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48만ha에 걸쳐 연료림으로 조성되어 있는 리기다소나무를 에너지연료로 활용하기 위해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공급가격과 전기 열 판매가격 및 이용률 등을 고려한 우드칩 연료한계가격을 산출하였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성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열 및 발전 전용시설에서의 경제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연료공급가격이다. 열 전용시설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든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우드칩 연료의 활용이 가능하며 발전 전용시설에서는 생산비가 가장 높은 연료사용에는 일부 한계가 있으나 전기 판매가격이 현재의 SMP(pitch pine : 계통한계가격)보다 높아지거나 이용률이 80%이상으로 되는 경우 모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더욱이 RPS제도 시행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인증서(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편익과 온실가스 절감효과로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편익 등을 고려할 경우 충분히 활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발전부문에서의 RPS 공급의무율 이행을 위해서 산림 바이오매스의 활용이 적극 권장된다.
The optimal woodchip production system was develop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a forest woodchip fuel was calculated for utilizing the pitch pine, which covers around 480,000ha nationwide. the marginal price of the woodchip fuel considering the factor of supply price, electricity and heat selling price as well as capacity factor were suggested and the economic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for various scenario. The most important variable which determine economic feasibility was a fuel cost for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f the electricity price is higher than the current SMP(System Marginal Price) or the capacity factor is higher than 80%, there fully is a benefit to consume the woodchip fuels produced in the suggested production system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additional benefit becomes more obvious when considering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and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Therefore, it is strongly suggested for domestic power generation sector to utilize the forest biomass fuel to achieve the obligatory target of RP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료림인 리기다소나무를 대상으로 전목생산, 전간재생산과 같은 생산시스템의 종류 그리고 생산지와 사용지간의 운송거리에 따라 수행한 공정분석 및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생산비용 및 공급가격을 분석하고자 한다[5,11].
또한 에너지 연료 활용을 위한 산림 바이오매스의 생산비용 및 공급가격을 에너지 생산시스템(열 전용시설, 발전 전용시설)별로 적용 열·전기 판매가격 및 이용률 등을 고려한 우드칩연료 한계가격을 산출하고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산림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활용을 위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성화의 관건은 공급가격의 경제성과 공급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중의 하나인 산림 바이오매스로 국내 부존자원이며 1960~1970년대에 걸쳐 전국적으로 48만ha에 연료림으로 조성하여 현재는 벌기령이 지나 수종갱신 대상인 리기다소나무를 에너지연료로 활용하기 위한 에너지연료 생산공정분석을 통한 생산비용을 산출하고 또한 현 단계에서 생산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재의 에너지 생산시스템에 적용 시 경제성 확보 여부를 경제성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 편익분석과 환경적 편익분석을 종합하여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활용가능 타당성을 평가하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2,8].
본 연구에서는 리기다소나무를 에너지 연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증실험을 통해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연료 생산원가를 분석하였으며 공급가격과 전기·열 판매가격 및 이용률 등을 고려한 우드칩 연료 한계가격을 산출하여 열전용 시설 및 발전 전용시설에서의 에너지연료 활용을 위한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이용계획 | 한전 발전자회사를 포함한 13개 RPS 대상 발전사업자들과 여러 민간열병합 발전사업자 및 산업용 열 생산 설비 보유업체들이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이용계획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사례는? |
2006년 국내 최초로 서대구에 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소가 준공되어 상업운전에 들어간 이후 몇 개의 열병합발전소가 추가로 건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현재는 제도 시행에 대응하기 위해 한전의 RPS 발전자회사인 한국동서발전이 2013년 준공목표로 동해에 30 MW급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건설 중에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서부발전도 30~50 MW급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한국지역난방공사와 민간부문에서도 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설비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2006년 국내 최초로 서대구에 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소가 준공되어 상업운전에 들어간 이후 몇 개의 열병합발전소가 추가로 건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현재는 제도 시행에 대응하기 위해 한전의 RPS 발전자회사인 한국동서발전이 2013년 준공목표로 동해에 30 MW급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건설 중에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서부발전도 30~50 MW급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한국지역난방공사와 민간부문에서도 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설비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1,8,9,14,17,26]. |
공사원가 | 공사원가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
노무비, 재료비, 경비, 일반관리비
예정가격 작성기준』 에 따르면 공사원가는 크게 노무비, 재료비, 경비, 일반관리비로 분류할 수 있다. 노무비에는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재료비는 직접재료비와 간접재료비로 경비는 기계경비, 보험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30]. |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성화의 관건은? |
공급가격의 경제성과 공급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성화의 관건은 공급가격의 경제성과 공급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중의 하나인 산림 바이오매스로 국내 부존자원이며 1960~1970년대에 걸쳐 전국적으로 48만ha에 연료림으로 조성하여 현재는 벌기령이 지나 수종갱신 대상인 리기다소나무를 에너지연료로 활용하기 위한 에너지연료 생산공정분석을 통한 생산비용을 산출하고 또한 현 단계에서 생산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재의 에너지 생산시스템에 적용 시 경제성 확보 여부를 경제성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 편익분석과 환경적 편익분석을 종합하여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활용가능 타당성을 평가하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2,8].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