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먼에러를 중심으로 한 위험요인 도출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Human Factor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9 no.3, 2014년, pp.79 - 84  

정상교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  장성록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 error is one of the major contributors to the accidents. A lot of risk assessment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prevention of accidents. Nevertheless, most of them were interested in physical factors, because quantitative evaluation of human errors was difficult quantitatively. Accord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휴먼에러를 제어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휴먼에러 위험요인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모델을 실제 작업에 적용 시켜 본 결과, 개괄적인 위험요인 이후 상세 분석을 통한 근본적인 위험요인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인 위험요인 도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휴먼에러에 대하여 Ergo-HAZOP9)을 이용하여 인간의 행위를 변수로 하여 위험 요인을 도출하고, 고위험도를 가지는 위험요인에 대해서는 통합적 휴먼 에러 분석 모델10)을 이용하여 상세분석을 할 수 있는 위험요인 도출 방법론에 대해 연구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 중 휴먼에러로 인한 위험요인을 도출하는 방법론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제안하는 방법론은 Ergo-HAZOP과 통합적 휴먼에러 분석 모델을 기초로 하여 연구하였다. Ergo-HAZOP은 작업에 행해지는 인간의 행위와 지침어(Guide words)를 조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는 방법론이기 때문에 폭넓고 쉽게 작업에 대한 위험요인을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플랜트나 해양플랜트 산업에서 쓰이는 위험성 평가 기법은 무엇이 있는가? 이로 인해 현재 산업현장에서는 주로 물적 요인에 치중해서 위험성 평가가 이루어지다보니 인적요인과 물적 요인간의 긴밀한 인과관계가 소홀히 취급되었다. 실제로 현재 화학플랜트나 해양플랜트 산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위험성 평가 기법은 주로 물적 요인에 대해 평가하는 HAZOP(Hazard and Operability study)이나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6).
휴먼 에러 분석 통합 모델은 단계별 어떤 분석을 하는가? 이 모델은 인적 요소들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의 사고 연쇄를 차례대로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능적 틀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서 가장 큰 장점을 찾을 수 있다. 즉, 이 분석의 1단계에서는 시스템 운용 및 폐기 단계에서 발생한 에러를 대상으로 작업자의 정보처리 과정을 주로 검토하며, 2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행동과 판단에 영향을 미친 행동형성요인(Performance Shaping Factors)들과 배후 요인들의 해당 여부를 분석한다. 이어, 3단계에서는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혹은 설치 단계에서 발생한 시스템 설계자의 에러 요인을 분석하며, 4단계에서는 다시 설계자의 행동과 판단에 영향을 미친 조직적, 관리적 배후 요인들을 분석한다15).
Heinrich가 제시한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Heinrich는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으로 지식의 부족(Lack of Knowledge), 기능의 미흡(Insufficient Skill), 태도의 불량(Improper Attitude), 휴먼에러(Human Error)등 4가지를 들었다1).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지식의 부족이나 기능의 미흡도 관리 활동의 부적절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휴먼에러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W. Heinrich, D. Petersen and N. Roos,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cGraw-H- ill Co, 1980. 

  2. K.S. Lee, H. K. Lim, S. H. Shin, S. R. Chang, Y. C. Kim, D. K. Lee and K. W. Rhie, "Control and Prevention Human error", Hansol Academy, 2011. 

  3. D. Meister and G. F. Rabideau, "Human Factors Evaluation in System Development", John Wiley & Son, 1962. 

  4. B. S. Dhillon, "Human Reliability with Human Factors", Pergamon Press, 1987. 

  5. W. B. Rouse and S. H. Rous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Human Error", IEEE Trans. on SMC, Vol. SMC-13, No.4, pp.539-549, 1983. 

  6. H. R.Greenberg and J. J. Cramer,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for the Chemical Process Industry, Van Nostrand Reinhold, 1991. 

  7. KOSHA, 4M Risk Assessment Technique, 2011. 

  8.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Risk Management - Principles and guidelines, ISO 31000, 2009. 

  9. D. G. Kim,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Human Errors based on Risk Assessment in Nuclear Facility Decommissioning Proces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2. 

  10. K. S. Lee, H. K. Lim, S. R. Chang, K. W. Rhie and Y. C. Kim,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for Human Error Prevention in Industrial Field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27, No. 1, pp. 37-43, 2008. 

  11. OSHRI,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07", KOSHA, 2008. 

  12. OSHRI,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08", KOSHA, 2009. 

  13. OSHRI,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09", KOSHA, 2010. 

  14. OSHRI,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0", KOSHA, 2011. 

  15. H. K. Lim and S. H. Lee., "Analysis of Accidents Causes in an Auto-Glass Manufacturing Company using the Comprehens- ive Human Error Analysi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7, No. 4, pp. 90-95, 2012. 

  16. S. K. Bae and D. H. Park, "An Evaluation Model for Human Attributes of Industrial Ac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18, No. 4, pp. 155-16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