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화클러스터에 대한 만화창작인력의 인식 연구
Cartoonists' Awareness of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6, 2014년, pp.593 - 617  

임학순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창작자들의 관점에서 만화클러스터의 창작환경, 혁신네트워크와 지역활성화 효과를 평가하고, 만화클러스터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부천시의 만화클러스터 조성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만화클러스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만화창작 인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 설계는 만화의 문화적 측면과 산업적 측면을 고려하여 만화클러스터에 관한 논의 외에도 문화클러스터, 문화산업클러스터, 창조클러스터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만화창작자의 인식은 만화클러스터의 창작 환경, 혁신환경, 도시활성화, 충성도를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분석결과, 만화창작 인력들은 만화클러스터가 시설 확보, 지식정보 교류, 관계 형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한 반면에 기업, 콘텐츠산업, 지역사회와의 소통과 협력 측면에서는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것은 아직 만화클러스터의 혁신 환경이 미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화클러스터의 도시 브랜딩 효과는 비교적 높은 반면에 도시경제 활성화 효과는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만화클러스터에 대한 만족도와 충성도, 정책의지 등은 상당히 높게 평가되었다. 그리고 지식정보 요인, 정책요인, 지역활성화 효과 요인, 시설요인 등이 만화 창작인력의 클러스터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정책적 요인과 지역활성화 효과 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만화클러스터 충성도가 시설 공간 및 지식정보 요인 등 단기적인 요인 보다는 정책적 요인, 지역활성화 효과 요인 등 비교적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더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만화클러스터의 지속발전 방향을 창작클러스터 측면과 만화 창조도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장기적으로 만화클러스터가 지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접근과 경제적 접근을 통합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is aimed at evaluating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in the cartoonists' perspective in terms of benefits, innovation milieu and loyalty. This article surveyed the 105 cartoonists in the Bucheon comic industries cluster, which has been established since 1998. As a result of analysis,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창작자들의 관점에서 만화클러스터의 창작환경, 혁신네트워크와 지역 활성화 효과를 평가하고, 만화클러스터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주로 기업 및 산업 관점에서 접근한 것과는 달리 만화창작 인력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천시에서 선정한 문화콘텐츠중점육성분야 중에 창작인력, 기업, 만화문화시설, 축제, 진흥조직, 정책사업을 체계적으로 갖춘 분야는 무엇이었는가? 부천시는 1990년대 중반이후 문화를 활용한 도시 활성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등 문화콘텐츠산업을 중점 육성 분야로 설정하였다. 세 산업 분야 중에서 창작인력, 기업, 만화문화시설, 축제, 진흥조직, 정책사업을 체계적으로 갖춘 분야는 만화산업분야이다.2) 부천시는 1998년에 부천만화정보센터를 설립하고, 제 1회 부천국제만화축제를 개최하였으며, 1999년에는 만화산업육성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중앙정부는 콘텐츠산업정책에서 클러스터 전략을 통해 무엇을 해결하고자 했는가? 그러나 지방 도시들은 문화산업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기업, 인력, 시설 및 기자재, 지식, 재정, 정책 경험 등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앙정부는 클러스터 전략을 통해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지역 도시를 선정하여 문화콘텐츠산업 클러스터 조정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부천시는 만화산업과 영상산업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지방 도시는 왜 문화산업을 육성하기 힘들었는가? 정부의 콘텐츠산업정책은 1990년대 말부터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는데, 초기 단계부터 지역문화산업 육성을 중요한 정책과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지방 도시들은 문화산업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기업, 인력, 시설 및 기자재, 지식, 재정, 정책 경험 등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앙정부는 클러스터 전략을 통해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지역 도시를 선정하여 문화콘텐츠산업 클러스터 조정 정책을 추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고정민, 부천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중장기 발전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2. 

  2. 경기콘텐츠진흥원, 2012 경기콘텐츠산업실태조사, 2013. 

  3. 문화관광부,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 현황점검과 발전방안, 2003. 

  4. 문화관광부, 지역문화산업 발전전략 기본방향 연구, 2004. 

  5. 문화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산업클러스터 지형도 작성을 통한 지역문화산업 육성 방안, 2006. 

  6. 문화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평가체계 구축방안, 2007. 

  7.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지역별 문화산업 육성정책 비교연구-지방첨 단문화산업단지 조성정책을 중심으로, 2001. 

  8.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지역문화콘텐츠산업 활성화와 정책과제 : 지역 문화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중심으로, 2003. 

  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문화산업 육성 방안 - 문화산업지구를 중심으로, 2000. 

  10. 김관보.채경진.손호중, 경기도 문화산업 클러스터 분석 : 문화산업 관련 기업 종사자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24, 2012, pp.29-53. 

  11. 김삼철.김일태, 광주문화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평가지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11), 2013, pp.677-689. 

  12. 박경숙.이철우, 클러스터의 가치사슬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2010, pp.601-622. 

  13. 박경숙.이철우, 대구문화콘텐츠산업 클러스터에서 트리플 힐릭스 주 체의 상호작용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 2013, pp.401-415. 

  14. 박광국, 부천시 문화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만화산업을 중심으로, 지방연구, 9(3), 2005, pp.115-137. 

  15. 서정수, 지역 애니메이션산업 클러스터의 진흥성과 진단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8), 2012, pp.209-233. 

  16. 서정수.권재웅, 춘천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진화와 회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5), 2011, pp.155-175. 

  17. 심상민, 지역문화산업 혁신클러스터 새 모델 연구- 발전적 문화산업 생태계 개념과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 적용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7), 2010, pp.345-370. 

  18. 이병민, 광역경제권하에서의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운영방향과 거버넌스 재편전략, 문화경제연구, 13(2), 2010, pp.95-125. 

  19. 임학순,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사전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2), 2004, pp.305-324. 

  20. 임학순, 문화산업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정책 모델 개발 : 클러스터를 넘어 문화산업도시 모델로, 문화정책논총, 19, 2007, pp.87-107. 

  21. 전지훈, 창조산업 클러스터에서 창의적 환경의 수요자 지향성 연구-고양문화산업 클러스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문화정책논총 27(2), 2013, pp.193-219. 

  22. 주수현.유영명.원광해, 부산지역 문화산업 클러스터 분석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0(5), 2007, pp.1821-1845. 

  23. Choi, J., "Challenges and strategies of local cultural cluster promotion policies in Korea", The Service Industrial Journal, 30(5), 2010, pp.763-775. 

  24. Cinti, T., "Cultural clusters and districts : the state of the art", in Cooke P. & L.Lazzeretti(eds.), Creative Cities, Cultural Clusters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Cheltenham : Edward Elgar, 2008, pp.70-92. 

  25. Florida, R.,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 Basic Books, 2002. 

  26. Florida, R.,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New York : Routledge, 2005. 

  27. Hartley, J.(eds.), Key concepts in Creative industries, SAGE Publications Ltd, 2013. 

  28. Koch, A.M.& G. Fuchs, "Economic Globalization and Regional Penetration : The Failure of Networks in Baden-Wurttenberg",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37(1), 2000, pp.57-75. 

  29. Lazzeretti, L.& Boix, R.& Capone, F., "Why do creative industries cluster", in Lazzeretti L.(ed.), Creative Industries and Innovation in Europe : Concepts, measures and comparative case studies, London and New York : Routledge, 2013, pp.45-64. 

  30. Smith R.& K.Warfield, "The creative city : a matter of values", in Cooke P. & L.Lazzeretti(eds.), Creative Cities, Cultural Clusters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Cheltenham : Edward Elgar, 2008, pp.287-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