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도시공 후 경과년수에 따른 비탈면 식생침입 및 식물상 분석
Analysis of Flora and Vegetation in Forest Road Slopes Along to Constructions Ag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3, 2014년, pp.408 - 421  

추갑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마호섭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용치리 지역에 5년(2007, 2009, 2010, 2011, 2012)동안 시공한 임도에 대하여 임도시공 후 경과년수에 따라 비탈면에 침입하는 식생과 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임도의 절토비탈면과 성토비탈면의 평균경사는 모두 $42^{\circ}$에서 $^54{\circ}$의 범위를 나타내어 급경사지였다. 토성은 2012년 개설된 임도의 절토와 성토비탈면만 양토이고 나머지는 모두 사양토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임도의 성토비탈면의 평균피복도(약 66%)는 절토비탈면의 평균피복도(약 49%) 보다 높게 나타났다. 절토비탈면에서의 평균출현종은 46종으로 성토비탈면에서의 평균출현종(50종)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성은 모든 임도에서 절토비탈면보다 성토비탈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절토비탈면에서는 2011년 개설 임도에서 1.40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토비탈면에서는 2012년도 개설 임도에서 1.560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균재도(Evenness)는 절토와 성토비탈면에서 임도개설년수가 짧을수록 높았으며, 출현한 식물종은 균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lora and vegetation in cutting slope along a construction age sequence (2007, 2009, 2010, 2011, 2012) of forest roads in Yongchiri, Younghyunmyon, Sacheonshi, Geyongsangnamdo. Mean slopes of the cutting and banking slopes of forest roads constructed were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용치리 지역에 5년(2007, 2009, 2010, 2011, 2012)동안 시공한 임도에 대하여 임도시공 후 경과년수에 따라 절토와 성토비탈면에 침입하는 식생과 식물상을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용치리 지역에서 5년(2007, 2009, 2010, 2011, 2012) 동안 시공한 임도를 대상으로 임도시공 후 경과년수에 따른 임도비탈면 식생침입 및 식물상을 파악하여 임도비탈면의 녹화 및 복원을 위한 안정화에 대한 방향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에 개설된 임도의 절토비탈면의 우점종은 무엇인가? 2009년에 개설된 임도의 절토비탈면 상단에는 새, 칡, 곰솔, 억새, 중단부에는 비수리, 새, 곰솔, 칡, 하단부에는 비수리, 곰솔, 새, 잔디 순으로 총 42종의 식생이 출현하였으며 곰솔이 우점하였다. 성토비탈면 상단에는 새, 칡, 잔디, 비수리 중단부에는 칡, 새, 곰솔, 비수리, 하단부에는 새, 칡, 배암차즈기, 억새 순으로 총 44종의 식생이 출현하였으며 칡과 새가 우점하였다.
성토비탈면의 식생피복도가 절토 비탈면보다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조사대상 임도의 성토비탈면에서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의 개설연도별 식생피복도는 각각 약 86%, 80%, 70%, 40%, 53%를 나타내어 성토비탈면의 평균피복도(약 66%)는 절토비탈면의 평균피복도(약 49%) 보다 높게 나타났다(Table 2). 이와 같이 성토비탈면의 식생피복도가 절토비탈면보다 높은 이유는 수목의 피복도가 높은 활엽수가 더 많았으며, 절토비탈면보다는 성토비탈면의 식생침입 및 성장이 용이한데(Lee et al., 2003)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성토비탈면의 주요 우점종은 무엇인가? 성토비탈면 상단에는 새, 칡, 잔디, 비수리 중단부에는 칡, 새, 곰솔, 비수리, 하단부에는 새, 칡, 배암차즈기, 억새 순으로 총 44종의 식생이 출현하였으며 칡과 새가 우점하였다. 즉, 이 지역의 주요 우점종은 칡과 곰솔로 나타났으나 칡을 제거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곰솔은 쇠퇴하고 칡의 세력이 확장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ower, J.E. and Zar, J.H. 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Brown Company Pulb. Iowa. pp. 1-184. 

  2. Burroughs, E.R. Jr. and King, J.G. 1989. Reduction of soil erosion on forest roads. USDA Forest Service Genitic Technical Research INT-264: 1-21. 

  3. Chun, K.W. and Oh, J.M. 1993. Sediment discharge and invasion of plants on the slope of the forest roads(2)-invasion of trees on the banking slop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2(4): 354-365. 

  4. Jeon, K.S. and Ma, H.S. 2004. Changing of vegetation coverage through elapsed years on cutting slope in forest roads.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and Revegetation Technic 7(3): 14-25. 

  5. Jungm, D.H. 1995. Studies on erosion amount of the newlyconstructed forest roa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4(3): 319-332. 

  6. Jung, W.O. 2001.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tability and vegetation survival in cutting slope of forest roads.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and Revegetation Technic 4(2): 74-83. 

  7. Korea Forest Service.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8. Korea Forest Service. 2012. Annual Report of Forest and Forestry Trend. Korea Forest Service 357-358.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Naturalized Plant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10. Lee, M.J., Song, H.K., Lee, J.W., Jeon, K.S., Kim, H.J., and Jung, D.H. 2003. Vegetation succession in the cut-slope of forest road-in case study on Chungcheong-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4): 397-408.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Guidelines of Korea Natural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pp. 10-36. 

  12. Oh, J.M., Shoji, I., Tsugio, E., and Chun, K.W. 1999. Effect of the forest road on suspended sediment yield in the small forest watershe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4): 477-484. 

  13. Park, J.H., Jeong, Y.H., and Choi, H.T. 2009. Using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stability analysis for the forest road cut-slope rehabilitation techniques.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and Revegetation Technic 12(2): 106-113. 

  14. Steyn, J.T. and Tolmay, J.P.C. 1995. The effects of tillage systems on soil bulk density and penetrometer resistance of a sandy clay loam soil. Journal of Plant Soil 12(2): 86-90. 

  15. Touru, A., Takashi, Y., and Mitsuru, N. 1980. Slope failure and vegetation on the face of forest road. Hokkaido Uni. Journal of Forest 37(1): 165-2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