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경제적 위치와 유방암 수술 후 총 사망위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All-Cause Mortality After Breast Cancer Surgery: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3 no.4, 2010년, pp.330 - 340  

박미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정우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선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박종혁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 ,  장후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explain the socioeconomic inequalities of all-cause mortality after breast cancer surgery in South Korea. Methods: This population based study included all 8868 females who underwent radical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0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에 대해 국내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은 매우 미미하며,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유방암 환자의 사망률에 차이가 있다는 외국의 연구결과가 상당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성을 가진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동일한 유방근치절제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총 사망률(all-cause mortality)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관련하여 제한적이지만 연구대상자를 ‘유방근치절제수술’을 받은 환자로 정의하였고 이는 ‘유방근치절제수술’을 받기에 적절하고 비슷한 질병 진행 상태의 환자들일 가능성이 있도록 함으로써 병기가 없는 점을 일차적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이된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제외하였기 때문에, 병기IV의 경우는 연구대상자에 포함시키지 않음으로써 병기가 없는 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진단시 암병기를 보정하지 못한 첫 번째 제한점 외에도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존재한다.
  • 또한 사회경제적위치와 총 사망위험의 관련성을 분석함에 있어 모형 4에 추가된 의료기관의 종별변수가 추가되기 전 모형인 모형 3의 총 사망위험 비를 얼마나 설명하는지 파악함으로써 추가된 의료기관 종별변수의 설명력을 파악하고자 아래의 추계식을 통해 설명력(explained fraction)을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유형별로 보험료를 기준으로 하여 소득계층을 세 개의 class로 분류하여 사회경제적 위치와 유방근치절제술을 시행 받은 우리나라 여성 전체의 총 사망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러나 보험료만으로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의 사회경제적 위치를 정확히 반영하는데 제한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각각의 보험유형에 따른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유방근치절제수술 후의 총 사망위험에 대해서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 이와 관련하여 제한적이지만 연구대상자를 ‘유방근치절제수술’을 받은 환자로 정의하였고 이는 ‘유방근치절제수술’을 받기에 적절하고 비슷한 질병 진행 상태의 환자들일 가능성이 있도록 함으로써 병기가 없는 점을 일차적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002년 1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까지 유방근치절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을 확인한 최종 시점이 2006년 6월 30일로 최소 3년, 최대 4년 6개월의 관찰기간을 가졌다. 관찰기간 동안 대상자 소득계층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수술시점에 확인된 소득계층이 관찰기간 동안 변동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2,26].
  • 이러한 자료를 통하여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2002년 1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 사이에 유방근치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9984명을 분석대상자로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위치(socioeconomic status, SES)를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월 보험료를 통해 구분한 소득계층으로 가정하였고, 의료급여대상자는 가장 낮은 사회경제적 위치로 분류하였다. 추출된 분석대상자 중 보험유형과 보험료에 대한 자료가 미비한 1061명과, 전이된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55명을 제외하고 총 8868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급여자료는 무엇인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급여자료는 개인 단위로 구축된 의료이용 자료(person-based health care utilization data)이다. 여기에는 개인 식별 번호(ID), 시술코드, DRG(diagnosis related group) 코드, 성과 연령, 요양기관 기호, 진료 형태, 진료과목 기호, 주상병명과 부상병명, 방문일자, 내원일수, 처방일수, 진료비용, 보험자 부담금, 입원경로 등의 변수를 포함하고 있다.
건강보험 급여자료에는 어떤 변수가 포함되어있는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급여자료는 개인 단위로 구축된 의료이용 자료(person-based health care utilization data)이다. 여기에는 개인 식별 번호(ID), 시술코드, DRG(diagnosis related group) 코드, 성과 연령, 요양기관 기호, 진료 형태, 진료과목 기호, 주상병명과 부상병명, 방문일자, 내원일수, 처방일수, 진료비용, 보험자 부담금, 입원경로 등의 변수를 포함하고 있다. 건강보험 가입자 자격자료에는 ID, 성과 연령, 자격 구분, 보험료, 주소, 사망여부 등의 변수를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질병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질병 중 사망원인 1위는 암 질환이고, 또한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10년 전과 비교해 볼 때 매우 급격히 증가하였다. 2007년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는 24만 4874명이었고 이 중 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cer Incidence, Cancer Mortality. 2009 [cited 2009 Nov 2]; Available from: http:// www.who.int/cancer. 

  2. Kim CW, Lee SY, Moon OR. Inequalities in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cross income groups and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Public Health 2008; 122(3): 229-236. 

  3. Cancer facts and figures 2008 in Korea. President of National Cancer Center, Minister for Health Wa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p. 11-12. (Korean) 

  4. Trends of incidence rates in cancers: National Health Insurance, 2000-2007. 2009 [cited 2009 May 5]; Available from: URL: http://www.nhic.co.kr. 

  5. Cho HJ, Khang YH, Yang S, Harper S, Lynch JW.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cause-specific mortalit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Int J Epidemiol 2007; 36(1): 50-57. 

  6. Jung KW, Yim SH, Kong HJ, Hwang SY, Won YJ, Lee JK, et al. Cancer survival in Korea 1993-2002: a populationbased study. J Korean Med Sci 2007; 22 (Suppl): S5-S10. 

  7. Khang YH, Kim HR.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y in Korea: mortality follow-up of the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dat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 39(2):115-122. (Korean) 

  8. Song YM, Byeon JJ. Excess mortality from avoidable and non-avoidable causes in men of low socioeconomic status: a prospective study in Korea.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 54(3): 166-172. 

  9. Won YJ, Sung J, Jung KW, Kong HJ, Park S, Shin HR,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2003-2005. Cancer Res Treat 2009; 41(3): 122-131. 

  10. Gorey KM, Holowaty EJ, Fehringer G, Laukkanen E, Richter NL, Meyer CM.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ancer survival: metropolitan Toronto, Ontario, and Honolulu, Hawaii. Am J Public Health 2000; 90(12): 1866-1872. 

  11. Gorey KM, Kliewer E, Holowaty EJ, Laukkanen E, Ng EY.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breast cancer survival: Winnipeg, Manitoba and Des Moines, Iowa, metropolitan areas. Ann Epidemiol 2003; 13(1): 32-41. 

  12. Kaffashian F, Godward S, Davies T, Solomon L, McCann J, Duffy SW. Socioeconomic effects on breast cancer survival: proportion attributable to stage and morphology. Br J Cancer 2003; 89(9): 1693-1696. 

  13. Potosky AL, Merrill RM, Riley GF, Taplin SH, Barlow W, Fireman BH, et al. Breast cancer survival and treatment in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and fee-for-service settings. J Natl Cancer Inst 1997; 89(22): 1683-1691. 

  14. Taylor R, Coates M. Breast cancer five-year survival in New South Wales women, 1972 to 1991. Aust N Z J Public Health 1997; 21(2): 199-205. 

  15. Thomson CS, Hole DJ, Twelves CJ, Brewster DH, Black RJ; Scottish Cancer Therapy Network. Prognostic factor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distribution by socioeconomic status and effect on differences in survival.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1; 55(5): 308-315. 

  16. Twelves CJ, Thomson CS, Gould A, Dewar JA. Variation in the survival of women with breast cancer in Scotland. The Scottish Breast Cancer Focus Group and The Scottish Cancer Therapy Network. Br J Cancer 1998; 78(5): 566-571. 

  17. Woods LM, Rachet B, Coleman MP. Origins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cancer survival: a review. Ann Oncol 2006; 17(1): 5-19. 

  18. Yabroff KR, Gordis L. Does stage at diagnosis influence the observed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breast cancer incidence, case-fatality, and mortality? Soc Sci Med 2003; 57(12): 2265-2279. 

  19. Berz JP, Johnston K, Backus B, Doros G, Rose AJ, Pierre S, et al. The influence of black race on treatment and mortality for early-stage breast cancer. Med Care 2009; 47(9): 986-992. 

  20. Bouchardy C, Verkooijen HM, Fioretta G. Social class is an important and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of breast cancer mortality. Int J Cancer 2006; 119(5): 1145-1151. 

  21. Halpern MT, Bian J, Ward EM, Schrag NM, Chen AY. Insurance status and stage of cancer at diagnosis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Cancer 2007; 110(2): 403-411. 

  22. Keating NL, Landrum MB, Guadagnoli E, Winer EP, Ayanian JZ. Factors related to underuse of surveillance mammograph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J Clin Oncol 2006; 24(1): 85-94. 

  23. McCarthy EP, Ngo LH, Roetzheim RG, Chirikos TN, Li D, Drews RE, et al. Disparities in breast cancer treatment and survival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nn Intern Med 2006; 145(9): 637-645. 

  24. Tammemagi CM, Nerenz D, Neslund-Dudas C, Feldkamp C, Nathanson D. Comorbidity and survival disparities among black and whit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AMA 2005; 294(14): 1765-1772. 

  25. Sundararajan V, Henderson T, Perry C, Muggivan A, Quan H, Ghali WA. New ICD-10 version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predicted in-hospital mortality. J Clin Epidemiol 2004; 57(12): 1288-1294. 

  26. Hong DH. Income Status and Stage at Diagnosis of Six Cancer[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04. (Korean) 

  27. Utilization of inpatient and outpatient serviced by income levels. national health insurance; 2007 [cited 2009 April 14]; Available from: URL: http://www.nhic. co.kr. 

  28. Downing A, Prakash K, Gilthorpe MS, Mikeljevic JS, Forman D. Socioeconomic background in relation to stage at diagnosis, treatment and survival in women with breast cancer. Br J Cancer 2007; 96(5): 836-840. 

  29. Roberts MM, Alexander FE, Elton RA, Rodger A. Breast cancer stage, social class and the impact of screening. Eur J Surg Oncol 1990; 16(1): 18-21. 

  30. Schwartz KL, Crossley-May H, Vigneau FD, Brown K, Banerjee M.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stage at diagnosis for five common malignancies. Cancer Causes Control 2003; 14(8): 761-766. 

  31. Ahn SH, Yoo KY.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Chronological change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in 31,115 new breast cancer patients among Koreans during 1996- 2004. Breast Cancer Res Treat 2006; 99(2): 209-214. 

  32. Enzinger PC, Benedetti JK, Meyerhardt JA, McCoy S, Hundahl SA, Macdonald JS, et al. Impact of hospital volume on recurrence and survival after surgery for gastric cancer. Ann Surg 2007; 245(3): 426-434. 

  33. Lee JH, Yim SH, Won YJ, Jung KW, Son BH, Lee HD, et al. Population-based breast cancer statistics in Korea during 1993-2002: incidence, mortality, and survival. J Korean Med Sci 2007; 22 (suppl): S11-S16. 

  34. Parkin DM, Muir CS. Cancer Incidence in Five Continents. Comparability and quality of data. IARC Sci Publ 1992; (120): 45-173. 

  35. Verdecchia A, Santaquilani M, Sant M. Survival for cancer patients in Europe. Ann Ist Super Sanita 2009; 45(3): 315-324. 

  36. Sandra LD, Carol R. Medicare and inequalities in health outcomes : the case of breast cancer. Contemp Econ Policy 2002; 20(1): 1-11. 

  37. Robinson RG, Kessler LG, Naughton MD. Cancer awareness among African Americans: a survey assessing race, social status, and occupation. J Natl Med Assoc 1991; 83(6): 491-4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