이 지난 건물에서 일 평균 8시간 이상을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내공기질은 알데하이드류와 온습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안구건조증은 Ocular Surface Disease Index(OSDI)를 이용하여 정상, 경도, 중등도 및 중증으로 분류하였고, 라식수술, 눈 화장, 일일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그리고 일일 평균 근무시간을 조사하였다. 작업생산성과 일상활동 관련 설문은 Work Limitation Productivity 설문을 사용하여 손실정도를 10점 척도로 체크하였다. 결과: 사무실의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42.42{\pm}6.30{\mu}g/m^3$ 이었고, 온습도는 각각 $26.2{\pm}0.7^{\circ}C$$40{\pm}1%$ 였다. 안구건조증은 정상, 경도, 중등도 및 중증이 각각 15.2%, 18.2%, 18.2%, 48.5%였다. 안구건조증의 심한 정도와 작업생산성 및 일상적인 활동의 손실 정도는 각각 0.599와 0.655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01). 안구건조증이 중증인 경우는 정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작업생산성 손실과 일상활동 저해를 나타냈다(p<0.001). 안구건조증이 심한 경우는 정상에 비해 작업생산성 손실과 일상활동 저해가 3점 이상일 확률이 각각 3.26배(p=0.032)와 2.25배(p=0.045) 높았다. 결론: 신축건물 사무직 근로자들의 안구건조증은 작업생산성과 일상적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examined dry eye symptoms of occupants in a newly constructed building and its effects on their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 activit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33 office workers who spent more than eight hours per day on average in a new building constructed in the pas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기 때문에 실내공기질은 재실자들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되고 있다. [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근무 시간을 신축건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안구건조증 정도를 조사하고, 이와 작업생산성 그리고 일상활동의 손실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축건물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노출된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건물 완공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안구건조증이 작업생산성 손실과 일상적인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축건물이 방출하는 화학물질이 유발하는 질병은? 신축건물은 벽지, 바닥재, 페인트 등 각종 건축자제에서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등의 화학물질을 방출한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대표적인 실내공기오염 물질로 천식, 알레르기 등 호흡기질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이에 인체 각 기관을 자극하여 피로감, 아토피, 두통, 현기증과 같은 새집증후군을 유발시킨다.[1,2] 특히, 안구에도 자극 증상을 유발시켜 안구건조, 가려움, 결막충혈, 경도의 안통과 같은 증상을 가져온다.
신축건물이 방출하는 화학물질은? 신축건물은 벽지, 바닥재, 페인트 등 각종 건축자제에서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등의 화학물질을 방출한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대표적인 실내공기오염 물질로 천식, 알레르기 등 호흡기질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이에 인체 각 기관을 자극하여 피로감, 아토피, 두통, 현기증과 같은 새집증후군을 유발시킨다.
신축건물 재실자들의 안구건조증을 조사한 결과, 어떠한 결론이 도출되었는가? 045) 높았다. 결론: 신축건물 사무직 근로자들의 안구건조증은 작업생산성과 일상적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dgson M. Indoor environmental exposure and symptoms. Environ Health Perspec. 2002;110(4):663-667. 

  2. Kjærgaard S, The irritated eye in indoor environment. In: Spengler JD, Samet JM and McCarthy JF. (eds) Indoor air quality handbook, New York, McGraw-Hill. 2000;17.1-17.15. 

  3. Peder W. Healthy eye in office-like environments. Environment International. 2008;34:1204-1214. 

  4. Kim WJ, Kim SD, Kim HJ, Kim HH. Impact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eye conditions of occupants in newly-built University building.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 16(2):201-207. 

  5. Paulsen AJ, Cruickshanks KJ, Fischer ME, Huang GH, Klein BE, Ronald K, et al. Dry eye in the Beaver Dam Offspring Stud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 J Ophthalmol. 2014;157:799-806. 

  6. The definition and class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Ocul Surf. 2007;5:75-92. 

  7. Schiffman RM, Walt JG, Jacobsen G, Doyle JJ, Lebovics G, Sumner W. Utility assessment among patients with dry eye diasease. Ophthalmology. 2003;110(7):1412-1419. 

  8. Patel VD, Watanabe JH, Strauss JA, Dubey AT. Work productivity loss in patients with dry eye disease: an online surgey.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011; 27(5):1041-1048. 

  9. Miller KL, Walt JG, Mink DR, Satram-Hoang S, Wilson SE, Perry HD, et al.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for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rch Ophtlalmol. 2010;128:94-101. 

  10. Sim J, Kim HH, Lee YW, Lim YW, Park JH, Kim KJ,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nd ocular symptoms for children in new built school.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4):457-467. 

  11. Kim DP, Lee KJ, Eom JH, Choi SM, Doo HY, Park MJ, et al. Ocular symptoms of contact lens wearers identified by a dry eye survey. Korean J Vis Sci. 2011;13(3):213-223. 

  12. Reilly MC, Zbrozek AS, Dukes EM. The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a work productivity and activity impairment instrument. Pharmacoeconomics. 1993;4:353-365. 

  13. Yun CM, Kang SY, Kim HM, Song JS.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4):505-509. 

  14. Brewitt H, Sistani F. Dry eye disease: the scale of the problem. Surv Ophthalmol 2001;45: Suppl 2:S199-902. 

  15. The epidemiology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Epidemiology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Ocul Surf 2007;5:93-107. 

  16. Nakaishi H, Yamada Y. Abnormal tear dynamics and symptoms of eyestrain in operators of visual display terminals. Occup Environ Med 1999;56:6-9. 

  17. Farris RL. The dry eye: its mechanism and therapy, with evidence that contact lens is a cause. CLAO J. 1986;12: 234-246. 

  18. Kim DJ, Park MC, Lee SH, Kim HU, Lee HJ, Cha JW. The influence of office indoor air quality dry eye symptom of contact lens wear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2):215-222. 

  19. Lim YW, Yang JY, Kim HH, Lee YG, Kim YS, Kang SK, et al. Health risk assessment in terms of VOC at newlybuilt apartment house. J Korean Soc Indoor Environ. 2006;3:211-23. 

  20. Jeong HJ, Lim JS, Oh DK, Chi MJ, Paik HJ, Shyn KH,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ry eye syndrome in the Incheon a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0): 1135-1141. 

  21. Uchino M, Uchino Y, Dogru M, Kawashima M, Yokoi N, Komuro A. Dry eye disease and work productivity loss in visual display users: the osaka study. Am J Ophthalmol. 2014;157:294-300. 

  22. Yamada M, Muzuno Y, Shigeyasu C. Impact of dry eye on work productivity. Clinicoconomics and outcomes research. 2012;4:307-312. 

  23. Bender JR, Mullin LS, Graepel GJ, Wilson WE. Eye irritation response of humans to formaldehyd. Am Ind Hyg Assoc J. 1983;44(6):463-465. 

  24. Chalmers RL, Begley CG, Caffery B. Validation of the 5- item dry eye questionnaire (DEQ-5): Discrimanation across self-assessed severity and aqueous tear deficient dry eye diagnoses. Contact Lens & Anterior Eye. 2010;33:55-60. 

  25. Schiffman RM, Christianson MD, Jacobeson G, Hirsch JD, Reis B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rch Ophthalmol. 2000;118:614-621. 

  26. Tang K, Beaton DE, Lacaille D, Gignac MA, Bombardier C; Canadian Arthritis Network (CAN) Work Productivity Group. Sensibility of five at-work productivity measures was endorsed by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r rheumatoid arthritis. J Clin Epidemiol. 2013;66(5):546-556. 

  27. Shimmura S, Shimazaki J, Tsubota K. Results of a population- based questionnare on the symptoms and lifestyles associated with dry eye. Cornea. 1999;18:408-411. 

  28. Jeong GH, Chon TY. Study of indoor air quality from the several offices in Busan area. J Korean Soc Environ Analysis. 2006;9(1):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