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암 종별 수술량이 병원 내 사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rgery Volume on In Hospital Mortality of Cancer 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3, 2014년, pp.271 - 282  

윤경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lthough the mortality rate in cancers has been decreased recently, it is still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most of the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gery volume and in hospital mortality of cancer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병원의 수술량이 많다고 해서 그 병원에 소속된 모든 의사가 많은 경험을 가졌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병원의 전체적인 수술량과 함께 소속의사들의 개별적인 수술량도 포함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수술량과 사망의 관계 분석에서 어떤 기준으로 수술량의 수준을 분류하여 비교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대부분 연구가 수술량을 이등분 또는 삼등분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암환자의 사망률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유지하고 있다[15]. 이 연구는 암 종별로 수술량과 사망률의 관계를 분석하여 암 사망률 감소를 위한 정책개발과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제공에 필요한 기본자료의 생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기적은 첫째 수술량 수준에 따른 치료결과와 조직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의 분포를 검토하고, 둘째 의료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환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통제한 수술량과 치료결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국내에서 사망분률이 높은 5개 암 종간 수술량과 치료결과 관계를 비교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의료기관의 높은 암환자 수술량은 수술에 직접 참여 하는 의사, 간호사 등 인력에게 숙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시설, 장비, 업무체계 등에서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게 하여 수술 후 사망률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제하에 암 종별 사망과 수술량의 관련성을 전국적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술량과 병원내 사망 간에 관련성은 암 종별로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수술 량이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음으로 암환자의 중증도 보정에 있어서 암 질환의 병기를 나타내는 지표나 종양의 크기등의지표를사용하지않고동반상병에근거한중증도만보정하였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중도와 관련이 있는 재원일수를 분석에 포함하여 중중도 보정을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대상 환자를 암 관련 수술을 받은 환자로 제한하여 암 질환 병기의 변이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암 질환 병기와 같은 구체적인 임상자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행정적 자료를 CCI 등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방법으로 중증도 보정하였을 경우 연구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은 적은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9].
  •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기적은 첫째 수술량 수준에 따른 치료결과와 조직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의 분포를 검토하고, 둘째 의료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환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통제한 수술량과 치료결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국내에서 사망분률이 높은 5개 암 종간 수술량과 치료결과 관계를 비교하는 것이다.
  •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가 일관되지 않을 뿐 아니라 Lee [11]의 경우 의료기관 특성 관련 변수가 분석모형에 포함되지 않았고, Kim 등[9]은 의료급여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고, Kim [13]은 거주지역과 사망률 관계분석에서 수술량은 통제변수로 포함되어 분석된 점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공통적으로 병원의 수술량을 3개 수준으로 분류하여 수술량척도의 민감도가 낮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사망분률이 높은 5개 암의 수술량과 치료결과 관계를 전국의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을 이용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의 조직적 특성 및 환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포괄하는 모형을 가지고 분석하였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량과 치료결과의 관계는 무엇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가? 수술량과 치료결과의 관계는 국가 간 의료전달체계나 사회·경제적 차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10]. 그러나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수술량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어떠한가? 수술량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다양한 요소로서 설명될 수 있다. 수술량이 많은 의료기관의 수술 관련 인력은 특정 수술에 대한 학습곡선을 쉽게 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짧은 기간 내에 적정 기술수준을 습득할 수 있다[2]. 수술에 참여하는 인력의 적정한 숙련도는 수술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분석단위를 개별 의사로 하고 병원단위의 수술량을 통제한 후수술결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Damle 등[3]은 수술량이 많은 의사가 대장암 수술에서 수술후 합병증, 재수술률이 적음을 보였다.
수술량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수술량은 의료기관의 수술 관련 구조적 체계의 효과성에도 영향을 주어 재원일수나 수술 후 사망에 영향을 미친다[4]. Kim과 Kwon [2]은 한 명의 의사가 두 의료기관에서 수행한 복강경위절제술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수술 후 합병증, 수술시간, 재원일수 등이 수술량이 적은 병원에서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irkmeyer JD, Siewers AE, Finlayson EV, Stukel TA, Lucas FL, Batista I, et al. Hospital volume and surgical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N Engl J Med 2002;346(15):1128-1137. DOI: http://dx.doi.org/10.1056/NEJMsa012337 

  2. Kim MG, Kwon SJ. Comparison of the outcomes for laparoscopic gastrectomy performed by the same surgeon between a low-volume hospital and a high-volume center. Surg Endosc 2014;28(5):1563-1570. DOI: http://dx. doi.org/10.1007/s00464-013-3352-2 

  3. Damle RN, Macomber CW, Flahive JM, Davids JS, Sweeney WB, Sturrock PR, et al. Surgeon volume and elective resection for colon cancer: an analysis of outcomes and use of laparoscopy. J Am Coll Surg 2014;218(6):1223-1230. DOI: http://dx.doi.org/10.1016/j.jamcollsurg.2014.01.057 

  4. Luchtenborg M, Riaz SP, Coupland VH, Lim E, Jakobsen E, Krasnik M, et al. High procedure volum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after lung cancer surgery. J Clin Oncol 2013;31(25):3141-3146. DOI: http://dx.doi.org/10.1200/JCO.2013.49.0219 

  5. Avritscher EB, Cooksley CD, Rolston KV, Swint JM, Delclos GL, Franzini L, et al. Serious postoperative infections following resection of common solid tumors: outcomes, costs, and impact of hospital surgical volume. Support Care Cancer 2014;22(2):527-535. DOI: http://dx.doi.org/10.1007/s00520-013-2006-1 

  6. Shi HY, Wang SN, Lee KT. Temporal trends and volume-outcome associations in periampullary cancer patients: a propensity score-adjusted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Am J Surg 2014;207(4):512-519. DOI: http://dx.doi.org/10.1016/j.amjsurg.2013.06.019 

  7. Chang CM, Yin WY, Wei CK, Lee CH, Lee CC. The combined effects of hospital and surgeon volume on short-term survival after hepatic resection in a population-based study. PLoS One 2014;9(1):e86444.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86444 

  8. Lee YJ. Differences of cancer patient's health care utilizations between medical aid program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the elderly. J Korea Contents Assoc 2011;11(5): 270-279.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5.270 

  9. Kim SY, Park JH, Kim SG, Woo HK, Park JH, Kim Y, et al. Disparities in utilization of high-volume hospitals for cancer surgery: results of a Korean population-based study. Ann Surg Oncol 2010;17(11):2806-2815. DOI: http://dx.doi.org/10.1245/s10434-010-1133-x 

  10. Lin HC, Lee HC, Chu CH. The volume-outcome relationship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can current procedure volume minimums be applied to a developing country? Am Heart J 2008;155(3):547-552. DOI: http://dx.doi.org/10.1016/j.ahj.2007.10.029 

  11. Le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urgical volume and mortality in acute hemorrhagic stroke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1. 

  12. Kim YH, Her AY.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volume and risk-adjusted mortality rate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Korea, 2003 to 2004. Anadolu Kardiyol Derg 2013;13(3):237-242. DOI: http://dx. doi.org/10.5152/akd.2013.070 

  13. Kim YA. Impact of regional differences in cancer patients' residential and hospital areas on the survival rate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4. 

  14.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Mortality Rate, 2012.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4 [cited 2014 Jun 30].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201000000. 

  15. Finks JF, Osborne NH, Birkmeyer JD. Trends in hospital volume and operative mortality for high-risk surgery. N Engl J Med 2011;364(22):2128-2137. DOI: http://dx.doi.org/10.1056/NEJMsa1010705 

  16. Doh SR, Chang YS, Sohn CK, Shin ES, Kim EJ, Chun JH. Year 2011 patients Survey.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17. Charlson ME, Pompei P, Ales KL,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nic Dis 1987;40(5):373-383. DOI: http://dx.doi.org/10.1016/0021-9681(87)90171-8 

  18. Liu JH, Zingmond DS, McGory ML, SooHoo NF, Ettner SL, Brook RH, et al. Disparities in the utilization of high-volume hospitals for complex surgery. JAMA 2006;296(16):1973-1980. DOI: http://dx.doi.org/10.1001/jama.296.16.1973 

  19. Riall TS, Eschbach KA, Townsend CM Jr, Nealon WH, Freeman JL, Goodwin JS. Trends and disparities in regionalization of pancreatic resection. J Gastrointest Surg 2007;11(10):1242-1251. DOI: http://dx.doi.org/10.1007/s11605-007-0245-5 

  20. Youn KI. Comparisons of health care utilization patterns and outcome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id Program cancer patients. J Health Inform Stat 2014;39(1):42-59. 

  21. Ricciardi R, Roberts PL, Read TE, Hall JF, Marcello PW, Schoetz DJ. Which adverse events are associated with mortality and prolonged length of stay following colorectal surgery? J Gastrointest Surg 2013;17(8):1485-1493. DOI: http:dx.doi.org/10.1007/s11605-013-2224-3 

  22. National Cancer Center. Cancer Control Program.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4 [cited 2014 Jun 30]. Available from: http://ncc.re.kr/manage/manage12_08.jsp. 

  23. Shin DG, Lee CK, Lee SG, Kang JG, Sun YK, Park EC. Differences of medical costs by classifications of severity in patients of liver diseases. Health Policy Manag 2013;23(1):35-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