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로서의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k of Building Information and Cadastral Information as Spatial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3, 2014년, pp.93 - 103  

김창환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원희 (강원대학교 지리정보체계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간정보로서의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관하여 선행 연구자료를 살펴보면 지적도와 건축물대장과의 연계나 토지와 2D기반 건물도면의 통합에 관한 연구가 제시된 바 있다. 지적정보는 지적재조사, 지적확정측량 등의 사업으로 인하여 그 정보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건물에 관한 정보는 설계분야에서 2D에서 단순한 외형적 3D 데이터가 아닌 BIM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맞아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맞는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국제 BIM표준에 관한 동향을 살펴보면 IFC4에서 개선된 기능 중에 하나는 GIS와의 상호운용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를 위해 각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적정보는 데이터의 품질제고가 필요한데 다원화된 좌표계를 통일화, 개별지적도를 연속지적도화하도록 우선적으로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건물정보는 국내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BIM의 표준화가 시급한데 국제표준인 IFC4로의 빠른 도입과 앞으로 개발될 예정이 IFC5까지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BIM화 되어있지 않은 기존의 건축물에 대하여 BIM 역설계가 공공의 활용면에서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garding to the cadastral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as a spatial information, studies on linking between cadastral records and building information, or integration methodology on 2D based building map and land information were proposed. Cadastral information has grown its values by cad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축분야에서 연계를 위하여 제도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이미 작성된 2D기반 건축설계도면의 자료와 항공 사진을 이용하여 구축된 GIS기반 3차원 건물모델링 자료를 활용하여 기존건물에 대한 BIM 역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지적 및 건물정보의 기술적 수준의 흐름을 살펴보고 각 정보간의 연계에 대해 내부적으로 해결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지적정보는 다양한 좌표계를 단일화된 좌표계로 통일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지적분야에서는 지적도면정보가 2020년까지 세계측지계로의 변환을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지적정보가 수치지역을 제외한 도해지역이 국지적으로 다양한 측량성과가 존재하고 있어 세계측지계로의 변환은 국지간 측량성과 차이로 인한 필지경계의 이격·중복을 고려해야 한다.
  • 최근 건축행정 시스템에 개방형 BIM(IFC)도입에 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건축행정시스템의 BIM 관리체계 구축으로 개방형 BIM포맷의 활용가능성을 조금씩 보였다. 현재의 지적정보의 개선과 건축물에 관한 BIM의 표준화에 관한 동향을 살펴보면서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관한 고찰을 하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토해양부에서 정의한 BIM은 무엇인가? 여 기서 BIM이란‘건물 정보통합 모델링’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국토해양부에서 2010년 1월 ‘건축분야 BIM 적용 가이드’에서 BIM을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 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을 위해서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 델과 그의 작업을 위한 업무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한다.’라고 정의 내린바 있다(MLIT, 2010).
지적정보를 건물정보와 연계하여 활용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계획 중에 있는 것은 무엇인가? 지적정보가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 관리되 면서 점차적으로 정비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이를 건물정보와 연계하여 활용하려고 노력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서 GIS기반 건물통합 정보 구축사업을 2014년까지 전국 230개 지자 체 737여만 동 건물에 대해 전국기반 DB구축 을 완료하고 최신의 자료가 관리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함으로써 일반국민, 민간기업, 중앙부 처, 지자체에서 부동산 종합 정보에 대한 접근 성을 높여 공공정보로 활용계획 중에 있다. 여 기서 GIS기반 건물통합정보란 지적도위에 건물 의 위치와 층수, 용도, 구조, 면적 등의 건축행 정정보를 통합한 정보로서 공간정보에서 건물 현황 파악이 가능하여 부동산 관련 대국민 서 비스와 지자체 정보화의 핵심 기반정보로 활용 가능하다.
지적재조사에서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지적정보가 지 적측량 수행중에 발견될 수 있는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오류 즉 도형정보, 속성정보의 오 류 등이 점차적으로 정비되면서 다른 관련분야 의 정보를 연계를 시도할 만큼 가치나 품질이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적재조사 에서는 면적증감에 따른 조정금에 관한 예산을 지자체가 부담하기로 되어있으나 실제로 지자 체에서 예산확보해서 추진하는 경우가 거의 없 어 경계확정시 토지소유자의 동의에 어려움이 있다. 그 외의 지역은 경계선의 정비없이 세계 측지계로 변환하여야 하는 데 명확한 처리방안 이 제시되지 않아 가장 안정적인 수치지역부터 우선적으로 변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k, T.K., Y.H. Kim and J.M. Choi. 2004. Constructing land-use database based on the cadastral map and registered building data. Master Thesis, Dong Eui University (백태경, 김영훈, 최정미. 2004. 지적도와 건축물대장 연계를 통한 토지이용 DB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133-142). 

  2. Goh, I.D., J.H. Choi., E.D. Kim and Y.S. Jeong. 2008. Building model extraction for 3-D city model construction. The Society for Geo-Spartial Information System 2008(1):167-172 (고일두, 최중연, 김이두, 정연석. 가상도시 구축을 위한 BIM의 건물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8 (1):167-172). 

  3. Jang, S.W. and M.H. Jo. 2010. A strategy to advance real estate information by integrating building and land dat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 181-188 (장성욱, 조명희. 2010. 토지와 건물정보의 통합에 의한 부동산정보 고도화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81-188). 

  4. Kang, T.W. 2013. An introduction to the IFC4 schema and new features. The BIM Building Smart Korea 2013(9): 16-18 (강태욱. IFC4에 대한 기능소개 및 스키마 분석 내용에 대한 나눔. The BIM Building Smart Korea 2013(9):16-18). 

  5. Kim, I.H. and J.H. Choi. 2013. The status of standardization of BIM and construction IT. The BIM Building Smart Korea 2013(9):22-24 (김인한, 최준호. BIM & 건설IT 표준화 현황. The BIM Building Smart Korea 2013(9):22-24). 

  6. Kim, I.H. and J.S. Choi. 2008. Applied technology of BIM for construction industry trends and forecasts, national IT industries promotion agency. Weekly Technology Trends 1354:27-36 (김인한, 최중식. 건설산업의 BIM적용기술 동향 및 전망. 2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간기술동향 1354:27-36). 

  7. MLIT(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Field of architecture BIM application guide. 4pp (국토해양부. 2010. 건축분야 BIM 적용가이드. 4쪽). 

  8. M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12.19. Press Release (국토교통부. 2013.12.19. 보도자료). 

  9. M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1.17. Press Release (국토교통부. 2014.1.17. 보도자료). 

  10. Oh, C.W. 2010. A study on integration strategy between GIS and BIM.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4(3):443-453 (오충원. 2010. GIS와 BIM의 융합에 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3):443-453). 

  11. Park, K.B., G.H. Jin., S.J. Jang and S.R. Ha. 2013. Research of suitability for practical use of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using architectural drawing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rrestial LiDAR and 3D modeling data,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Joint Conference of Spring. pp.43-53 (박기범, 진기호, 장세진, 하성룡. 2013. 건축설계도면의 3차원 실내공간정보 구축 활용적합성 연구 -지상라이다 및 3차원 모델링 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 서울특별시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43-53쪽). 

  12. Park, K.H. 2007. Developing automatic building registration technology to cadastral map using architectural drawing.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p.1-191 (박기헌. 2007. 건축도면을 활용한 지적도상의 건축물 등록 자동화 기술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19쪽). 

  13. PPS(Public Procurement Service). 2010. 4.15. Press Release (조달청. 2010.4.15. 보도자료). 

  14. Thomas Liebich. 2013. IFC4-the new building SMART standard. Building SMART. 3pp. 

  15. Yoo, B.H. and S.H. Han. 2005. Image-based modeling of urban buildings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digital map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1):49-62 (유병현, 한순홍. 2005. 항공사진과 수치지도를 이용한 도시 건물의 이미지 기반 모델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49-62). 

  16. http://www.buildingsmart-tec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