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d 촉매금속의 표면형상 변형에 의한 고감도 MEMS 형 마이크로 수소가스 센서 제조공정
Highly Sensitive MEMS-Type Micro Sensor for Hydrogen Gas Detection by Modifying the Surface Morphology of Pd Catalytic Metal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4 no.10, 2014년, pp.532 - 537  

김정식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범준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ighly sensitive hydrogen micro gas sensors of the multi-layer and micro-heater type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the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process and palladium catalytic metal. The dimensions of the fabricated hydrogen gas sensor were about $5mm{\times}4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AO 템플릿은 알루미늄 박지(foil, 200 µm)를 두 단계(two step)의 양극산화(anodization) 공정으로 만들었다.
  • 5 mm 로 설계 하였다. 감지전극 및 마이크로 히터는 같은 Pt 박막 층으로 이루어진 동일평면 구조(co-planar structure)로 설계되어 노광(photo-lithography) 공정 및 마스크 패터닝(mask patterning) 횟수를 최소화시키고 보호막 증착 및 식각 공정 등 제작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구조의 센서 플랫폼을 제작하고, 감지물질로서 팔라듐 촉매금속을 AAO 템플릿(templete)과 나노 폴리스티렌 비드 (polystylene beads)를 이용하여 각각 나노벌집구조(honeycomb) 및 나노 반구형(hemispheric) 표면구조를 지닌 박막을 센서 멤브레인(membrane)에 증착함으로써 고감도, 저전력의 마이크로 수소센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센서에 대해서 수소가스의 감응도, 반응속도 및 회복속도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 절연층은 멤브레인의 제조 및 이방성 식각에 대한 etch stop을 위하여 필요하며, 저응력(low stress) 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2µm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마이크로 히터 및 전극 패턴은 발열체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저항체 귀금속인 Pt를 sputter 장비를 사용하여 증착하였으며, Pt를 SiNX 에 직접 증착할 경우 접착이 좋지 않기 때문에 TaOX를 접착층으로서 먼저 증착하였다. 이렇게 증착된 Pt 박막 층은 photolothograpy 공정에 의해서 히터 및 감지전극으로 사용되도록 패턴닝 되었다.
  • 이렇게 증착된 Pt 박막 층은 photolothograpy 공정에 의해서 히터 및 감지전극으로 사용되도록 패턴닝 되었다. 마이크로 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KOH 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콘 벌크 마이크로머시닝(Si bulk micromachining) 기술로 실리콘 기판 후면을 식각하였다. 실리콘 웨이퍼 레벨로 제작된 센서 플랫폼(platform)은 다이아몬드 절단기(diamond cutter)를 이용하여 단위소자(셀)의 형태로 분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가스센서 플랫폼을 설계 제작하고, 감지물질은 Pd 촉매금속을 AAO 템플릿과 나노 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하여 각각 나노벌집형과 나노반구형의 표면구조의 박막으로 센서 플랫폼에 증착함으로서 수소가스 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수소가스 농도가 증가되면 가스감도(Rs)도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구조의 센서 플랫폼을 제작하고, 감지물질로서 팔라듐 촉매금속을 AAO 템플릿(templete)과 나노 폴리스티렌 비드 (polystylene beads)를 이용하여 각각 나노벌집구조(honeycomb) 및 나노 반구형(hemispheric) 표면구조를 지닌 박막을 센서 멤브레인(membrane)에 증착함으로써 고감도, 저전력의 마이크로 수소센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센서에 대해서 수소가스의 감응도, 반응속도 및 회복속도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 실리콘 웨이퍼 레벨로 제작된 센서 플랫폼(platform)은 다이아몬드 절단기(diamond cutter)를 이용하여 단위소자(셀)의 형태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위소자 센서 플랫폼은 외부전원 및 측정 단자 연결을 위해 PCB 형태의 기판에 고정(die bonding)시키고, 이후 Al wire bonding을 실시하였다. Fig.
  •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센서 플랫폼의 크기를 5.0 mm × 4.0 mm로 소형화하였고, 센서 내부의 감지전극과 마이크로 히터가 있는 멤브레인(menbrane) 영역은 2.1 mm × 1.5 mm 로 설계 하였다.
  • 센서의 수소가스 반응 특성은 디지털 멀티메터(Keithley 21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진공이 가능한 반응용기 내에 수소센서 샘플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고순도의 수소가스와 질소가스를 각각의 MFC(mass flow controller)로 조절하여 적정 양을 흘려줌으로써 수소가스 농도를 제어하였다. 센서의 수소감도(sensitivity, Rs)는 Eq.

대상 데이터

  • 나노 반구형(hemispheric)의 Pd 층은 100 nm 크기의 나노 폴리스티렌 비드 현탁액(Fluka Anal.)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폴리스티렌 비드 현탁액을 센서 플랫폼에 스핀코팅(spin coating)시키고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그 위에 RF magnetron sputter로 50 nm 정도 두께의 Pd 막을 증착하였다.
  • 마이크로 수소센서 플랫폼은 실리콘 기판에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Fig.

이론/모형

  • 센서의 수소가스 반응 특성은 디지털 멀티메터(Keithley 21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진공이 가능한 반응용기 내에 수소센서 샘플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고순도의 수소가스와 질소가스를 각각의 MFC(mass flow controller)로 조절하여 적정 양을 흘려줌으로써 수소가스 농도를 제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소의 문제점은? 인류 문명의 주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는 매장량 고갈이라는 문제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환경오염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최근 세계 각국은 미래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 으며, 그 중에서 수소가 클린 에너지로서 가장 유망한 신재생 에너지 자원 중 하나로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래 청정에너지로서 가장 주목받는 에너지이지만 수소는 화염속도가 가장 빨라서 공기 중에 소량이라도 누출되면 조그만 착화열에도 쉽게 폭발하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화석연료와 같이 널리 이용되려면 수소 누출사고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수소센서의 사용이 필연적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장차 다가올 수소에너지 시대에 대비하여 수소에너지의 생산 및 수송/저장, 수소연료자동차, 수소연료전지 등 다양한 분야의 수소이용 기술개발과 더불어 수소센서에 대한 연구개발이 함께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화석연료의 문제점은? 인류 문명의 주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는 매장량 고갈이라는 문제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환경오염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최근 세계 각국은 미래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 으며, 그 중에서 수소가 클린 에너지로서 가장 유망한 신재생 에너지 자원 중 하나로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래 청정에너지로서 가장 주목받는 에너지이지만 수소는 화염속도가 가장 빨라서 공기 중에 소량이라도 누출되면 조그만 착화열에도 쉽게 폭발하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화석연료와 같이 널리 이용되려면 수소 누출사고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수소센서의 사용이 필연적이다.
팔라듐 금속을 수소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 팔라듐(Pd) 금속이 높은 수소 감응 특성을 가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팔라듐을 수소 감응물질로 이용한 수소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4-7) 팔라듐 금속 표면이 수소가스 분위기에 노출되면 수소분자는 팔라듐 표면의 촉매반응에 의해 수소원자로 해리되어 금속에 쉽게 고용되고 내부로 확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F. DiMeo Jr., I. -S. Chen, P. Chen, J. Neuner, A. Roerhl and J. Welch, Sens. Actuators B, 117, 10 (2006). 

  2. J. -H. Yoon and J. -S. Kim, Solid State Ionics, 192(1), 668 (2011). 

  3. B. -J. Kim and J. -S. Kim, Mater. Chem. Phys., 138(1), 366 (2013). 

  4. J. -H. Yoon, B. -J. Kim and J. -S. Kim, Mater. Chem. Phys., 133, 987 (2012). 

  5. F. Wu and J. E. Morris, Thin Solid Films, 246, 17 (1994). 

  6. F. Favier, E. C. Walter, M. P. Zach, T. Benter and R. M. Penner, Science, 293, 2227 (2001). 

  7. S. C. Vitae, N. K. Vitae, J. F. Vitae and C. H. Chung, Sens. Actuators B, 136, 388 (2009). 

  8. F. A. Lewis, Int. J. Hydrogen Energy, 20(7), 587 (1995). 

  9. L. L. Jewell and B. H. Davis, Appl. Catalysis A, 310, 1 (2006). 

  10. A. Qurashi, N. Tabet, M. Faiz and T. Yamzaki, Nanoscale Res. Lett., 4, 948 (2009). 

  11. E. Sennik, Z. Colak, N. Kilinc and Z. Z. Ozturk, Int. J. Hydrogen Energy, 35, 4420 (2010). 

  12. J. M. Baik, M. H. Kim, C. Larson, C. T. Yavuz, G. D. Stucky, A. M. Wodtke and M. Moskovits, Nano Lett., 9(12), 3980 (2009). 

  13. Q. Cao and J. A. Rogers, Adv. Mater., 21, 29 (2009). 

  14. J. Kong, M. G. Chapline and H. Dai, Adv. Mater., 13, 1384 (2001). 

  15. Y. Sun and H. H. Wang, Adv. Mater., 19, 2818 (2007). 

  16. S. Y. Jo, J. Y. Kim and S. S. Kim, Kor. Mater. Res., 23(5), 281 (2013). 

  17. M. Kocanda, L. Potluri, M. Haji-Sheikh, D. S. Ballantine and A. Bose, in Proc. 8th IEEE Sens. Conf. (Christchurch, New Zealand, 2009) p. 3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