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관리자의 안전의식 조사 분석
Survey and Analysis about the Safety Perception and Attitude of Managers in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9 no.4, 2014년, pp.97 - 102  

최진우 (안전보건공단 강원지사) ,  박찬식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safety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construction managers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ident prevention by inducing safety behaviors of managers. The data analysi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현장은 경력이 높을수록 작업의 위험성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직간접적으로 사고를 경험하면서 안전의식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경력이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 ③ 건설현장의 규모가 크면 안전관리자가 상주하고 안전관련 시스템과 프로그램이 잘 갖추어질 것으로 기대가 되며, 이러한 환경이 소속된 관리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 공사규모에 따라 관리자의 안전의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 이들은 같은 현장에 속해있다 하더라도 안전관리자는 안전업무를 수행하고, 공사과장은 공사 진행, 공무담당자는 사업비용을 주로 담당하는 등 업무의 주 목적이 상이하다. 따라서 안전관리자와 타 직책의 관리자는 각 업무에 대한 의식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사결과가 이러한 차이를 실제 보여주는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현장 안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한 관리자의 안전의식을 조사하여 수준 및 특징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건설업의 특징이 반영된 변수를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현장 안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한 관리자의 안전의식을 조사하여 수준 및 특징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건설업의 특징이 반영된 변수를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현장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관리자의 안전의식을 조사하고 이를 건설업의 특징이 반영된 변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조사는 국내 건설현장에 종사하는 원청업체와 협력업체 관리자를 대상으로 기존 연구8)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안전의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 5월에서 7월까지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건설현장 75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지가 수집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현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의식을 조사하고 분석한 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첫째, 대부분의 연구가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어 건설현장의 안전한 환경조성과 근로자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는 관리자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는 것이다. 국외의 선행연구 사례를 보면 관리자의 안전의식과 노력이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2,3), 관리층의 높은 실행력과 낮은 운명주의 등이 안전환경을 좌우4)하여 현장 안전과 재해예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건설현장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며, 일부 수행된 관리자 안전의식 조사 연구5)는 근로자 안전의식과의 비교결과 위주로 제시하고 있어 관리자 안전의식의 수준이나 특징 등을 확인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안전의식을 측정하고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는 결과를 제시6)하고 있으나, 조사한 변수가 학력이나 경력 등과 같이 대상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는 용이하나 교육이나 관리 등을 통해 향상 및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대부분으로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방향성 확인이 곤란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설업은 다양한 조직의 인력이 단위 건설현장에 모여 공사가 진행되는 특징으로 인해 하나의 건설현장에 속한 관리자나 근로자라 할지라도 동일한 조직문화에 속한 구성원이라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에도 이러한 건설업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연구 진행 및 분석으로 예상보다 미흡한 결과7) 도출에 그친 사례도 확인하였다.
건설현장의 사고를 줄이기 위한 기술적 접근법을 활용함에도 건설업의 재해율이 증가함에 따라 어떤 것이 주목을 받고 있는가? 건설현장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활용되는 방식은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불안전한 상태를 파악하고, 안전시설물 설치 등을 통해 위험성을 제거 혹은 낮추는 기술적 접근법이 주를 이루어왔다. 하지만 건설업의 재해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지 않고 최근에는 오히려 조금씩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위와 같은 물리적 작업환경의 개선과 동시에 현장 참여자의 안전행동을 이끌어내야 사고예방이 가능하다는 이론1)이 주목받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활용되는 방식의 주를 이룬 것은? 건설현장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활용되는 방식은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불안전한 상태를 파악하고, 안전시설물 설치 등을 통해 위험성을 제거 혹은 낮추는 기술적 접근법이 주를 이루어왔다. 하지만 건설업의 재해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지 않고 최근에는 오히려 조금씩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위와 같은 물리적 작업환경의 개선과 동시에 현장 참여자의 안전행동을 이끌어내야 사고예방이 가능하다는 이론1)이 주목받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 G. Fitch, J. Hermann, B. L. Hopkins, "Safe and unsafe behavior and its Modific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 18, pp. 618-622, 1976. 

  2. E. Sawacha, S. Naoum and D. Fong, "Factor Affecting Safety Performance on Construction 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17, No. 5, pp. 309-315, 1999. 

  3. M. O'Tool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Safe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Safety Research 33, pp. 231-243, 2002. 

  4. T. Rundmo and A. R. Hale, "Managers' Attitudes Towards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Safety Science, Vol. 41, pp. 557-574, 2003. 

  5. C. -J. Lee, "A Study on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Improvement Policy in Construction Works Field",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2007. 

  6. J. W. Cho, "A Study on Casual Effects of Safety Training and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Affecting Industrial Incidents", Doctoral Thesis Dongguk University, 2009. 

  7. S. -Il. Choi and H. Kim, "A Study on the Safety Climate and Worker's Safe Work Behavior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1, No. 5, pp. 60-71. 2006. 

  8. J. -W. Choi and C. -S. Park,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Questionnaire for Measurement of Safety Perception and Attitude i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8, No. 7, pp. 31-37, 2013. 

  9. S. -H. Hong and J. -W. Choi, "A Study about Circumstances and Perception of Construction Accident Compens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0, No. 5, pp. 69-7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