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pidEye 영상을 활용한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n Greenhouse Gases(GHGs) Emission of Large Forest Fire Area in 2013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3, 2014년, pp.54 - 67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김유승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RapidEye 영상을 활용하여 2013년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울주, 포항, 봉화)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2006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추정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우도법을 기반으로 한 감독분류를 실시하여, 산불피해지역의 강도등급 및 피해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현장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등급별 정확도 평가 결과는 평균적으로 전체정확도 73.93%과 Kappa 계수 0.67로 나타났다. 2013년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울주지역 $CO_2$ 63,260, CO 5.207, $CH_4$ 360, $N_2O$ 28.0, $NO_x$ $4.4g/kg^{-1}{\cdot}ha^{-1}$, 포항지역 $CO_2$ 28,675, CO 2.359, $CH_4$ 163, $N_2O$ 12.7, $NO_x$ $1.9g/kg^{-1}{\cdot}ha^{-1}$ 그리고 봉화지역 $CO_2$ 53,086, CO 1,655, $CH_4$ 114, $N_2O$ 23.5, $NO_x$ $3.6g/kg^{-1}{\cdot}ha^{-1}$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Greenhouse gases(GHG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at large forest fire(Ulju, Pohang and Bonghwa) in 2013. The extended methodology to estimate GHGs adopted the 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s(2006) equation. For classifying fire da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등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국가적으로 기후변화협약에 대응 하기 위해 산불피해지내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량을 구하여 post-2012 대응을 위한 국가 보고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지역은 산불피해면적이 100ha 이상으로 산림보호법 시행령 제25조 제1항에 정의되어 있는 대형산불피해지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산불피해지의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자료를 취득하여 산불피해강도 별 면적을 산출하고 온실가스배출량 추정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불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에 9일에 발생한 대형 산불피해지(포항, 울주, 봉화)의 현장조사 자료와 위성영상 자료를 통해 산불피해강도를 구분하여 피해면적을 산출하고 산불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 하였다.

가설 설정

  • 산불로 인한 연소효율(Combustion efficiency)은 일반적으로 50%에서 95%까지로 추정(Ward, 1990)하고 있으며, 연소효율의 계산은 모든 탄소가 이산화탄소로부터 배출된다고 가정하고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실제 탄소비율로 측정할 수 있다. 대개 연소효율은 연기가 나고 화세가 약한 불에서 가장 낮고 통풍이 잘되고 화세가 강한 산불의 경우에 가장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LC 기법이 광학영상에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위성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기법이 있지만 산불피해지 분류에서는 국내 연구에서 최대우도법의 효율성이 검증되었다(KFRI, 2013). MLC 기법은 광학영상에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다중 정규 분포 가정하에 상대적으로 적은 계산량을 요구하기 때문이다(Park et al., 2012).
Kappa 계수값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 때 대각요소의 값들은 각각의 지피항목에 대해 정확히 분류된 참조자료의 수이다. 반면 Kappa 계수값은 대각요소뿐만 아니라 모든 행렬요소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정확도보다 분류정확도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전체정확도를 구성하는 대각요소의 값들은 무엇인가? 전체정확도의 값은 계산과 이해가 용이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오차행렬에서 대각요소의 합에 대한 전체 참조자료와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이 때 대각요소의 값들은 각각의 지피항목에 대해 정확히 분류된 참조자료의 수이다. 반면 Kappa 계수값은 대각요소뿐만 아니라 모든 행렬요소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정확도보다 분류정확도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romanska, U. and T.H. DeLuca. 2002. Microbial activity and nitrogen mineralization in forest mineral soils following heating: evaluation of post-fire effects. Soil Biology & Biochemistry 34:263-271. 

  2. Cocke, A.E., P.Z. Fule and J.E. Crouse. 2005. Comparison of burn severity assessments using differenced Normalized Burn Ratio and groun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4(2):189-198. 

  3. Duffy, D.A., J. J.M. Epting, T.S. Graham, Rupp and A.D. McGuire. 2007. Analysis of Alaskan burn severity patterns using remotely sense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6(3):277-284. 

  4. Ice, G.G., D.G. Neary and P.W. Adams. 2004. Effects of wildfire on soils and watershed processes. Journal of Forestry 102(6):16-20. 

  5. Key, C.H. and N.C. Benson. 2002. Fire effects monitoring and inventory protocol-landscape assessment. USDA Forest Service Fire Science Laboratory, Missoula, MT. pp.1-16. 

  6. Key, C.H. and N.C. Benson. 2006. Landscape assessment. In: D.C. Lutes et al.(eds.). FIREMON: Fire Effects Monitoring and Inventory System. USDA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General Technical Report RMRS-GTR-164-CD, pp. LA-155. 

  7.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Research report in 2010 : forest preservation. 248-249pp (국립산림과학원. 2010. 2010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 산림보전분야. 248-249쪽). 

  8.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A study on damag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burn severity evaluation methods. 66-88pp (국립산림과학원. 2013. 산불피해강도의 정량적 평가 기법 개발 및 피해특성 구명. 66-88쪽). 

  9.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A prediction of forest disaster change on climate change and establishment of counter-strategy. 185-190pp (국립산림과학원. 2013. 기후변화 대응 산림재해 변화 예측 및 대응전략 개발. 185-190쪽). 

  10. Lee, B.D., M.S. Won, K.M. Jang and M.B. Lee. 2008.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form and forest fire sever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1):58-67 (이병두, 원명수, 장광민, 이명보. 2008. 지형과 산불피해도와의 관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58-7). 

  11. Lee, H.J., J.M. Lee, M.S. Won and S.W. Lee.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Composit Burn Index(KCB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163-174 (이현주, 이주미, 원명수, 이상우. 2012. 한국형 산불피해강도지수 (KCBI) 개발 및 검증. 한국임학회지 101(1):163-174). 

  12. Lee, J.M., M.S. Won, J.H. Lim and S.W. Lee. 2012. Effect of edge area burn severity on early vegetation regeneration in damaged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121-129 (이주미, 원명수, 임주훈, 이상우. 2012. 가장자리와 산불피해강도가 산불피해지역 초기식생재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101(1): 121-129). 

  13. Lentile, L.B., Z.A. Holden, A.M.S. Smith, M.J. Falkowski, A.T. Hudak, P. Morgan, S.A. Lewis, P.E. Gessler and N.C. Benson. 2006.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assess active fire characteristics and post-fire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5:319-345. 

  14. McHugh, C. and T.E. Kolb. 2003. Ponderosa pine mortality following fire in northern Arizon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2(1):7-22. 

  15. Miettinen, J., L. Andreas and S. Florian. 2007. Burnt area estimation for the year 2005 in Borneo using multi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6(1):45-53. 

  16. Morgan, P., C.C. Hardy, T. Swetnam, M.G. Rollins and L.G. Long. 2001. Mapping fire regimes across time and space: understanding coarse and fine-scale fire pattern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0(3):329-342. 

  17. Park, N.W., H.Y. Yoo, Y.H. Kim and S.Y. Hong. 2012. Classification of remote sensing data using random selection of training data and multiple classifie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5):489-499 (박노욱, 유희영, 김이현, 홍석영. 2012. 훈련자료의 임의선택과 다중 분류자를 이용한 원격탐사 자료의 분류.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5):489-499). 

  18. Perez, B. and J.M. Moreno. 1998. Methods for quantifying fire severity in shrublandfires. Plant Ecology 139(1): 91-101. 

  19. Ryu, G.S., B.D. Lee, M.S. Won and K.H. Kim. 2014. Development of crown fire propagation probability equa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1-12 (유계선, 이병두, 원명수, 김경하.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수관화확산확률식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1-12). 

  20. Spencer, C.N,. K.O. Gabel and F.R. Hauer. 2003. Wildfire effects on stream food webs and nutrient dynamics in Glacier National Park, US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8(1):141-153. 

  21. Won, M.S. 2013. Analysis of burn severity in large-fire area using satellite imagery. Ph.D. Thesis, Univ. of Korea. Seoul, Korea. 6-9pp (원명수. 2013. 위성영상을 이용한 대형산불지역의 피해강도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9쪽). 

  22. Won, M.S., K.S. Koo, and M.B. Lee. 2007. An quantitative analysis of severity classification and burn severity for the large forest fire areas using normalized burn ratio of landsat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80-92 (원명수, 구교상, 이명보. 2007. Landsat 영상으로부터 정규탄화지수 추출과 산불피해지역 및 피해강도의 정량적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80-92). 

  23. Won, M.S., K.S. Koo, M.B. Lee and Y.M. Son. 2008. Forest fire, biomass burning, Non- $CO_{2}$ GHGs, normalized burn ratio, combustion efficiency, emission factor, Landsat TM.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1):17-24 (원명수, 구교상, 이명보, 손영모. 2008. Landsat TM 영상자료를 활용한 삼척 대형산불피해지의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0(1):17-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