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O2 복합 광촉매의 표면 특성과 광촉매 효율
Effects of Surface Characteristics of TiO2 Nanotublar Composite on Photocatalytic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4 no.10, 2014년, pp.556 - 564  

이종호 (한서대학교 화학과) ,  윤정일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영직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오한준 (한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ynthesize a high-performance photocatalyst, N doped $TiO_2$ nanotubes deposited with Ag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and surface characteristics, electrochemical behaviors, and photocatalytic a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TiO_2$ nanotubular photocatalyst was fabric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TiO2 광촉매를 나노튜브의 형태로 제작한 후,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반응성을 촉진시키고, 전자와 정공들의 재결합을 방지하여 광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TiO2 광촉매 표면 부위에 질소를 도핑시키고, Ag 나노입자들을 분산시킨 다기능 TiO2/Ag 복합 광촉매를 제조했다. 또한 TiO2 광촉매의 표면특성의 변화에 따른 광촉매의 전기화학적 거동과 광촉매 효율 변화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티타니아 광촉매의 장점은? 나노튜브 형상의 티타니아 광촉매는 튜브형태의 규칙적인 형상과 커다란 비표면적, 튜브 형태의 계면을 통한 빠른 전하이동 등의 장점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1,2)광촉매의 반응시, 태양에서 지구표면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약 5 % 정도에 해당되는 387 nm 이하의 파장 범위에서만 반응을 할 뿐 아니라, 광 여기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빠른 재결합을 통하여 광촉매 반응 효율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실용적 이용에 제약이 되어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시광 영역의 파장범위에서도 광반응이 가능한 촉매의 개발과, 광 여기에 의해 생성된 전하들이 이동 중 다시 재결합되는 현상을 억제시킴으로서 광촉매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등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TiO₂ 광촉매에 도핑된 질소들은 어떻게 가시광에서 광효율을 증가시켰는가? 1) 히드라진 용액의 침지방식을 통하여 질소가 도핑된 TiO₂ 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때 도핑된 질소 원소들은 XPS 분석을 통해 TiO₂ 격자 내부에서 침입형 으로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침입형 N원 소는 TiO₂에너지 밴드갭을 좁게 만들기 때문에 가시광 에서의 광효율을 증가 시켰으며 그 결과 높은 양극전류의 발생과 염료 분해 효율을 증가시켰다.
나노튜브 형상의 티타니아 광촉매는 광촉매 반응 시 어떤 파장에서만 반응하는가? 나노튜브 형상의 티타니아 광촉매는 튜브형태의 규칙적인 형상과 커다란 비표면적, 튜브 형태의 계면을 통한 빠른 전하이동 등의 장점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1,2)광촉매의 반응시, 태양에서 지구표면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약 5 % 정도에 해당되는 387 nm 이하의 파장 범위에서만 반응을 할 뿐 아니라, 광 여기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빠른 재결합을 통하여 광촉매 반응 효율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실용적 이용에 제약이 되어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시광 영역의 파장범위에서도 광반응이 가능한 촉매의 개발과, 광 여기에 의해 생성된 전하들이 이동 중 다시 재결합되는 현상을 억제시킴으로서 광촉매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등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 K. Allam and C. A. Grimes, J. Phys. Chem. C Lett., 113(19), 7996 (2009). 

  2. X. Zeng, Y. X. Gan, E. Clark and L. Su, J. Alloys Comp., 509(24), L221 (2011). 

  3. D. Fang, K. L. Huang, S. Q. Liu and Z. J. Li, J. Alloys Comp., 464, L5 (2008). 

  4. L. Deng, S. Wang, D. Liu, B. Zhu, W. Huang, S. Wu and S. Zhang, Catal. Lett., 129, 513 (2009). 

  5. W. Y. Choi, A. Termin and M. R. Hoffmann, J. Phys. Chem., 98(51), 13669 (1994). 

  6. L. X. Yang, D. M. He and Q. Y. Cai, J. Phys. Chem. C, 111, 8214 (2007). 

  7. C. Yang, H. Fan, Y. Xi, J. Chen and Z. Li, Appl. Surf. Sci., 254(9), 2685 (2008). 

  8. S. Banerjee, S. K. Mohapatra, P. P. Das and M. Misra, Chem. Mater., 20(21), 6784 (2008). 

  9. L. X. Yang, S. L. Luo, Y. Li, Y. Xiao, Q. Kang and Q. Y. Cai, Environ. Sci. Technol., 44(19), 7641 (2010). 

  10. H. -J. Oh, J. -H. Lee, Y. -J. Kim, S. -J. Suh, J. -H. Lee and C. -S. Chi, Appl. Catal. B Environ., 84, 142 (2008). 

  11. H. -J. Oh, R. Hock, R. Schurr, A. Hoelzing and C. -S. Chi, J. Phys. Chem. Solid. 74, 708 (2013). 

  12. J. Yuan, E. Wang, Y. Chen, W. Yang, J. Yao and Y. Cao, Appl. Surf. Sci., 257(16), 7335 (2011). 

  13. R. Asahi, T. Morikawa, T. Ohwaki, K. Aoki and Y. Taga, Science, 293(5528), 269 (2001). 

  14. N. C. Saha and H. G. Tompkins, J. Appl. Phys., 72(7), 3072 (1992). 

  15. X. Chen, Y. Lou, A. C. Samia, C. Burda and J. L. Gole, Adv. Funct. Mater., 15(1), 41 (2005). 

  16. A. Nambu, J. Graciani, J. A. Rodriguez, Q. Wu, E. Fujita and J. J. Fernandez-Sanz, Chem. Phys., 125, 094706 (2006). 

  17. O. Diwald, T. L. Thompson, T. Zubkov, E. G. Goralski, S. D. Walck and J. T. Yates, J. Phys. Chem. B, 108(19), 6004 (2004). 

  18. H. Sun, Y. Bai, Y. Cheng, W. Jin and N. Xu, Ind. Eng. Chem. Res., 45(14), 4971 (2006). 

  19. J. A. Rengifo-Herrera, K. Pierzchala, A. Sienkiewicz, L. Forro, J. Kiwi and C. Pulgarin, Appl. Catal. B Environ., 88, 398 (2009). 

  20. E. Sumesh, M. S. Bootharaju and A. T. Pradeep, J. Hazard. Materi., 189, 450 (2011). 

  21. Y. Lai, H. Zhang, K. Xie, D. Gong, Y. Tang, L. Sun, C. Lin and Z. Chen, New J. Chem., 34, 1335 (2010). 

  22. I. Lopez-Salido, D. C. Lim and Y. D. Kim, Surf. Sci., 588, 6 (2005). 

  23. B. Tan and Y. Wu, J. Phys. Chem. B, 110(32), 15932 (2006). 

  24. J. -M. Herrmann, H. Tahiri, Y. Ait-Ichou, G. Lassaletta, A. R. Gonzalez-Elipe and A. Fernandez, Appl. Catal. B Environ., 13, 219 (1997). 

  25. K. -H. Wang, Y. -H. Hsieh, M. -Y. Chou and C. -Y. Chang, Appl. Catal. B Environ., 21, 1 (1999). 

  26. S. N. Hosseini, S. M. Borghei, M. Vossoughi and N. Taghavinia, Appl. Catal. B Environ., 74, 53 (2007). 

  27. B. Zielinska and A. W. Morawski, Appl. Catal. B Environ., 55, 221 (2005). 

  28. F. Peng, L. Cai, H. Yu, H. Wang and J. Yang, J. Solid State Chem., 181(1), 130 (2008). 

  29. Z. Sheng, Z. Wu, Y. Liu and H. Wang, Catal. Commun., 9(9), 1941 (2008). 

  30. A.V. Rupa, D. Manikandan, D. Divakar and T. Sivakumar, J Hazard. Mater., 147(3), 90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