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포늪, 순천만, 서해 갯벌에서부터 분리한 황산염/황-환원 세균의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ate- and Sulfur-reducing Bacteria from Woopo Wetland, Sunchun Bay, and Tidal Flat of Yellow S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0 no.3, 2014년, pp.254 - 260  

김소정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민의기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홍희지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종걸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정만영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차인태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  이성근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화합물은 혐기성환경에서 혐기성호흡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전자수용체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다양한 습지에서 배양을 통한 황산염/황-환원세균의 특성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혐기성 roll tube법을 통해 총 11개의 순수 배양체를 확보하였다. 16S rDNA를 이용한 계통분석 및 상동성 분석을 실시하여 Desulfovibrio 속의 세균 8종, Sulfurospirillum 속의 세균 2종, Desulfitobacterium 속의 세균 1종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황산염/황-환원세균은 모두 lactate와 pyruvate를 전자공여체로 이용하였으며, sulfite and thiosulfate를 전자수용체로 이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 다양한 전자공여체와 배양조건을 통하여 유용한 절대혐기성 황산염/황-환원세균의 생물자원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lfur compound includes major electron acceptors for anaerobic respiration. In this study, cultivation-based study on sulfate- and sulfur-reducing bacteria of various wetlands of Korea was attempted. To isolate sulfate- and sulfur-reducing bacteria, anaerobic roll tube method was used to obtain ty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국내혐기성 환경에서의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 순수분리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진들은 국내의 대표적인 습지인 우포 늪지대와 해안 갯벌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황산염 및 황-환원 세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황화합물은 혐기성환경에서 혐기성호흡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전자수용체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다양한 습지에서 배양을 통한 황산염/황-환원세균의 특성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혐기성 roll tube법을 통해 총 11개의 순수 배양체를 확보하였다.
  • 전자수용체는 sulfate (5 mM)와 thiosulfate (5 mM)를 사용하였다. 전자수용체 사용 유무에 대한 실험은 5 mM 의 lacate를 기질로 한 인공 담수물 또는 인공 바닷물 배지에서 6개의 다른 전자수용체를 이용 가능 한지 살펴보았다. Sulfate (5 mM), sulfite (5 mM), thiosulfate (5 mM), elemental sulfur (2 g/L), nitrate (5 mM), fumarate (10 mM)를 전자수용체로 넣어 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혐기성 환경에서 미생물의 호흡을 위한 전자 수용체로 사용되는 황화합물은? 황화합물은 혐기성 환경에서 호흡을 위한 전자 수용체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황산염과 황이 주로 이용된다. 황산염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고, 황의 형태 중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황산염 환원은 생물학적 황 순환에서 기초를 이룬다.
황화합물은 혐기성 환경에서 어떻게 이용되는가? 황화합물은 혐기성 환경에서 호흡을 위한 전자 수용체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황산염과 황이 주로 이용된다. 황산염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고, 황의 형태 중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황산염 환원은 생물학적 황 순환에서 기초를 이룬다.
황산염 환원 미생물은, 계통 분류상 어떤 문에서 알려져 있나? 황산염 환원 미생물은 생리학적으로나 계통 발생학적으로 매우 다양한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 다섯 개의 세균문과 두 개의 고세균 문에서 황산염 환원을 하는 미생물이 알려져 있다(Rabus et al., 2006; Barton and Fauqu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rton, L.L., and Fauque, G.D. 2009. Biochemistry, physiology and biotechnology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Adv. Appl. Microbiol. 68, 41-98. 

  2. Chang, Y.J., Peacock, A.D., Long, P.E., Stephen, J.R., McKinley, J.P., Macnaughton, S.J., Hussain, A.A., Saxton, A.M., and White, D.C. 2001. Diversity and characterization of sulfate-reducing bacteria in groundwater at a uranium mill tailings site. Appl. Environ. Microbiol. 67, 3149-3160. 

  3. Devereux, R. and Mundfrom, G.W. 1994. A phylogenetic tree of 16S rRNA sequences from sulfate-reducing bacteria in a sandy marine sediment. Appl. Environ. Microbiol. 60, 3437-3439. 

  4. Dhillon, A., Teske, A., Dillon, J., Stahl, D.A., and Sogin, M.L. 2003.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ulfate-reducing bacteria in the Guaymas Basin. Appl. Environ. Microbiol. 69, 2765-2772. 

  5. Elshahed, M.S., Senko, J.M., Najar, F.Z., Kenton, S.M., Roe, B.A., Dewers, T.A., Spear, J.R., and Krumholz, L.R. 2003. Bacterial diversity and sulfur cycling in a mesophilic sulfide-rich spring. Appl. Environ. Microbiol. 69, 5609-5621. 

  6. Fauque, G., LeGall, J., and Barton, L. 1991. Sulfate-reducing and sulfurreducing bacteria, pp. 271-337. In Shively, J.M. and Barton, L.L. (eds.), Variations in autotrophic life.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7.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41, 95-98. 

  8. Jorgensen, B.B. 1982.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sea bed-the role of sulphate reduction. Nature 296, 643-645. 

  9. Kelly, D.P. and Wood, A.P. 1998. Microbes of the sulfur cycle. In Burlage, R.S., Atlas, R., Stahl, D., Geesey, G., and Sayler, G. (eds.), Techniques in microbial e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USA. 

  10. Lane, D. 1991. 16S/23S rRNA sequencing, pp. 115-175. In Stackebrandt, E. and Goodfellow, M. (eds.),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England. 

  11. Li, J.h., Purdy, K.J., Takii, S., and Hayashi, H. 1999. Seasonal changes in ribosomal RNA of sulfate-reducing bacteria and sulfate reducing activity in a freshwater lake sediment. FEMS Microbiol. Ecol. 28, 31-39. 

  12. Nakagawa, T., Hanada, S., Maruyama, A., Marumo, K., Urabe, T., and Fukui, M. 2002.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thermophilic sulfatereducing bacteria within a Cu-Pb-Zn mine (Toyoha, Japan). FEMS Microbiol. Ecol. 41, 199-209. 

  13. Rabus, R., Hansen, T.A., and Widdel, F. 2006. Dissimilatory sulfate-and sulfur-reducing prokaryotes. In Dworkin, M., Falkow, S., Rosenberg, E., Schleifer, K.H., and Stackebrandt, E. (eds.), The prokaryotes, Vol. 2, pp. 659-768. Springer, Berlin, Germany. 

  14. Ravenschlag, K., Sahm, K., Pernthaler, J., and Amann, R. 1999. High bacterial diversity in permanently cold marine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5, 3982-3989. 

  15.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6. Shinn, M.B. 1941.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nitrite. Ind. Eng. Chem. Anal. Ed. 13, 33-35. 

  17.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 Oceanogr 14, 799-801. 

  18.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19. Tschech, A. and Pfennig, N. 1984. Growth yield increase linked to caffeate reduction in Acetobacterium woodii. Arch. Microbiol. 137, 163-167. 

  20. Wagner, M., Roger, A.J., Flax, J.L., Brusseau, G.A., and Stahl, D.A. 1998. Phylogeny of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s supports an early origin of sulfate respiration. J. Bacteriol. 180, 2975-2982. 

  21. Widdel, F. and Bak, F. 1992. Gram-negative mesophilic sulfate-reducing bacteria. In Balows, A., Truper, H.G., Dworkin, M., Harder, W., and Schleifer, K.H. (eds.), The prokaryotes, Vol. 4, pp. 3352-3378. Springer, New York,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