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의한 압해도 김 양식장의 해양환경과 생산
Marine Environments and Production of Laver Farm at Aphae-do Based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2 no.3, 2014년, pp.159 - 167  

윤양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안군 압해도 남서해역에 위치하는 김 양식 어장의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10월부터 2014년 월까지 김 엽상체의 성육 단계인 유엽기, 중엽기 및 성엽기에 맞추어 3회에 거쳐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압해 김 양식장은 수심의 얕은 천해역에 위치하여 바람과 조석혼합 등 물리적 교란에 의해 해저 표층퇴적물의 재부유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해저 표층퇴적물의 재부유는 영양염류의 공급과 함께 높은 총부유물질량에 의해 해수 중으로 투과되는 빛을 방해하여, 겨울 김 성장시기에 김과 동일한 영양염류 흡수를 경쟁하는 식물플랑크톤 성장을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압해 김 양식장 해양환경은 최근 일본의 김 흉작과 변색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인 김 성장기 질소원을 중심으로 하는 영양염류 부족과 투명한 해수로 인한 충분한 광 투과로 김 보다 영양흡수 효율이 좋은 대형 규조류가 겨울 규조적조를 발생시키는 환경과 대조된다. 즉 압해도 김 양식장의 물리적 교란에 따른 퇴적물 재부유로 인한 영양염 공급과 높은 부유물질량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성장 억제와 같은 해양환경이 우리나라 서해 남부 김 양식장의 높은 생산량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aquaculture laver farm in the southwest part of Aphae-do, South Korea, based on the young leaf stage, middle leaf stage, and adult leaf stage of laver thallus from October, 2013 to January, 2014. It was observed that the Ap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여기서는 한국 서해 남부해역인 압해도 서남부에 위치하는 신안지역의 김 양식장을 대상으로 김 엽상체 성장에 따른 수질환경 및 기타 해양환경 인자는 물론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여, 신안군 압해도에 위치하는 김 양식장 해양환경 특성은 물론 최근 일본의 김 흉작 및 변색에 따른 품질 저하를 발생하는 영양염류 공급 제한 문제 및 겨울 대형 규조류 적조발생 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김 양식의 방식은 무엇인가? 이후 1840년대는 대나무 쪽으로 발을 엮어 한쪽은 바닥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은 물에 뜨도록 한 떼밭 양식이 개발되었고, 1920년에 떼발 양식을 개량한 뜬발 양식이 개발되면서 우리나라 전해역에서 활발한 근대 김 양식이 시작되었다. 지금도 뜬발 양식은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 기술이 진보하여 사상체를 배양하여 인공적으로 채묘하면서 부류식 냉동망을 교체 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http://ko.wikipedia.
일본 김 산업은 언제부터 쇠퇴기에 접어들었는가? 국내의 지속적인 김 생산 증가에 비해 일본의 김 생산량은 1990년 중반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지만, 생산을 담당하는 경영체수는 급격한 감소를 보인다. 이에 따라 일본 김 산업은 1983년 이후부터 쇠퇴기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Ock 2011). 일본의 김 생산량 감소 배경에는 정책과 경제적인 부분 이외에 육상 오염배 출량 감소에 따라 육상기인의 무기영양염류, 특히 질소원 감소에 의한 흉작과 변색, 그리고 오염배출 감소에 따라 투명도가 증가하여 김 보다 영양염류 흡수가 유리한 대형 규조류의에 의한 겨울적조 발생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Sato 2004; Kumagai and Naitoh 2007;Ishii et al.
한국에서 김 양식을 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는? 이러한 김 양식도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에 따른 연안매립 및 간척 등으로 양식장 면적은 축소되고, 인간활동에 따른 육상 오염 부하량 증가, 영양염류 농도 및 기초생물량 증가 등 환경변화로 갯병 등에 의한 생산량 감소, 변색에 의한 상품가 하락 등 국제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국내 김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여, 2013년의 생산량은 약 14,000만 속(마른김 1속 260g)으로 김 최대 생산국이었던 일본을 추월하여 세계 1위생산량을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oki K and K Kajitori. 2011. An essay on a construction of quantitative models of cultured nori prodution in Ariake Sea using SVM. J. Nat'l Fish. Univ. 59:253-256. (in Japanese) 

  2. 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 Press, Tokyo. 1574pp. (in Japanese) 

  3. Cho HY, BJ Cho and YH Kim. 2007. Estimation error analysis on the COD loads due to the sampling intervals.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19:266-273. (in Korean) 

  4. Choe S and TW Chung. 1972. Nutrients and suspended organic particulates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J. Oceanol. Soc. Korea. 7:1-14. (in Korean) 

  5. Choi JK. 1991. The influence of the tidal front on primary productivity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mid-eastern coast of Yellow Sea. J. Oceanol. Soc. Korea. 26:223-241. (in Korean) 

  6. Cupp EE. 1943.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Bulletin of the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 Univ. Calif. 5:1-237. 

  7.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s Office, London. 303pp. 

  8. FSI-YNU (Fisheries Science Institute, Yosu National University). 2005. Report on the survey for damages of fishery right by the developmental projects of industrial complex of rural areas in Shinan-gun. FSI-YNU. Yeosu. 222pp. (in Korean) 

  9. Gallegos CL, TE Jordan, AH Hines and DH Weller. 2005. Temporal variability of optical properties in a shallow, eutrophic estuary: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Est. Coast. Shelf Sci. 64:156-170. 

  10. Hallegraeff GM, CJS Bolch, DRA Hill, I Jameson, JM LeRoi, A McMinn, S Murray, MF de Salas and K Saunders. 2010. Algae of Australia: Phytoplankton of Temperate Coastal Waters. CSIRO Publishing, Canbella. 432pp. 

  11. Haury LR, JA McGowan and PH Wiebe. 1978. Patterns and processes in the time-space scales of plankton distributions. pp. 277-327. In Spacial Pattern in Plankton Communities (Steele JH ed.). NATO Conf. Ser. IV, Vol. 3, Plenum. 

  12. Hong JS, CB Song, NG Kim, JM Kim and HT Huh. 1987. Oceanographic conditions in relation to laver production in Kwangyang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20:237-247. (in Korean) 

  13. Ishii M, K Hasegawa and U Matsuyama. 2008.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Porphyra (Nori) farming in Tokyo Bay: Longterm changes in inorganic nutrients and recent proliferation of diatoms. Bull. Japan. Soc. Fish. Oceanogr. 72:22-29. (in Japanese) 

  14. Ishizawa J, Y Kitaura, Y Touke, H Sasaki, A Tanaka, H Murakami, T Suzuki, K Matsuoka and H Nakata. 2006. Satellite detection of red tide in Ariake Sound, 1998-2001. J. Oceanogr. 62:37-45. 

  15. Jang PK, WJ Lee, MC Jang, JD Lee, WJ Lee, M Chang, KC Hwang and K Shin. 2005.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distributions in Gwangyang Bay. Ocean Polar Res. 27:359-379. (in Korean) 

  16. Jang ST and KC Kim. 2006. Changes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in the Nakdong Estuary.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11:11-20. (in Korean) 

  17. JWA (Japan Weather Association). 1985. Manual for Marine Observation. Oceanogr. Soc. Japan. Tokyo. 428pp. (in Japanese) 

  18. Kim J, B Kim, M Shin, JK Kim, S Jung, Y Lee and JH Park. 2009. The distribution of nitrogen and the decomposition rate of organic nitrogen in the Youngsan River and the Sumjin River, Korea. J. Korean Soc. Water Qual. 25:135-143. (in Korean). 

  19. Kim SJ, SH Woo, BM Kim and SD Hur. 2011. Trend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hange nea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past 130 years. Ocean Polar Res. 33:281-290. 

  20. Kirk JTO. 2011. Light and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3rd eds). Cambridge Univ. Press, Oxford. 662pp. 

  21. Kumagai K and T Naitoh. 2007. The trend of DIN supply to the area of Fukuoka Prefecture in the Ariake Sea. Bull. Fukuola Fish. Mar. Tech. Res. Center. 17:73-80. (in Japanese) 

  22. Kwon HG, SJ Oh, MO Park and HS Yang. 2014.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inorganic and organic nutrient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of Korea: Focus on the observed data in September, 2011. J. Kor. Soc. Mar. Environ. Energ. 17:90-103. (in Korean) 

  23. Kwon JN, JH Shim, SY Lee and JD Cho. 2013. Effects of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properties on variability of laver produc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south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868-877. (in Korean) 

  24. Laskar HS and S Gupta. 2009. Phytoplankton diversity and dynamics of Chatla floodplain lake, Barak Valley, Assam, North East India-a seasonal study. J. Environ. Biol. 30:1007-1012. 

  25. Lee BG and KD Cho. 1995. Temporal variations of stratification-destratification in the Deukryang Bay, Korea. Korean Environ. Sci. Soc. 4:139-149. 

  26. MOF (Ministry of Ocaen and Fisheries). 2010. Manual for Stan-dard Methods of Marine Environments. Seoul. 461pp. (in Korean) 

  27. Nagai S, H Hori, K Miyahara, T Manabe and I Imai. 1996. population dynamic of Coscinodiscus wailesii Gran (Bacillariophyceae) in Harima-Nada, Seto Inland Sea, Japan. pp. 239-242. In Harmful and Toxic Algal Blooms (Yasumoto T, Y Oshima and Y Fukuyo eds). IOC of Unesco. Paris. 

  28.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1993. Daily variations of SSR at Mokpo area. NFRDI, Pusan. 111pp. 

  29. Ock YS. 2011.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steps and facing problems of Korean and Japanese laver industry. J. Fish. Bus. Admin. 42:113-130. (in Korean) 

  30. Omura T, M Iwataki, VM Borja, H Takayama and Y Fukuyo.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160pp. 

  31. Oyama K, T Fujisawa, M Abe and T Kitao. 2012. Environmental factores influencing the changes 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uring season of Porphyra yezoensis cultures in the coastal area of Kagawa Precfecture, Seto Inland Sea, Japan. Bull. Akashiwo Res. Inst. Kagawa Pref. 8:7-15. (in Japanese) 

  32. Park SY, SS Kim, PJ Kim, ES Cho, SY Kim, YS Choi, BM Kim and DU Kim. 2010.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Mokpo coastal areas of the Yellow Sea,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6:321-337. (in Korean) 

  33. Parsons TR, M Takahashi and B Hargrave. 1984. Biological Oceanographic Processes (3rd Eds). Pergamon Press, Oxford. 330pp. 

  34. Redfield AC, BH Ketchum and FA Richards. 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pp.26-77. In The Sea. Vol. 2. The composition of sea-water comparative and descriptive oceanography (Hill MN ed). John Wiley & Son, New York. 

  35. Sato M. 2004. Richness of Ariake Sea in Kyushu, Japan and its crisis by human impacts. Saga Nat. Study 10:129-149. (in Japanese) 

  36. SCOR-Unesco. 1966.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pp.10-18. In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a water (Unesco ed.). Paris. 

  37. Sohn CH. 1996. Historical review on seaweed cultivation of Korea. Algae 11:357-364. (in Korean) 

  38. Song HI and YK Chung. 1999.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wild-Porphyra farming area in the West Sea of Korea. Bull. Nat'l Fish. Res. Devel. Inst. 55:83-97. (in Korean) 

  39. Tada K, M Fujiwara and T. Honjo. 2010. Water quality and nori (Porphyra) culture in the Seto Inland Sea. Bunseki Kagaku. 59:945-955. (in Japanese) 

  40. Throndsen J. 1978. Preservation and storage. pp.69-74. In Phytoplankton Manualin (Sournia A ed.). Unesco, Paris. 

  41. Tomas CR (ed.). 1997. Identifying marin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cademic Press. Oxford. 858pp. 

  42. Yoon HS, S Park, IC Lee and HT Kim. 2008.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seawater quality due to the inflow of discharge from Nakdong River Barrage. J. Korean Soc. Mar. Environ. Eng. 11:78-85. (in Korean) 

  43. Yoon YH. 2000.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on the surface sediments and its origin in Mokpo coastal waters, southwestern Korea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s. J. Inst. Nat. Sci., Yeosu Nat'l Univ. 2:83-94. (in Korean) 

  44. Yoon YH. 2001.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on in Mokpo coastal waters, southwestern Korea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s. J. Korean Soc. Water Qual. 17:1-13. (in Korean) 

  45. Yoon YH. 2010. Red Tides -An Uprising from the Sea-. Jipmoondang, Seoul. 531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