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에서 예방적 접근으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as a Preventive Approach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Setting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5 no.3, 2014년, pp.128 - 135  

윤석민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곽영숙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SST) for children in two different community settings, an elementary school and a child community center. Methods : Two separate groups of 15 children (10 boys and 5 girls) and 13 children (4 boys and 9 gir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맥락에서 사회기술은 단순히 정신질환을 겪는 아동들에게만 요구되는 특별한 개념이 아니라, 사회성이 요구되는 모든 아동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료환경이 아닌 지역사회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회기술훈련이 주의 집중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예방적 차원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를 이어가는 데 있어 제한적이나마 기초 근거를 마련한 점이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진료환경이 아닌 지역사회의 학생들에 있어서 사회기술훈련이 예방적 차원에서 전반적인 행동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정신질환 및 과거력이 없는 일반 초등학교 학생 15명과 지역아동센터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4주간 8회기의 사회기술훈련을 시행하였고,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부모에 의한 평가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 문항들은 각각 적절한 사회행동, 부적절하고 충동적인 사회행동 등에 대해 질문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문항을 변환하여 전체 문항 점수에 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 관계에서 유능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이 척도의 신뢰도는 .
  • 따라서 사회성이 결여되어 있는 아동들에게 사회성 증진 및 행동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인 사회기술훈련이 지역사회에 속해 있는 학령기 아동에서 예방적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에 이환되지 않았지만 취약한 지역사회의 학령기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사회성 증진에 도움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지역사회 내 대표적인 학령기 아동 대상기관으로서 지역아동센터와 초등학교 아동을 선택하여 사회성기술훈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질환을 겪는 소아 청소년들은 질환별로 어떻게 사회기능의 손상이 초래되는가? 정신질환을 겪는 소아 청소년들은 증상에 의한 영향, 인지적 기능 및 비인지적 기능의 손상으로 인해 적절한 사회기술의 습득이 저해되어 결국 사회기능의 손상을 초래한다.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환자들은 또래 관계에서 충동적이며 부적절한 반응으로 공격적이거나 파탄적인 아이로 인식이 되어 거부당하기가 쉽다.5)또한 전반적 발달장애에서 아스퍼거장애 및 고기능 자폐장애(high-functioning autism)의 경우 다른 아형의 환자들과는 달리 정상 지능을 가진 경우가 많아 인지기능이 보존되어 있지만, 사회기술에 손상이 있는 것이 중요한 증상이다.6) 이밖에도 조현병, 기분장애 등의 정신질환이 이환되었을 때도 사회기술의 저하 및 사회성의 손상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던 사회성에 손상을 주는 정신질환에 이환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는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는데, ADHD의 경우, 약물치료를 받는 ADHD 환자에서 사회기술훈련과 부모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사회기술이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는 보고7)가 있으며, 다른 연구에서도 사회기술훈련이 부모교육과 함께 병행될 때 사회성이 중가되며 유지되었다는 결과가 있었다.
사회적 기술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기술에 대한 정의는 어떤 방향성을 염두에 두고 설명하느냐에 따라 다양해지지만, 일반적으로는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 개념으로서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고 유지하며 갈등이나 대립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이고 그 상황에 특정적으로 수행되는 행동들을 일컫는다.1) 따라서 사회적 기술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요구되는 인지적 기능과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들로 구성되며 그런 요소들의 종합적인 내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적 기술이 특히 소아청소년에서 중요한 이유는 학령기에 또래 관계가 중요해지는 시기이고 이 시기에 친구들을 사귀고 친구들에게 수용되는 것이 자신에 대한 평가와 자아상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사회적 기술이 특히 소아청소년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 따라서 사회적 기술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요구되는 인지적 기능과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들로 구성되며 그런 요소들의 종합적인 내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적 기술이 특히 소아청소년에서 중요한 이유는 학령기에 또래 관계가 중요해지는 시기이고 이 시기에 친구들을 사귀고 친구들에게 수용되는 것이 자신에 대한 평가와 자아상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2) 또한 가까운 친구들을 사귀고 우정을 느끼며 친구들 사이에 적절하게 경쟁을 하는 등의 사회성 발달이 대인 관계와 인격발달의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 ES, Ahn DH, Lee YH. The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1;12:79-93. 

  2. Brownell CA. Convergent developments: Cognitive-developmental correlates of growth in infant/toddler peer skills. Child Development 1986;57:275-286. 

  3. Hong KE.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Seoul: Jungang Munhwasa;2005. p.16-37. 

  4. Paek MJ, Ahn JK, Lim SY, Kim YR, Park MH, Kim BN, et al. The effectiveness of school based short-term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20:82-89. 

  5. Coleman WL, Lindsay RL. Interpersonal disabilities: social skill deficits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ir descrip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Pediatr Clin North Am 1992;39:551-567.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7. Tutty S, Gephart H, Wurzbacher K. Enhancing behavioral and social skill functioning in children newly diagnosed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 pediatric setting. J Dev Behav Pediatr 2003;24:51-57. 

  8. Frankel F, Myatt R, Cantwell DP, Feinberg DT. Parent-assisted transfer of children's social skills training: effects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1056-1064. 

  9. Rao PA, Beidel DC, Murray MJ.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J Autism Dev Disord 2008;38:353-361. 

  10. Koo HJ, Lee BK.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the videos of social cognitions for schizophrenics. Korean J Clin Psychol 2011;30: 381-396. 

  11. Jung HJ, Shin SM, Jung TY. Effects of social-skill-improvement program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adolescents from broken family. Korean J School Psychol 2012;9: 227-249. 

  12. Yoo YS, Lee YH. A meta-analysi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socially isolated children. Korean J Child Stud 2001;22:51-67. 

  13. Lee HM.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using group play-therapy. Korean J Play Ther 2003;6:40-57. 

  14. Achenbach T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1991. 

  15. Ha EH, Oh KJ, Lee HR, Hong KE. Reconstruction of the behavior problem scales of the Korean CBCL. Seoul J Psychiatry 1995;20: 245-253. 

  16. Scheres A, Oosterlaan J, Sergeant JA. Response execution and inhibi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other disruptive disorders: the role of behavioural activation.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1;42: 347-357. 

  17.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283-289. 

  18. Gresham FM, Elliott S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1990. 

  19. Moon SW.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Elementary Level, Student Form (K-SSRS-S: Elementary Level). J Korean Clin Psychol 2013;32:199-215. 

  20. Han ES.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ssertation].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2000. 

  21. Matson JL, Rotatori AF, Helsel WJ.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to measure social skills in children: The 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with Youngsters (MESSY). Behav Res Ther 1983;21:335-340. 

  22. Park NS, Oh KJ. Effects of methylphenidate treatment on cognitive behavioral symptoms and social, academic & emotional adjustment of ADHD children. Korean J Clin Psychol 1992;11:235-248. 

  23. Oh KJ, Min SK, Park JK, Ko RW. The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on marital communication. Korean J Clin Psychol 1998;17:1-15. 

  24. Pfiffner LJ, McBurnett K. Social skills training with parent generalization: treatment effects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1997;65:749-757. 

  25. McGinnis E, Goldstein AP. Skillstreami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 new strategies and perspectives for teaching prosocial skills. Champaign, IL: Research Press;1997. p.43-65. 

  26. Elliott SN, Gresham FM. Social skills intervention guide.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1991. p.89-115. 

  27.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The survey of 2009 community child center.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8. Kim HS, Chae YS, Park GR. Effects of a self-growth program on self-esteem, inferiority, and peer-relationships in children using a community child center. Child Health Nurs Res 2010;16:1-9. 

  29. Barkley RA.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1990. 

  30. Nash JB. Children's social skills training: Relative effectiveness of three training models [dissertation]. Teaneck, NJ: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