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히마와리 위성의 산불방사열에너지 자료를 이용한 산불배출가스 추정: 2017년 삼척 및 강릉 산불을 사례로
Estimation of Fire Emissions Using Fire Radiative Power (FRP) Retrieved from Himawari-8 Satellite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6 pt.1, 2017년, pp.1029 - 1040  

김대선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공학전공)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이양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은 다량의 온실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자연재해로서, 이를 효율적으로 감시하기 위해서는 정지궤도 위성의 산불방사열에너지(fire radiative power, FRP)를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5월 6일에 발생한 우리나라 삼척과 강릉 산불을 사례로, 히마와리 위성의 중적외 채널자료를 이용하여 FRP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의 제한적인 시간해상도로는 관측이 불가능한 10분 간격의 산불 피해강도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히마와리 FRP를 이용하여 강릉 산불의 배출가스를 계산하였으며, 에어코리아 실측치와 비교하였을 때 거리 차에 의한 1~3시간의 지연현상과 함께, 산불배출가스의 시계열 패턴이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고해상도 영상분석을 통해 제시한 산불배출가스 추정량과 비교하였을 때, 100 ha당 배출량이 삼척은 약 12%, 강릉은 약 2%의 차이로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산불 피해면적과 피해강도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 없이도, 정지궤도 위성의 FRP만을 이용하여 산불배출가스의 정밀한 추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향후 발사될 우리나라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GK-2A(Geostationary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A)의 산불배출가스 추정 및 에어로솔 산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dfires release a large amount of greenhouse gases (GHGs) into the atmosphere. Fire radiative power (FRP) data obtained from geostationary satellit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for tracing the GHGs. This paper describes an estimation of the Himawari-8 FRP and fire emissions for Samcheock and Gan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삼척과 강릉 산불에 대해 산출된 10분 간격의 히마와리 FRP를 식(4)에 적용하여 산불배출가스를 계산하고, 그 추정량을 에어코리아 대기질 관측자료와 비교하였다. 히마와리 위성자료와 동일한 시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위성기반 온실기체 관측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2 km 내외의 해상도를 가지는 GOSAT(Greenhouse Gases Observing Satellite)이나OCO-2(OrbitingCarbonObservatory2)는 관측주기가 수 일 이상이기 때문에 일변화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며, IASI(Infrared Atmospheric Sounding Interferometer)나 AIRS(Atmospheric Infrared Sounder) 등 사운더는 관측주기가 12시간 정도이지만 공간해상도가 수십 km여서 서브픽셀 문제가 심각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은 무엇인가? 산불은 다량의 온실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자연재해로서, 이를 효율적으로 감시하기 위해서는 정지궤도 위성의 산불방사열에너지(fire radiative power, FRP)를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5월 6일에 발생한 우리나라 삼척과 강릉 산불을 사례로, 히마와리 위성의 중적외 채널자료를 이용하여 FRP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의 제한적인 시간해상도로는 관측이 불가능한 10분 간격의 산불 피해강도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산불의 특징은 무엇인가? 산불은 불특정 시공간에서 발생하는 재해로서, 지구상의 식생은 매년 산불로 인해 약 8-1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AO,2005; van der Werf et al., 2010). 근래에 발생했던 2015년 인도네시아 산불은 약 3개월 동안 지속되면서 약 8억5천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시켰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연평균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97%에 해당한다(Huijnen et al.
산불배출가스 추정에 사용되는 DM(dry matter burnt) 방법이 번거로운 이유는 무엇인가? , 2006) 의 산불배출가스를 계산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DM 방법에서는 산불진화 후 현장관측이나 고해상도영상을 통해 피해지역과 피해강도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다른 접근법으로 피해강도에 대한 복잡한 분석과정 없이도, 산불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에너지 강도인 산불방사열에너지(fire radiative power, FRP)와 식생 연소율과의 선형적 관계에 기초하여 산불배출가스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Wooster, 2002; Wost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kagi, S.K., R.J. Yokelson, C. Wiedinmyer, M.J. Alvarado, J.S. Reid, T. Karl, J.D. Crounse, and P.O. Wennberg, 2011. Emission factors for open and domestic biomass burning for use in atmospheric model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1: 4039-4072. 

  2. Delmas, R., J.P. Lacaux, and D. Brocard, 1995. Determination of Biomass Burning Emission factors: Methods and Result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38: 181-204. 

  3. ECMWF, 2017. ECMWF Technical Memoranda 790, https://www.ecmwf.int, Accessed on Oct. 25, 2017. 

  4.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5.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2005, http://www.fao.org/, Accessed on Oct. 25, 2017. 

  5. Giglio, L. and J.D. Kendall, 2001. Application of the Dozier Retrieval to Wildfire Characterization: A Sensitivity Analys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7: 34-49. 

  6. Huijnen, V., M.J. Wooster, J.W. Kaiser, D.L.A. Gaveau, J. Flemming, M. Parrington, A. Inness, D. Murdiyarso, B. Main, and M. van Weele, 2016. Fire carbon emissions over maritime southeast Asia in 2015 largest since 1997, Scientific Reports, 6: 26886. 

  7. Ito, A. and J.E. Penner, 2004. Global estimates of biomass burning emissions based on satellite imagery for the year 2000,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9: D14S05. 

  8.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programme, th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 for the IPCC, Geneva, Switzerland. 

  9. Lee, B.D., H.J. Yoon, K.S. Koo, and K.H. Kim, 2012. Estimation of biomass loss and greenhouse gases emissions from surface layer burned by forest fir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2): 286-2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i, Z., H. Wu, N. Wang, S. Qiu, J.A. Sobrino, Z. Wan, B. Tang, and G. Yan, 2013. Land surface emissivity retrieval from satellit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4: 3084-3127. 

  11. Kerr, Y.H., J.P. Lagouarde, and J. Imbernon, 1992. Accurate land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from AVHRR data with use of an improved split window algorith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41: 197-209. 

  12. Kim, D.S. and Y-W. Lee, 2016. Retrieval of fire radiative power from Himawari-8 satellite data using the mid-infrared radiance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4(4): 105-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eterson, D., J. Wang, C. Ichoku, E. Hyer, and V. Ambrosia, 2013. A sub-pixel-based calculation of fire radiative power from MODIS observations: 1: algorithm development and initial assessmen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29: 262-279. 

  14. Reid, J.S., E.M. Prins, D.L. Westphal, C.C. Schmidt, K.A. Richardson, S.A. Christopher, T.F. Eck, E.A. Reid, C.A. Curtis, and J.P. Hoffman, 2004. Real-time monitoring of South American smoke particle emissions and transport using a coupled remote sensing/box-model approach,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1: L06107. 

  15. Seiler, W. and P.J. Crutzen, 1980. Estimates of gross and net fluxes of carbon between the biosphere and the atmosphere from biomass burning, Climatic Change, 2: 207-247. 

  16. Valor, E. and V. Caselles, 1996. Mapping land surface emissivity from NDVI: application to European, African, and South American area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7: 167-184. 

  17. van der Werf, G. R., J.T. Randerson, L. Giglio, G.J. Collatz, P.S. Kasibhatla, and A.F. Arellano Jr, 2006. Interannual variability in global biomass burning emissions from 1997 to 2004,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6(11): 3423-3441. 

  18. van der Werf, G.R., J.T. Randerson, L. Giglio, G.J. Collatz, M. Mu, P.S. Kasibhatla, D.C. Morton, R.S. DeFries, Y. Jin, and T.T. van Leeuwen, 2010. Global fire emissions and the contribution of deforestation, savanna, forest, agricultural, and peat fires (1997-2009),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0: 11707-11735. 

  19. Wiedinmyer, C., B. Quayle, C. Geron, A. Belote, D. McKenzie, X. Zhang, S.O' Neill, and K.K. Wynne, 2006. Estimating emissions from fires in North America for air quality modeling, Atmospheric Environment, 40: 3419-3432. 

  20.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 Gap analyses by Variable: Fire Radiative Power, http://www.wmo-sat.info/oscar/gapanalyses?view61, Accessed on Oct. 25, 2017. 

  21. Won, M.S., K.S. Koo, M.B. Lee, and Y.M. Son, 2008. Estimation of non-CO2 greenhouse gase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in the Samcheok largefire area using Landsat TM imager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1): 17-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Wooster, M.J., 2002, Small-scale experimental testing of fire radiative energy for quantifying mass combusted in natural vegetation fir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9(21): 2027. 

  23. Wooster, M.J., G. Roberts, and G.L.W. Perry, 2005. Retrieval of biomass combustion rates and totals from fire radiative power observations: FRP derivation and calibration relationships between biomass consumption and fire radiative energy releas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0(D24). 

  24. Zhang, X. and S. Kondragunta, 2008.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in biomass burned areas across the USA derived from the GOES fire produc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 2886-28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