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산란 알의 부화 및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방제효과
Emergence Timing of overwintered adults laid eggs and Control Effect by Eco-friendly materials to Cacopsyllapyricola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2 no.3, 2014년, pp.445 - 455  

조영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송장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임경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최진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이한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circ}C$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circ}C$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ar sucker (Cacopsylla pyricola) is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 in Korea. The hatching rates of overwintered adults laid eggs were observed at 10, 13, 18, and $22^{\circ}C$. The liner model was draw as Y=0.00277X+0.00146(Y=developmental rate, X=temperature) about temperature an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3)도 있으며, Paulson 등(2005)은 식물생장 조절제중의 하나인 prohexadione-calcium 살포가 꼬마배나무이 등 방제에 사용되는 imidacloprid의 작용을 돕는다고 하였는데, 이 생장조절제 사용으로 신초의 생장을 억제하여 살충제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배 재배 농가에서 화학적으로 합성된 작물보호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에 의해 산란된 알의 온도별 부화율을 조사하고, 방제 적기를 탐색하고자 월동성충이 낳은 알의 부화시기를 조사하였으며, 여러 방제용 자재에 의한 살란효과 및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 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배나무를 가해하는 나무이과 해충은 어떤 것들이 기록되어 있는가? 우리나라 배나무를 가해하는 나무이과(Psyllidae) 해충은 두 종이 기록되어있는데, 배나무이(Psylla pyrisuga Foerster)와 꼬마배나무이(P. pyricola Foerster)이다. 꼬마배나무이의 학명은 1990년대 후반에 속명이 변경되어 Cacopsylla pyricola(Foerster)로 기록되며 남부지방에서 1990년대 중후반부터 발생이 증가하여 우리나라 배나무에서 문제해충으로 자리 잡고 있다(The Entom.
꼬마배나무이는 배나무에 어떻게 피해를 주는가? , 2000). 단과지, 잎, 신초 등에 산란하여 3~6개씩 잎이 있는 엽총의 잎자루 기부, 잎의 주맥 등에 서식하고 흡즙하여 1차적 피해를 주며, 어린 약충은 하얀 배설물을 항문에 붙이거나 감로를 분비한다. 분비된 배설물은 배나무에 그을음 증상을 유발하거나 과실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2차 피해를 준다(Kim et al., 1995).
꼬마배나무이 겨울형 성충은 체색이 무슨 색인가? , 1995). 꼬마배나무이는 성충의 형태가 월동을 위한 겨울형과 생육기 여름형의 형태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는데, 겨울형 성충은 생식적인 휴면상태로 월동을 하고, 체색이 흑갈색이며 앞날개의 맥이 흑색으로 뚜렷한 반면, 여름형 성충은 체색이 연한 녹색이며 앞날개의 맥이 투명한 차이를 보인다(Wong and Madsen, 1967, Burts, 1970). 배나무에서 꼬마배나무이의 발생 밀도를 줄이는 1차적인 방법으로 월동성충이 배나무 단과지로 이동하는 시기인데 2월 1일부터 최고온도 6℃ 이상인 날의 수를 누적하여 16~21일수에 기계 유유제로 방제하는데(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urts, E. C. 1970. The pear psylla in Central Washington. Wash. Agric. Stn. Circ. 516. 

  2. Kim D. S., C. Y. Yang, and H. Y. Jeon. 2007. An Empirical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he Onset of Upward-Movement of Overwintered Caccopsylla pyricola (Homoptera: Psyllidae) in Pear Orchard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 228-233. 

  3. Kim, D. S., H. Y. Jeon, M. S. Yiem, M. R. Cho, and S. B. Kim, 1995. Ecological studies on the pear psylla. pp. 736-742. In Annual report of NHRI, RDA., No. 31235-51850-56-2. p. 927 (In Korean). 

  4. Kim, D. S., M. R. Cho, H. Y. Jeon, M. S. Yiem, and J. H Lee, 2000. Population trends and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pear psylla, Caccopsylla pyricola (Foerster) (Homoptera:Psyllidae). Korean J. Appl. Entomol. 39(2): 73-82. 

  5. Park, J. W., Y. U. Park, J. J. An, S. E. Park, J. J. Choi, H. N. Koo, and G. H. Kim. 2013. Insecticidal Activity of 27 Insecticides to Pear Psylla, Cacopsylla pyricola (Foerster) (Hemiptera:Psyllidae) in Jincheo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7: 72-75. 

  6. Paulson G. S., L. A. Hull, and D. J. Biddinger. 2005. Effect of a plant growth regulator Prohexadione-Calcium on insect pests of apple and pear. J. of Econ. Entomol. 98: 423-431. 

  7. SAS Institute. 2004. SAS/ETS User's Guide 9.1, SAS Institute, Inc. 

  8. The Entomological Spcied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1994.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744p. Seoul Konkuk Univ. Publisher. (In Korean) 

  9. Wong, T. T. Y. and H. F. Madsen. 1967. Laboratory and field studies on the seasonal forms of pear psylla in Northern California. J. Econ. Entomol. 60: 163-168. 

  10. You, D. H. 2005. Biono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the pear sucker, Cacopsylla pyricola Foerster (Homoptera: Psyllidae) on pear. PhD. Thesis Chonbuk Nat'l Univ. p. 7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