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 원료생산을 위해 대규모로 억새를 재배할 시에 억새의 생육 및 수량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유해요인을 사전에 대비하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전남 무안의 억새 재배지에서 2012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이화명나방 유충의 월동양상 및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월별로 유충의 출현 위치, 가해 피해양상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섬유질계 바이오에너지 작물인 거대억새에 기주하는 이화명나방 유충밀도를 2화기 이후인 2012년 10월에서 2013년 3월까지 조사한 결과, 월평균 기온이 내려갈수록 유충의 출현위치가 점차 지상부의 아래부위 또는 줄기기부로 이동하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월평균 기온이 $10^{\circ}C$이하로 내려가는 11월 및 12월경에는 지하경(뿌리) 부위에서 가장 많은 이화명나방 유충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억새밭에서 이화명나방 피해는 줄기 침입구멍 존재여부와 부러진 줄기로 판단하였는데 전체 줄기 중 구멍이 뚫린 줄기 비율이 28.6%이었으며, 부러진 줄기수는 전체의 12.4%이었으나 심한 곳은 구멍뚫린 줄기비율이 46.8%, 부러진 줄기비율도 36.9%로 나타났다. 억새밭에 기생하는 이화명나방 유충의 경우, 지하 5cm 이하의 줄기기부 심지어는 뿌리내부에서 월동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반적인 방제방법으로는 이화명 나방 유충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으로 억새밭 이화명나방 방제방법의 개발이 개발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wa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est of rice for the 1960s and 1970s in Korea. Recently, it is newly recognized as a potential risk factor to the biomass yield of bioenergy crops. The current research was firstly conducted to investigate overwinte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 원료생산을 위해 대규모로 억새를 재배할 시에 억새의 생육 및 수량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유해요인을 사전에 대비하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전남 무안의 억새 재배지에서 2012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이화명나방 유충의 월동양상 및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월별로 유충의 출현 위치, 가해 피해양상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국내에서도 바이오에너지 원료생산을 위해 억새를 대규모로 재배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억새의 생육 및 수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병충해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억새 집단 재배지 내의 이화명나방 유충의 월동양상 및 밀도를 조사하여 억새 가해해충 이화명나방의 방제법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억새에 기주하는 이화명나방의 발생형태 및 밀도를 분석하여 이화명나방의 방제 및 관리법 개발의 기초로 활용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의 거대억새 생산력 검정을 위한 시험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시험포장에는 거대 1호, 억새 2호, 우람억새, 도입종(3배체)억새 및 일반 물억새의 5종류의 억새를 4년간 재배 중이며, 각 억새종별 시험포장의 면적은 10 × 10 m로 난괴법 3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화명나방은 무엇인가?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Walker, Rice stem borer)은 유충이 벼를 중심으로 피 , 갈대, 줄풀 등 벼과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및 인도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대표적인 해충 중의 하나이다. 이화명나방은 일반적으로 추운 북부지방을 제외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방에서는 연 2회 발생하며, 5월경에 1세대 성충이 우화하고, 2세대는 7월경에 우화한다.
이화명나방 유충을 조사하기 위한 식물체의 채취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이화명나방 유충의 조사기간은 이화명나방의 2화기 후 2012년 10월경부터 이듬해 2013 년 3 월경까지이며 월 1회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매월 거대 1호 시험포장에서 1 x 1 m 내의 식물체 지상부(줄기)를 지상에서 최대한 근접하게 절단하여 수확하였고, 수확된 식물체 개체에 해당하는 지하부(뿌리)를 채취하였다. 수확된 지상부는 초장 및 줄기수 조사 등의 생육조사를 행하였으며 생육조사가 완료된 줄기는 종으로 쪼개어 이화명나방 유충의 발생여부(유/무) 를 조사하였다.
이화명나방의 분포지역은 어디인가?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Walker, Rice stem borer)은 유충이 벼를 중심으로 피 , 갈대, 줄풀 등 벼과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및 인도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대표적인 해충 중의 하나이다. 이화명나방은 일반적으로 추운 북부지방을 제외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방에서는 연 2회 발생하며, 5월경에 1세대 성충이 우화하고, 2세대는 7월경에 우화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G. H., J. K. Kim, Y. H. Moon, Y. L. Cha, Y. M. Yoon, B. C. Koo, and K. G. Park. 2013. A new genotype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Geodae-Uksae 1, identified by growth characteristics and a specific SCAR marker. Bioprocess Biosyst. Eng. 36 : 695-703. 

  2. An, G. H., B. C. Koo, Y. H. Choi, Y. H. Moon, Y. L. Cha, S. T. Bark, J. K. Kim, Y. M. Yoon, K. G. Park, and J. T. Kim. 2012. The effects of soilidified sewage sludge as a soil cover material for cultivation of bioenergy crops in reclaimed land. Korean J. Crop Sci. 57(3) : 238-247. 

  3. Atapour, M. and S. Moharramipour. 2009. Changes of cold hardiness, supercooling capacity, and major cryoprotectants in overwintering larvae of Chilo suppressalis (Lepidoptera: Pyralidae). Entomol. Soc. Am. 38(1) : 260-265. 

  4. Atkinson, C. J. 2009. Establishing perennial grass energy crops in the UK: A review of current propagation options for Miscanthus Biomass Bioenergy 33 : 752-759. 

  5. Beale, C. V. and S. P. Long. 1995. Can perennial C4 grasses attain high efficiencies of radiant energy conversionin cool climates? Plant Cell Environ. 18 : 641-650. 

  6. Choi, S. Y., H. R. Lee, J. O. Lee, and J. S. Park. 1976. Varietal differences in ovipositional preference of the striped rice borer moths (Chilo suppressalis W.). Korean J. Pl. Prot. 15(1) : 23-27. 

  7. Greef, J. M., M. Deuter, C. Jung, and J. Schondelmaier. 1997. Genetic diversity of European Miscanthus species revealed by AFLP fingerprinting. Genet. Resour. Crop Ev. 44 : 185-197. 

  8. Jeffrey, D. B., R. P. Jarrad, L. S. Kevin, and E. G. Michael. 2010. First report of field populations of two potential aphid pests of the bioenergy crop Miscanthus x giganteus.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of IANR, DigitalCommon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pp. 135-137. 

  9. Jezowski, J. 2008. Yield traits of six clones of Miscanthus in the first 3 years following plnating in Poland. Ind. Crop Prod. 27 : 65-68. 

  10. John, S., B. Sebe, D. Vince, G. Stuart, G. Donald, H. Dustin, H. Clayton, L. Steve, O. Jim, S. Michael, W. Eric, and W. Larry. 2014. Rice varieties & management tips. www.lsuagcenter.com/en/crops_livestock/crops/rice/Publications/ pp. 13-14. 

  11. Kang K., S. G. Hong, K. J. Ji, J. Y. Choi, H. H. HyeMi, H. J. Kim, and S. J. Park. 2014. Monitoring biota in giant Miscanthus fields. J. Korean Society Agri. Eng. 56(1) : 89-99. 

  12. Koonin, S. E. 2006. Getting serious about biofuels? Science 311:435. 

  13. Lee C. S. and H. J. Park. 1991. Changes i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30(4) : 249-257. 

  14. Lee J. H. 1999. Development of insect population dynamics and forecast models: A case of Chilo suppressalis (Walker) occurrence in Suwon. Korean J. Appl. Entomol. 38(3) : 231-240. 

  15. Lewandowski, I., J. C. Clifton-Brown, J. M. O. Scurlock, and W. Huisman. 2000. Miscanthus: European experience with a novel energy crop. Biomass Bioenerg. 19 : 209-227. 

  16. Lewandowski, I. and U. Schmidt. 2006. Nitrogen, energy and land efficiencies of miscanthus, reed canary grass and triticale as determined by the boundary line approach. Agri. Eco. Environ. 112 : 335-346. 

  17. Mann, J. J., J. N. Barney, G. B. Kyser, and J. M. DiTomaso. 2013. Root system bynamics of Miscanthus x giganteus and Panicum virgatum in response to rainfed and irrigated conditions in california. Bioenerg. Res. 6 : 678-687. 

  18. Moon, Y. H., B. C. Koo, Y. H. Choi, S. H. Ahn S. T. Bark, Y. L. Cha, G. H. An, J. K. Kim, and S. J. Suh. 2010. Development of "Miscanthus" the promising bioenergy crop. Kor. J. Weed Sci. 30(4) : 330-339. 

  19. Yu. L. 1980. Rice improvement in China and other Asian counties: Studies on the control of the yellow rice stem borer.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and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pp. 157-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