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이 검은별무늬병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 선발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3 no.2, 2017년, pp.159 - 167  

박소향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유기농업과) ,  홍성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유기농업과) ,  심창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유기농업과) ,  김민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유기농업과) ,  박종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유기농업과) ,  한은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유기농업과) ,  김용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ladosporium cucumerinum PT1 (KACC 48094)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대하여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3품목의 유기농업 자재를 대상으로 실내에서 항균활성 검정과 온실에서 오이 유묘에 포자현탁액 접종을 통한 유묘검정을 실시하였다. 13개 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균사생장을 억제하였고, 이 중 9개 품목이 미생물 제제였다. 오이 유묘를 이용한 검정에서 6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90%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이 유효성분인 미생물 제제의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그 다음으로 9개의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여 예방적 및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하였는데, 예방적으로 처리했을 때 9개 자재 모두 병 발생을 상당히 억제하였다. 특히, 보르도액 I과 III은 방제가가 각각 96.7%, 73.3%로 훌륭한 예방효과를 나타냈다. 이 중 백리향+고삼 추출물이 함유된 자재에서만 방제가 가 50%로 다소 낮았지만 치료적 처리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시설 내 온화하고 습한 조건에서 잘 발생하는 오이 검은별무늬병은 유기농업자재로 방제될 수 있고 예방적 처리가 더욱 중요하고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icacy of the organic farming materials on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PT1 (KACC 48094). The antifungal activities in vitro as well as the suppressive effect of 43 organic farming materials on the spore germination and germ tu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대하여서는 Bacillus subtilis KMU-13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는 보고(Park 등, 2006) 외에 유기 농업자재의 방제효과가 규명되어 있는 정보가 미미하기 때문에 유기농업을 하는 농민들 이유기 농업자재를 적시적지에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대해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 선택 및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사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이 검은별무늬병균 방제약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주로 어린 과실이나 연한 잎, 생장점에 발생하며 병든 잎이나 줄기에서 균사나 분생포자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 염원이 되고, 2차 전염원은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비산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고 하였다(Kim, 1999). 방제약제로는 dithiocarbamate 분무처리가 성공적이라고 보고되었고(Ellis 와 Holliday, 1972), 우리나라에는 디페노코나졸 등 24품목의 작물보호제가 등록되어 있는 등 화학적 방제가 주로 이루어 지고있다(KCPA, 2016).
오이 검은별무늬병균은 주로 어떻게 전염원이 되는가? 2016년에도 전북 완주군 국립농업과학원 내 유기농 오이 연작 시설재배지 에서 이 병에 대한 피해가 나타나는 등 보고가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병원균의 특성연구 및 저항성 품종 선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등, 1997; Park 등, 2015). 주로 어린 과실이나 연한 잎, 생장점에 발생하며 병든 잎이나 줄기에서 균사나 분생포자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 염원이 되고, 2차 전염원은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비산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고 하였다(Kim, 1999). 방제약제로는 dithiocarbamate 분무처리가 성공적이라고 보고되었고(Ellis 와 Holliday, 1972), 우리나라에는 디페노코나졸 등 24품목의 작물보호제가 등록되어 있는 등 화학적 방제가 주로 이루어 지고있다(KCPA, 2016).
오이 검은별무늬병균은 특징은 무엇인가? 오이 검은별무늬병균(Cladosporium cucumerinum, cucumber scab)은 불완전 균류에 속하고 20°C–25°C에서 생장이 가장 우수한 병원균으로, 오이 반촉성 및 조숙재배와 같이 시설 내 온화한 조건에서 발병이 용이하다. 2016년에도 전북 완주군 국립농업과학원 내 유기농 오이 연작 시설재배지 에서 이 병에 대한 피해가 나타나는 등 보고가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병원균의 특성연구 및 저항성 품종 선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등, 1997; Park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rguelles-Arias, A., Ongena, M., Halimi, B., Lara, Y., Brans, A., Joris, B. and Fickers, P. 2009. Bacillus amyloliquefaciens GA1 as a source of potent antibiotic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for biocontrol of plant pathogens. Microb. Cell Fact. 8: 63. 

  2. Beffa, T. 1993. Inhibitory action of elemental sulphur ( $S^{\circ}$ ) on fungal spores. Can. J. Microbiol. 39: 731-735. 

  3. Borriss, R., Chen, X. H., Rueckert, C., Blom, J., Becker, A., Baumgarth, B., Fan, B., Pukall, R., Schumann, P., Sproer, C., Junge, H., Vater, J., Puhler, A. and Klenk, H. P. 2011. Relationship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clades associated with strains DSM $7^T$ and $FZB42^T$ : a proposal for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amyloliquefaciens subsp. nov.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subsp. nov. based on complete genome sequence comparisons. Int. J. Syst. Evol. Microbiol. 61: 1786-1801. 

  4. Caldwell, B., Sideman, E., Seaman, A., Shelton, A. and Smart, C. 2013. Resource Guide for Organic Insect and Disease Management. 2nd ed. New York Stat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Geneva, NY, USA. 202 pp. 

  5. Choi, S. W., Lee, M. Y., Hong, I. P., Choi, Y. S., Kim, H. K., Kim, N. S., Lee, K. G., Kim, J. M. and Hwang, C. Y. 2013.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al plants extracts on Ascosphaera apis. Korean J. Apic. 28: 211-216. (In Korean) 

  6. Choi, W. S., Kim, K. Y., Jang, D. Y., Um, D. Y., Jung, B. J. and Kim, T. J. 2006. Phytopathogenic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and their main compounds. Korean J. Pestic. Sci. 10: 201-209. (In Korean) 

  7. Cochrane, S. A. and Vederas, J. C. 2016. Lipopeptides from Bacillus and Paenibacillus spp.: a gold mine of antibiotic candidates. Med. Res. Rev. 36: 4-31. 

  8. Ellis, M. B. and Holliday, P. 1972. Cladosporium cucumerinum. IMI Descriptions of Fungi and Bacteria, No. 35, pp. Sheet 348.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9. Emmert, E. A. and Handelsman, J. 1999. Biocontrol of plant disease: a (Gram-) positive perspective. FEMS Microbiol. Lett. 171: 1-9. 

  10. Everett, K. R. and Timudo-Torrevilla, O. E. 2007. In vitro fungicide testing for control of avocado fruit rots. N. Z. Plant Prot. 60: 99-103. 

  11. Fernandes, J. C. and Henriques, F. S. 1991.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structural effects of excess copper in plants. Bot. Rev. 57: 246-273. 

  12. Hong, S. J., Kim, Y. K., Shim, C. K., Kim, M. J., Park, J. H., Han, E. J., Jee, H. J. and Kim, S. C. 2015. Suppressive effect of organic farming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tomato gray mold. Korean J. Organ. Agric. 23: 567-582. (In Korean) 

  13. Hwang, K. C., Shin, S. H. and Chung, N. J. 2014. Controlling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on pathogenic fungi and pest of rice. Korean J. Organ. Agric. 22: 269-280. (In Korean) 

  14. Jeong, H. K., Lee, H. J. and Kim, C. G. 2016. 2016 Production Status and Market Prospec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t Home and Abroad. KREI Agricultural Policy Focus, No. 13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Naju, Korea. 

  15. Katz, E. and Demain, A. L. 1977. The peptide antibiotics of Bacillus: chemistry, biogenesis, and possible functions. Bacteriol. Rev. 41: 449-474. 

  16.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6.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Samjung Printing, Seoul, Korea. 1559 pp. (In Korean) 

  17. Kim, K. C. 1999. Diagnosis and Control of Cucurbit Crop Diseas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Gwangju, Korea. 702 pp. 

  18. Kim, W. G., Weon, H. Y. and Lee, S. Y. 2008. In vitro antagonistic effects of bacilli isolates against four soilborne plant pathogenic fungi. Plant Pathol. J. 24: 52-57. 

  19. Kim, Y. K., Hong, S. J., Jee, H. J., Shim, C. K., Park, J. H., Han, E. J., An, N. H., Lee, S. D. and Yoo, J. H. 2011. Population dynamics of effective microorganisms in microbial pesticides and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farming materials according to storing period and temperature. Korean J. Pestic. Sci. 15: 55-60. (In Korean) 

  20. Kwak, Y. K., Kim, I. S., Cho, M. C., Lee, C. S. and Kim, S. 2012a.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farm materials in Colletotrichum acutatum in vitro. J. Bio-Environ. Control 21: 127-133. (In Korean) 

  21. Kwak, Y. K., Kim, I. S., Cho, M. C., Lee, C. S. and Kim, S. 2012b.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n Botrytis cinerea in vitro. J. Bio-Environ. Control 21: 134-139. (In Korean) 

  22. Lee, K. Y., Youn, K. H., Kang, H. J., Ahn, K. S., Min, K. B. and Cha, B. 1997.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13: 288-294. (In Korean) 

  23. Lee, S. Y., Kim, B. Y., Ahn, J. H., Song, J., Seol, Y. J., Kim, W. G. and Weon, H. Y. 2012. Draft genome sequence of the biocontrol 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M27. J. Bacteriol. 194: 6934-6935. 

  24. Lee, S. Y., Weon, H. Y., Kim, J. J., Han, J. H. and Kim, W. G. 2013b. Control effect of the mixture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 and plant extract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Korean J. Pestic. Sci. 17: 435-439. (In Korean) 

  25. Lee, S. Y., Won, H. Y., Kim, J. J., Han, J. H. and Kim, W. G. 2013a.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 Korean J. Mycol. 41: 268-273. (In Korean) 

  26. Martins, V., Hanana, M., Blumwald, E. and Geros, H. 2012. Copper transport and compartmentation in grape cells. Plant Cell Physiol. 53: 1866-1880. 

  27. McCallan, S. E. A. and Wilcoxon, F. 1931. The fungicidal action of sulphur. II. The production of hydrogen sulphide by sulphured leaves and spores and its toxicity to spores. Contrib. Boyce Thompson Inst. 3: 13-38. 

  28. Miller, L. P., McCallan, S. E. A. and Weed, R. M. 1953. Quantitative studies on the role of hydrogen sulfide formation in the toxic action of sulfur to fungus spores. Contrib. Boyce Thompson Inst. 17: 151-171. 

  29. Nielsen, P. and Sorensen, J. 1997. Multi-target and mediumindependent fungal antagonism by hydrolytic enzymes in Paenibacillus polymyxa and Bacillus pumilus strains from barley rhizosphere. FEMS Microbiol. Ecol. 22: 183-192. 

  30. Northover, J. and Timmer, L. W. 2002. Control of plant diseases with petroleum and plant-derived oils. In: Spray Oils Beyond 2000, eds. by G. A. C. Beattie, D. M. Watson, M. L. Stevens, D. J. Rae and R. N. Spooner-Hart, pp. 512-526.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Press, Penrith South, Australia. 

  31. Park, J. S., Cho, W. J. and Kim, W. S. 2014. Selection and control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for controlling the main disease of Yuzu (Citrus junos Sieb). Korean J. Organ. Agric. 22: 115-127. (In Korean) 

  32. Park, J. W., Kim, Y. K., Park, S. H., Hong, S. J., Shim, C. K., Kim, M. J., Park, J. H., Han, E. J., So, H. G. and Kim, S. C. 2016. Effect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removal of apical shoot on controlling cucumber downy mildew. Korean J. Organ. Agric. 24: 919-929. (In Korean) 

  33. Park, S. H., Hong, S. J., Shim, C. K., Kim, M. J., Park, J. H., Han, E. J., Park, J. W., Jee, H. J., Kim, S. C. and Kim, Y. K. 2015.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ucumber cultivars against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using cucumber fruits and seedlings. Res. Plant Dis. 22: 18-24. (In Korean) 

  34. Park, S. J., Kim, G. H., Kim, A. H., Lee, H. T., Gwon, H. W., Kim, J. H., Lee, K. H. and Kim, H. T. 2012. Controlling effect of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red pepper. Res. Plant Dis. 18: 1-9. (In Korean) 

  35. Park, S. M., Lee, J. S., Park, C. D., Lee, J. H., Jung, H. J. and Yu, T. S. 2006. Selec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ubtilis KMU-13 against cucumber scab, Cladosporium cucumerinum KACC 40576.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2-48. (In Korean) 

  36. Pierson, C. F. and Walker, J. C. 1954. Relation of Cladosporium cucumerinum to susceptible and resistant cucumber tissue. Phytopathology 44: 459-465. 

  37. Sung, J. E. and Jung, J. G. 2015. An analysis of the actual production conditions of organic farm. In: Advance Case Stud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Organic Agriculture, ed. by J. L. Cho, pp. 178-204. Korean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Wanju, Korea. 

  38. Tweedy, B. G. and Turner, N. 1966. The mechanism of sulfur reduction by conidia of Monilinia fructicola. Contrib. Boyce Thompson Inst. 23: 255-265. 

  39. Wilcoxon, F. and McCallan, S. E. A. 1931. The fungicidal action of sulphur. III. Physical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of dusts. Contrib. Boyce Thompson Inst. 3: 509-528. 

  40. Zhang, S., Raza, W., Yang, X., Hu, J., Huang, Q., Xu, Y., Liu, X., Ran, W. and Shen, Q. 2008. Control of Fusarium wilt disease of cucumber plants with the application of a bioorganic fertilizer. Biol. Fertil. Soils 44: 10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