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광역 사면안정 해석(2): 결과분석
Large-Scale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2): Analysis of Application Result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3, 2014년, pp.1 - 19  

오성렬 (국토교통부 금강홍수통제소) ,  이기하 (경북대학교 건설방재공학부) ,  최병습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사업본부) ,  이건혁 (한국수자원공사 미래기술안전본부 엔지니어링처)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된 광역 사면안정해석 방법론(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광역 사면안정 해석(1): 방법론)에 근거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역규모의 A1B 시나리오 기반의 RCM 자료와 비집수면적 개념을 도입한 GIS기반의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수계(20개 중권역)를 대상으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사면안정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광역 사면안정해석을 위해 필요한 중요 지형학적, 지질학적, 임상학적 매개변수의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1971년부터 2000년까지를 현재기간, 2011년부터 2100년까지를 미래기간으로 하여 연도별 일최대강우량을 입력자료로 하여 현재기간 대비 미래기간 동안의 전라북도 수계 20개 중권역에 대한 사면안정성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전라북도 수계 전체에 대한 사면안정 해석결과, 유역전체 평균 사면안정도는 1.36으로 Moderately Stable 상태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전체의 변동 양상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현재기간 대비 사면안전성이 향상되는 중권역은 7개소(용담댐, 무주남대천, 논산천, 금강하구언, 동진강, 주진천, 와탄천)였으며, 사면안정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중권역은 5개소(용담댐하류, 영동천, 오수천, 섬진곡성, 황룡강)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lope stability variation of Jeonbuk drainage areas by RCM model outputs based on A1B climate change scenario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by Choi et al.(2013). For a large-scale slope stability analysis, we developed a GIS-based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ECHO-G에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산출을 위해 사용된 배출시나리오 중 IPCC 배출시나리오 특별보고서(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SRES)의 A1B 시나 리오 사용하여 산출된 GCM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A1B 시나리오는 현재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점차 증가하여 2050년경에 정점에 도달한 다음 그 이후 다소 감소하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2100년경에 700ppm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시나리오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수계(20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광역 사면안정해석 방법론에 근거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역규모의 A1B 시나리오 기반의 RCM 자료와 비집수면적 개념을 도입한 GIS기반의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사면안정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광역 사면안정해석을 위해 필요한 중요 지형학적, 지질학적, 임상학적 매개변수의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1971년부터 2000년까지를 현재기간(P0), 2011년부터 2040년(P1), 2041년부터 2070년(P2), 2071년부터 2100년(P4)까지를 미래기간으로 하여 연도별 일최대강우량을 입력자료로 하여 현재기간 대비 미래기간 동안의 전라북도 수계 20개 중권역에 대한 사면안정성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광역적산사태 발생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우리나라 전라북도 수계를 대상으로 사면안전율 분석에 필요한 지형학적, 지질학적, 식생인자 별 매개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해 생산된 RCM 강우량 자료의 편의보정과 상세화 과정을 통해 2100년까지의 일 강우량 자료를 생산하였으며, 이를 역거리법(inverse distance weight method)을 통해 전라북도 유역에 대한 공간분포형 강우장(rainfall field) 자료를 생성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1B 시나리오란? 본 연구에서는 ECHO-G에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산출을 위해 사용된 배출시나리오 중 IPCC 배출시나리오 특별보고서(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SRES)의 A1B 시나 리오 사용하여 산출된 GCM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A1B 시나리오는 현재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점차 증가하여 2050년경에 정점에 도달한 다음 그 이후 다소 감소하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2100년경에 700ppm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시나리오이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역기후변화 자료는 한반도를 중심(38°N, 125°E)으로 27km 해상도를 가지며, 125(동서)×105(남북)의 격자 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MM5(Mesoscale Model Version5)모델에서 생산된 1971~2100년까지의 RCM 강우량자료이다.
사면 안정해석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어떤 단계들로 진행되었는가? (2012)은 2012년 산사태가 발생한 우면산지역을 대상으로 지형학적, 지질학적, 식생요인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산사태 발생 당일의 AWS 강우량을 적용하여 생산된 흐름분배기법별 공간 분포형 사면안전율과 집중형 습윤지수 적용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사면 안정해석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사면안정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통계 적인 분석을 통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 하는 단계를 거쳐서, 산사태 발생지점과 변수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통계적인 모형을 통해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로 진행되 었다(Kim et al., 2013) 하지만 적용 대상지역의 범위가 제한적이며, 기후변화로 인한 외적요인의 변화양상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내적 요인은? , 2005). 내적요인에는 토심, 토성, 모암의 재질과 같은 지질학적 요인과 경사, 고도, 방위 등과 같은 지형학적 요인을 의미하며, 외적요인은 지진이나 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사태는 내적요인의 변화보다는 외적요인에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국내에서는 그중에서도 지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산사태는 드물며, 대부분은 강우의 영향으로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rga, M., G. Dalla Fontana, D. Da Ros and L. Marchi. 1998. Shallow landslide hazard assessment using physically based model and digital elevation data. Bulletin of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35:81-88. 

  2. Borga, M., G. Dalla Fontana and F. Cazorzi. 2002. Analysis of topographic and climatic control on rainfall triggered shallow landsliding using a quasidynamic wetness index. Journal of Hydrology 268:56-71. 

  3. Borgatti, L. and M. Soldati. 2010. Landslides as a geomorphological proxy for climate change: a record from the Dolomites(northern ITALY). Geomorphology 120(I-2):56-64. 

  4. Choi, B.S., S.R. Oh, K.H. Lee, G.H. Lee and H.H. Kwon. 2013. Large-scale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1): methodolog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193-210 (최병습, 오성렬, 이건혁, 이기하, 권현한. 2013.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광역 사면안정 해석(I): 방법론.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 193-210). 

  5. Choi, J.R. 2010. Assessment of potential landslides in Naerin watershed: linking eco-hydrology model and stability model.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34-41 (최정렬. 2010. 생태수문모형과 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한 내린천 유역의 잠재 산사태 위험도 평가.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41쪽). 

  6. Kim, B.S. 2013. Climate change and landsli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4):44-51 (김병식. 2013. 기후변화와 토사재해, 한국방재학회지 13(4):44-51). 

  7. Kim, H.G., D.K. Lee, Y.W. Mo, S.H. Kil, C. Park and S.J. Lee. 2013. Prediction of landslides occurrence probability under cl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2(1):39-50 (김호걸, 이동근, 모용원, 길승호, 박찬, 이수재. 2013. MaxEnt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발생 가능성 예측.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2(1):39-50). 

  8. Kim, K.S., W.Y. Kim, B.G. Chae, Y.S. Song and Y.C. Cho. 2005.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is of landslides on natural slopes induced by rainfall -Yongin .Ansung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5(2):105-121. (김경수, 김원영, 채병공, 송영석, 조용찬. 2005.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의 지질 공학적 분석 -용인.안성지역을 대상으로-. 대한지질공학회지 15(2):105-121). 

  9. Kim, M.G. 2005. GIS landslide hazard mapping using root strength reinforcement model.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pp.1-29 (김민구. 2005. 뿌리보강모델을 활용한 GIS 산사태 위험도 작성방법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9쪽). 

  10. Kim, S.W., K.W. Chun, J.H. Kim, M.S. Kim and M.S. Kim. 2012.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for landslide-triggering in 2011.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101(1):28-35 (김석우, 전근우, 김진학, 김민식, 김민석. 2012.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분석. 한국임학회지 101(1):28-35). 

  11. Lee, G.H., S.R. Oh, H.U. An and K.S. Jung.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n slope stability using specific catchment area calcul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7):643-656 (이기하, 오성렬, 안현욱, 정관수. 2012. 학술논문 비 집수면적 산정기법에 따른 사면 안정성 비교.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5(7):643-656). 

  12. Lee, H.W. 2011. Analysis of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probabilistic method and GIS. Master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p.1-87 (이헌우. 2011. 확률론적 해석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7쪽). 

  13. Lee, J.W. 2005. Survey about largescale damaged mountain, monitoring scheme for cause analysis and sustainable forest conservation.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36pp (이준우. 2005. 대규모 산지훼손지 실태조사, 원인분석 및 지속가능한 산지보전을 위한 모니터링 방안. 한국산지보전협회. 36쪽). 

  14. Lee, M.J., S.R. Lee and S.W. Jeon. 2012. Landslide hazard mapping and verification using probability rainfal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57-70 (이명진, 이사로, 전성우. 2012. 미래 확률강우량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분석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2): 57-70). 

  15. Lee, S.R. 199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techniqu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Doctorate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pp.148-150 (이사로. 1999. 지리정보시스템(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8-150쪽). 

  16. Montgomery, D.R. and W.E. Dietrich. 1994. A physically based model for the topographic control on shallow landsliding. Water Resources Research 30(4):1153-1171. 

  17.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03. Slope failure disaster research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80pp (국립방재연구소. 2003. 지리정보시스 템을 이용한 사면붕괴 재해 연구. 80쪽). 

  18. Park, D.K., J.L. Oh and J.H. Park. 2006. Ground disasters and policy about prevention of disasters in Korea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pp.185 -189 (박덕근, 오정림, 박정훈. 2006. 우리나라 지반재해와 방재정책. 대한지질공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185-189쪽). 

  19. Rawls, W.J. and D.L. Brakensiek. 1985. Prediction of soil water properties for hydrologic modeling. Proceedings of a Symposium ASCE, New York. pp.293. 

  20. Rawls, W.J., D.L. Brakensiek and N. Miller. 1983. Green-ampt infiltration parameters from soil data.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09(1):62-70. 

  21. Wu, T.H., W.P. McKinell and D.N. Swanston. 1979. Strength of tree roots and landslide on prince of Wales island, Alaska.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16(1):19-33. 

  22. Yeon, Y.K. 2011. Evaluation and analysis of Gwangwon-do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116-127 (연영광. 2011.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산사태 취약성 평가 및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116-1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