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의 두송반도 지질명소에 분포하는 지질노두의 지질유산적 가치
Geoheritage Values of the Geological Outcrops Distributed in the Dusong Peninsula Geosite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2, 2014년, pp.153 - 162  

조형성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강가령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천영범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손문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진섭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질학적 중요성을 가진 지질노두의 보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지질공원과 같은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고 있으며, 지질노두들의 올바르고 체계적인 보존을 위한 지질학자들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부산국가지질공원의 두송반도 지질명소에 분포하는 노두들을 대상으로 상세한 야외조사를 실시하고, 지질학적 중요성을 가지는 노두를 선별하여 이들에 대한 지질유산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백악기말 유천소분지 내에 만들어진 당겨열림형 구조분지인 다대포분지 내에 위치하는 두송반도에는 안산암질 암상, 하부다대포층, 고지진암, 쇄설성암맥, 캘크리트복합층, 퇴적동시성 정단층, 분지기반암과의 부정합 등의 과학적 가치가 높은 지질노두들이 분포한다. 이들 노두들은 제각각 발달상태의 대표성, 전형성, 희소성 등에서 중요한 지질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지질유산적 가치가 높으므로, 노두의 보호와 훼손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보존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cial demands to conserve the geological outcrops with important scientific valu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public programs such as national geopark are recently established. In this study, outcrops with geological values in the Dusong Peninsula geosite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 are in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두송반도 하부다대포층 기저의 화산암은 장석과 소량의 석영을 반정으로 하는 반상조직을 가진 칼크-알카리계열의 데사이트질 용암류로 동정되었으며 상당히 변질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노두는 분지의 침강으로 다대포층이 퇴적되기 이전에 활발한 화산활동이 있었음을 알려주며, 다대포층의 퇴적시기와 층서대비에 관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해 준다.
  • 부산국가지질공원의 두송반도 지질명소에 대한 상세한 야외조사를 통해, 지질학적 중요성을 가지는 지질노두들을 선별하여 이들에 대한 상세한 기재와 보존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한국암석학회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주관으로 지질노두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지질 조사표와 평가표의 초안이 제시되었다(Appendix I, II, III). 이번 연구에서는 부산국가지질공원의 두송반도 지질명소에 분포하는 지질유산들을 대상으로 상세한 야외조사를 실시하고, 발달상태의 대표성, 전형성, 희소성 등의 지질학적 중요성을 가지는 지질기록들을 선별하여 이들에 대한 상세한 기재와 보존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송반도는 어디에 해당되는가? 두송반도는 백악기말 화산활동이 활발하였던 경상 분지 유천소분지 내에서 만들어진 다대포분지의 중부에 해당된다(Fig. 1a).
하부다대포층의 전형적인 암상에 나타나는 특징은? 1b, 2b). 사암과 이암에는 북 내지 북북동 방향으로 20~30o 정도 경사진 층리 구조가 잘 나타나며(Fig. 2b2), 역암층에는 사층리, 깎고메운구조(cut-and-fill structure) 등의 퇴적구조가 잘 관찰된다. 이와 같은 퇴적층이 반복되어 발달하는 것은 하도와 범람원의 퇴적환경이 우세하였음을 지시한다.
다대포분지의 특징은? 1a). 다대포분지는 분지의 양쪽 경계를 이루는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의 좌수향주향이동 운동과 관련된 북동-남서 방향의 인장력에 의해 만들어진 당겨열림형(pull-apart) 분지로 알려져 있으며(Son et al., 2009; Cho et al., 2011), 배호-화산호 시스템의 경상분지 내에서 국지적인 단층운동으로 만들어진 소규모의 화산호내부분지(intra-arc basin)에 해당된다(Chough and Sohn, 2010). 분지 일원의 지질은 하위로부터 분지기반암에 해당하는 화산암류, 분지의 충전물인 다대포층, 이를 피복 또는 관입하는 유천층군 화산암류 그리고 후기 암맥/암상들로 구성된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ocx, M. and Semeniuk, V., 2007, Geoheritage and geoconservation - History, definition, scope and scal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Western Australia, 90, 53-87. 

  2. Chang, T.W., Kang, P.C., Park, S.-W., Hwang, S.K. and Lee, D.W., 1983, Geological report of the Busan-Gadeok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2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H., Kang, K., Kim, J.-S. and Son, M. 2014. Field guide book: The Busan National Geopark -Songdo Peninsular, Dusong Peninsular, Nakdonggang Estuary geosites-.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Seoul, 36p (in Korean). 

  4. Cho, H., Kim, J.-S., Sohn, Y.K., Son, M. and Kim, I.-S., 2011, Petrography and $^{40}Ar/^{39}$ ages of volcanic rocks in the Cretaceous Dadaepo Basin, Busan: Accumulation time and correlation of the Dadaepo Form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ugh, S.K. and Sohn, Y.K., 201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a Cretaceous continental arc-backarc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New view. Earth Science Reviews, 101, 225-249. 

  6. Huh, M., Paik, I.S., Park, J., Hwang, K.G., Lee, Y.I., Yang, S.Y., Lim, J.D., Lee, Y.U., Cheong, D.K., Seo, S.J., Park, K.H. and Moon, K.H., 2006, Occurrence of dinosaur egg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523-5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H.-C., Paik, I.S., Lee, H.I., Lee, J.E. and Chun, J.-H., 2010. Soft-sediment deformation structures in Cretaceous non-marine deposits of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Korea: Occurrences and origin. Island Arc, 19, 628-646. 

  8. Kang, K., Cho, H., Kim, H.J., Kim, S., Son, M., Kim, J.-S. and Paik, I.S., 2014, The value of the Busan Geopark's geosites and geoheritages: a case study focused on geotrai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21-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S.J., 2009, Cretaceous geological records along the rocky coast of Busan, Korea as a Geotourism site. Ph. M.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70p. 

  10. Paik, I.S., Kim, H.J. and Huh, M., 2012, Dinosaur egg deposits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Korea: Diversity and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56, 135-146. 

  11. Paik, I.S., Kim, S.K., Huh, M., Lee, S.J., Kim, H.J. and Lim, J.D., 2010, Touristic aspects of geological heritages-Cretaceous dinosaur fossil sites.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43, 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aik, I.S., Lee, J.D., Kim, J.J., Kim, I.S. and Park, C.W., 1997, Compound calcrete deposits from the Dadaepo Formation in Dusong peninsula, Pusan : Origin, paleoenvironments,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0, 263-2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Shin, J.-J., 1997, Genesis and structural evolutionary history of the Dadaepo basin in Pusan, Korea. Ph. M.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00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ohn, Y.K., 2014, Geoheritage in Korea and its conservati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pla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1-2 (in Korean). 

  15. Son, M, Cho, H. and Kim, I.-S., 2009, Field guide book: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in the Cretaceous Dadaepo Basin between Yangsan and Dongnae faults, Busan.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Seoul, 42p (in Korean). 

  16. Woo, K.S., 2014, Qualification and prospect of national and global geoparks 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