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적 자기상관을 활용한 지역안전지수의 공간패턴 분석 -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Spatial Pattern of Local Safety Level Index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 Focused on Basic Local Governments, Kore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9 no.1, 2021년, pp.29 - 40  

이미숙 (Dept. of Urban Information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여관현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범죄, 화재, 교통사고 등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인자들은 지역적 맥락과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마다 서로 다른 위험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분야별로 위험요소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분야(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별 안전등급을 측정한 지표인 지역안전지수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역안전지수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위해 전역적 공간자기상관분석(Global Moran's I)과 Local Moran's I를 활용한 LISA(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분석, Getis-Ord's G⁎i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사고, 화재, 자살의 안전지수 분포는 범죄, 생활안전, 감염병의 안전지수보다 공간적으로 집중(clustered) 경향을 보였다. 지역간 유의미한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한 LISA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이 다른 도시에 비하여 지역안전통합지수를 기준으로 비교적 안전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etis-Ord's G⁎i 통계값을 활용한 핫스팟분석 결과 안전 취약지역의 군집인 3개의 핫스팟(강원도 삼척시, 경상북도 청송군, 전라북도 김제시)과 전반적인 안전 수준이 높은 군집인 15개의 콜드스팟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안전 수준 취약지역의 공간적 분포와 패턴을 파악하여 안전 지수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sk factors that threaten public safety such as crime, fire, and traffic accidents have spatial characteristics. Since each region has different dangerous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of risk factors for each sector such as traffic accident, fire, crime, and living s...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1)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 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 27, No. 2, pp. 93-115. 

  2. Bae, S.H. (2018), Spatial clustering analysis of fire in Gangwon-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21, No. 3, pp. 93-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wang, S.Y. and Hwang C.S. (2003), The spatial pattern analysis of urban crimes using GIS: the case of residential burglar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8, No. 1, pp. 53-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eon, J.H., Kwon, J.H., and Yang, H.J. (2007), Spatial crime analysis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15, No.1, pp. 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ung, J.Y. (2020), An analysis of local community youth policy infrastructur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Studies on Korean Youth, Vol. 31, No. 2, pp. 235-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D.Y. (2014), Spatial analysis for forest fire using GI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48, No. 3, pp. 325-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B.K. and Ko, K.H. (2018), 2017 Sejong City Local Safety Level Index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2018-2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125p. 

  8. Lee, C.H. (2017), Methods to Calcul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Field Local Safety Level Index,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41p. 

  9. Lee, D.H., Yoon, S.B., and Kim, J.S. (2015), Analysis of the crime pattern and influencing factors by the spatial autocorrel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7, No. 2, pp. 259-2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S.I., Cho, D.H., and Lee, M.P. (2016), Comparing univariate spatial association statistics(II): focusing on local Lee's Si statistic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Vol. 5, No. 3, pp. 375-3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Y.W. (2007), Spatiotemporal hotspot detection using G statistics: a case of traffic accidents in East Japan, Seoul Studies, Vol. 8, No. 3, pp. 7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im, D.P. and Jeong, H.Y. (2015), A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topic dermatitis patients : with an application of the Moran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 21, No. 3, pp. 583-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im, H.C. and Park, Y.H. (2017), A study on the spatial pattern of regional safet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21, No. 3, pp. 385-4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im, S.H., Kim, S.Y., and Kim, S.Y. (2017), Improvement Method and Vulnerable Factor Analysis of the Local Safety Level Index, Jthink 2017-PR-02, Jeonbuk Institute, Jeonju, Korea, 278p. 

  15. MOIS. (2019), 2019 Local safety level index,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Website, https://www.mois.go.kr/ (last date accessed: 11 February 2021). 

  16. Park, W.P., Na, Y.G., and Choi, J.M. (2015), Spatial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uberculosis patients in South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49, No. 3, pp. 371-3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Roh, B.R. (2017), The regional gap of suicide risk and the spatio-temporally persistence structures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7, No. 4, pp. 213-2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hin, J.D., Won, J.Y., Kim, M.S., Kim, H.J., Lee, B.J., and Lee, J.S. (2016), Analyzing the urban characteristics for regional safety index classes - focused on the transportation sector,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1, No. 5, pp. 215-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Song, C.Y.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local safety level index in basic local govern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2, pp. 211-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ung, B.J. and Yoo, H.H. (2014), Pattern analysis for urban spatial distribution of traffic accidents in Jinju,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2, No. 3, pp. 99-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Yu, S.C., Shin, D.B., and Ahn, J.W. (2019), A study on spatial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building sector used by the spatial big data in case of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7, No. 4, pp. 1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