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자기상관을 활용한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의 공간적 확산 분석
An Analysis on the Spatial Spillover Patterns of Aging Population in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3, 2014년, pp.39 - 53  

여창환 (대구대학교 행정학과) ,  서윤희 (대구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현상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가 도시지역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구 고령화에 관련한 정책이나 연구들은 농촌지역보다 주로 도시지역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고령화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고, 나아가 지역 맞춤형 인구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 수준을 미시적으로 제시하고 인구 고령화 현상의 공간적 확산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읍면 단위의 농촌지역에 따라 인구 고령화 수준과 공간적 확산 패턴이 각각 다르게 분석되었다. 둘째, 고령화의 시공간적 확산 측면에서 인구 고령화 지수가 높으면서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지역(High-High, hot spot 지역)과 지수가 낮으면서 집중되어 있는 지역(Low-Low, cold spot 지역)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맞춤형 인구 고령화 정책, 특히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population is aging rapidly and a disproportionate share of older people(aged 65 and older) lives in rural areas. The rural population is aging more rapidly than the population in urban area. However, the majority of studies on aging population focuses on an urban area rather than a ru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 고령화 문제에 대비하여 미시적 지역 단위의 맞춤형 제도개선과 정책개발, 특히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안 마련을 위한 소지역 단위의 인구 고령화 수준과 확산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 셋째, 시공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한 시점에서 인구 고령화 수준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 고령화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인구 고령화 수준의 변화를 분석한다. 넷째, 인구 고령화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정책실패를 줄이기 위해 정책의 우선 대상지역이 될 수 있는 인구 고령화 집중지역을 공간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 본 연구는 도시지역 보다 심각하게 전개되고 있는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 현상에 주목하였다. 개별 농촌지역의 내·외부적 특성에 따라 차등하게 나타나는 인구 고령화 수준에 대응한 맞춤형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면단위를 대상으로 인구 고령화 수준과 확산 패턴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etis-Ord Gi*와 LISA 공간 분석 기법을 모두 적용하여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의 수준과 공간적 확산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상기 분석기법, 공간가중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 본 연구와 관련하여 기 진행된 연구는 인구 고령화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와 인구 고령화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로 구분된다. 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는 농촌지역을 포함한 전국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도 있으나 대부분이 서울·수도권, 대도시를 대상지로 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 둘째, 지역이나 권역차원의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 시·군·구 단위로 진행되어 지역의 개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전개되는 인구 고령화 수준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을 분리하여 인구 고령화 수준을 평가한다. 셋째, 시공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한 시점에서 인구 고령화 수준을 평가하였다.
  • 분석결과는 상기 분석기법, 공간가중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분석결과의 신뢰도 및 객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상기 분석기법과 공간가중치별로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 최적의 분석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Glasgow and Brown(2012)는 인구 고령화, 특히 농촌 지역의 인구 고령화 현상에 대해 다음의 4가지 초점을 견지하고 있다. 첫째, 인구 고령화가 무조건 지역에 부정적 영향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둘째, 오히려 인구 고령화는 지역 성장 측면에서 새로운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와 농촌지역을 구분하는 국내 주요 법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즉, 국내 주요 법률에 의하면 도시와 농촌을 구분하는 것이 다르며 부처별로 차이가 있다. 도시와 농촌지역을 구분하는 국내 주요 법률로는 농업농촌기본법,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특별법, 지방자치법 등을 들 수 있다(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2008).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은 동지역만을 도시지역으로 보고 읍·면지역은 농촌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고령화 특화계수는 어떻게 계산하는가? 고령화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고령화 지수(index of aging)와 고령화 특화계수(specialization coefficient of aging)를 계산한다. 고령화 특화계수는 지역의 산업 특화도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계산식에 고령화 지수를 대입하여 계산한다. 고령화 지수는 전체 인구수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으로 계산되며 고령화 지수에 따라 지역을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고령사회(aged society),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로 구분한다.
Getis-Ord Gi*와 LISA은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또한 인구 고령화 현상이 미시적 공간단위에서 집중되거나 분산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Getis-Ord Gi*와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의 공간통계분석기법을 활용한다. 이것은 지역 간 공간적 인접성과 고령화 특화계수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공간적 자기 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을 계산하여 파악할 수 있다. 전자는 G*i를, 후자는 local moran’s index 통계량으로부터 집중과 분산의 공간적 자기상관을 계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anda, D. 2011. On constructing ageing rural populations:'Capturing'the grey nomad. Journal of Rural Studies 27: 191-199. 

  2. Anselin, L. 1988. Spatial Econometrics: Methods and Model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93-115. 

  4. Choi, J.H. 2013. The analysi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popul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6(2): 233-246 (최재헌. 2013. 한국 인구고령화 의 지역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233-246). 

  5. Getis, A. 2010. Constructing the spatial weights matrix using a local statistic. Geographical Analysis 36(2):90-104. 

  6. Getis, A. and K. Ord. 1992. The s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 189-206. 

  7. Jeong, K.S., T.H. Moon, J.H. Jeong and S.Y. Heo. 2009.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crim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1):12-25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허선영. 2009.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 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12-25). 

  8. Keating, N. 2008. Rural Ageing: A Good Place to Grow Old?. The Policy Press. Bristol. 

  9. Kim, H.Y., J.S. Kim and S.H. Lee. 2012.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elimitation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42-54 (김호용, 김지숙, 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42-54). 

  10. Kim, J.H. 2008. A prediction of demographic chan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aging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1(1):31-42 (김정희. 2008, 고령화시대의 수도권 인구구성 변화 예측,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1):31-42). 

  11. Lee, Y.M. and D.H. Koo. 2012.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Busan,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6(2): 161-171 (이유미, 구동회. 2012. 부산시 고령인구의 공간적 분포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46(2):161-171). 

  12. Lowe, P. and Speakman, L. (eds.) 2006. The Ageing Countryside: The Growing Older Population of Rural England, Age Concern England, London. 

  13. Nam, K.W. and I.H. Gwon. 2013. Characteristics for the distribution of elderly population by utilizing the census dat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464-469 (남광우, 권일화. 2013. 센서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인구 분포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1):464-469). 

  14. Nina, g. and David, L. B. 2012. Rural ageing in the United State: trends and contexts. Journal of Rural Studies 28:422-431. 

  15. Ord, J.K. and A. Getis. 1995.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distributional issues and an application. Geographical Analysis 27(3):286-306. 

  16. Sekhar, S. and S. Matthew. 2013.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and accessibility to essential servic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04: 942-951. 

  17. Seo, K.M., H.Y. Kim and T.H. Kwon. 2014.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1-14 (서경민, 김호용, 이성호, 권태호. 2014. 도시계획과 연계한 공간구조의 변화 특성 분석-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2):1-14). 

  18.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2008. Development of indices by types of rural areas (통계개발원. 2008. 농어촌 유형별 지표 개발보고서). 

  19. Yafei, L. and D. Martin and G. Stan. 2014. Residential segregation and well-being inequality between local and migrant elderly in Shanghai. Habitat International 42:175-1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