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O2 나노입자가 혼합된 봉지재를 적용한 LED 패키지의 광효율 특성 평가
Light Efficiency of LED Package with TiO2-nanoparticle-dispersed Encapsulant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1 no.3, 2014년, pp.31 - 35  

이태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접접합연구실용화그룹) ,  김경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접접합연구실용화그룹) ,  김미송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접접합연구실용화그룹) ,  고은수 ((주)이아이라이팅 기술연구소) ,  최종현 ((주)이아이라이팅 기술연구소) ,  문경식 (조지아텍 재료공학과) ,  김목순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유세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접접합연구실용화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TiO_2$ 나노입자를 LED패키지의 봉지재인 실리콘에 분산시키고, 이에 따른 굴절률, 투과율 및 광효율 변화를 평가하였다. $TiO_2$ 나노입자는 LED 봉지재의 굴절율을 증가시켜 LED 패키지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봉지재에 적용되었다. $TiO_2$수열합성법을 통해 합성되었고, 합성된 $TiO_2$ 입자에 긴 체인구조의 vinyl silane을 코팅하여 분산시켰다. 분산 처리를 실시한 후에는 대부분의 $TiO_2$ 나노입자가 10~40 nm 이하로 분산되었으나, 100 nm 이상의 긴 입자도 관찰되었다. 실리콘 봉지재에 $TiO_2$ 나노입자 양이 증가할수록 굴절율은 증가하였으나, 투과율은 감소하였다. $TiO_2$ 나노입자가 포함된 실리콘 봉지재로 LED 패키지를 제조하였고, $TiO_2$ 나노입자가 분산된 LED가 $TiO_2$ 나노입자가 없는 LED패키지에 비해 약 13% 이상 광효율이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O_2$-nanoparticle-dispersed silicone was applied to a LED package an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LED package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 addition of $TiO_2$ nanoparticles in silicone increased refractive index, which improve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LED packag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ED 패키지의 칩 및 기판의 구조는 이전 연구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였다.18) LED칩과 기판의 접합은 Au-Sn 열 압착 본딩을 통해 접합을 실시하였다. 이때 칩의 접합온도는 300oC 이었다.
  • )으로 관찰하였고, 파장범위는 300~900 nm였다. LED 단면 미세구조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nspect F FEI)으로 관찰하였다.
  • LED 패키지 제조를 위해 TiO2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의 용매를 에탄올에서 톨루엔으로 바꾸고, 5 wt%의 TiO2 나노입자가 분산된 톨루엔을 실리콘 레진에 혼합하고, 진공상태에서 톨루엔을 증발시켰다. 그 후 TiO2 나노입자가 혼합된 실리콘 레진은 다시 경화제와 혼합하였다.
  • LED 패키지에 TiO2 나노입자가 분산한 봉지재를 적용하였고, LED의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열합성 후의 TiO2 나노입자는 큰 입자로 응집되어 있었으며, 이를 vinyl silane으로 코팅하면, 입자 크기가 10~40 nm으로 분산됨을 알 수 있었다.
  • 봉지재에 혼합된 형광체는 yittrium aluminum garnet (YAG, Y3Al5O12) 형광체였다. LED 패키지의 광효율은 적분구에서 측정하였다. 광효율 측정시 전류 및 전압은 350 mA, 3~3.
  • 이때, TiO2가 혼합된 에탄올 및 trimethoxysilane, DI water의 질량비는 95:1:5이었다. Silane 코팅처리 후 원심분리를 통해 큰 입자를 제거하였고, 그 후 초음파 처리를 통해 분산을 실시하였다. 합성된 TiO2 나노입자는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EM, JEM-ARM 200F)으로 입자 크기와 분산된 정도를 분석하였다.
  • TTIP는 HCl과 DI water가 1:1로 혼합된 용액에 한 방울씩 떨어뜨려 혼합하였는데, TTIP:HCl:DI water의 부피비는 3:10:10이었다. TTIP, HCl, DI water 혼합용액을 압력용기에 투입하고, 120oC, 6시간 동안 수열합성을 실시하여 TiO2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수열합성 후 5번의 원심분리를 통해 큰 입자를 제거하여 미세한 입자만 걸러내었다.
  • TiO2 나노입자의 상(phase)은 Cu Kα source의 x-ray diffraction (XRD, X’PertPro MPD)분석으로 판단하였다.
  • 5 V으로 구동하였다. 굴절율은 Si wafer 위에 TiO2 나노입자가 포함된 실리콘을 스핀 코팅하여 Ellipsometer (Woollam M2000)로 평가하였다. 투과율은 마찬가지로 유리 기판에 스핀 코팅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 (UV-2450 Shimadzu Co.
  • 를 분산시켰다. 그 후 분산된 TiO2 나노입자는 실리콘 봉지재와 혼합한 후, LED칩 위에 디스펜싱하여 LED패키지를 제조하였고, TiO2 나노입자 유무에 따른 LED의 광효율 변화를 관찰하였다.
  • 수열합성 후 5번의 원심분리를 통해 큰 입자를 제거하여 미세한 입자만 걸러내었다. 그 후 분산을 위해, 위의 TiO2 나노입자가 혼합된 에탄올 용액을 긴 체인구조를 갖는 trimethoxy(7-octen-1- yl)silane으로 혼합한 후, 100oC에서 24시간 동안 환류냉각기를 이용하여 silane 코팅을 실시하였다. 이때, TiO2가 혼합된 에탄올 및 trimethoxysilane, DI water의 질량비는 95:1:5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봉지재의 굴절율을 위한 소재로 TiO2 나노입자를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였고, 빛의 산란을 억제하기 위해 긴 체인구조를 갖는 vinyl silane을 코팅하여 TiO2를 분산시켰다. 그 후 분산된 TiO2 나노입자는 실리콘 봉지재와 혼합한 후, LED칩 위에 디스펜싱하여 LED패키지를 제조하였고, TiO2 나노입자 유무에 따른 LED의 광효율 변화를 관찰하였다.
  • 굴절율은 Si wafer 위에 TiO2 나노입자가 포함된 실리콘을 스핀 코팅하여 Ellipsometer (Woollam M2000)로 평가하였다. 투과율은 마찬가지로 유리 기판에 스핀 코팅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 (UV-2450 Shimadzu Co.)으로 관찰하였고, 파장범위는 300~900 nm였다. LED 단면 미세구조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nspect F FEI)으로 관찰하였다.
  • Silane 코팅처리 후 원심분리를 통해 큰 입자를 제거하였고, 그 후 초음파 처리를 통해 분산을 실시하였다. 합성된 TiO2 나노입자는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EM, JEM-ARM 200F)으로 입자 크기와 분산된 정도를 분석하였다. TiO2 나노입자의 상(phase)은 Cu Kα source의 x-ray diffraction (XRD, X’PertPro MPD)분석으로 판단하였다.

대상 데이터

  • 나노입자는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어졌다. TiO2의 전구체로 Alpha Aesar사의 C12H28O4Ti 화학구조를 갖는 Titanium(IV) isopropoxide (TTIP)를 사용하였다. TTIP는 HCl과 DI water가 1:1로 혼합된 용액에 한 방울씩 떨어뜨려 혼합하였는데, TTIP:HCl:DI water의 부피비는 3:10:10이었다.
  • 1에 나타내었다. 봉지재에 혼합된 형광체는 yittrium aluminum garnet (YAG, Y3Al5O12) 형광체였다. LED 패키지의 광효율은 적분구에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O2의 특징은 무엇인가? 봉지재의 굴절율을 높이기 위해, 봉지재 소재에 높은 굴절율을 갖는 ZnO 등 무기계나노입자를 혼합하여 봉지재의 굴절율을 높이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4,11) 무기 나노 입자 중 TiO2는 anatase상의 경우 굴절율이 2.5, rutile 상의 경우 굴절율이 2.9로서 높은 굴절율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낮은 광흡수율을 가지고 있다.12-14) 따라서, 높은 굴절율을 갖는 TiO2 나노입자를 LED 봉지재와 혼합하게 되면, 봉지재의 굴절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LED의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엇이 줄어들수록 LED의 광추출효율이 증가하는가? 이러한 고출력 LED 패키지는 저출력 LED 패키지에 비해 광효율이 낮은 편이므로 광효율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다. LED의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빛이 LED칩에서 외부로 빛이 추출되는 효율인 광추출효율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광추출효율은 LED칩과 봉지재 간 굴절율 차이가 줄어들수록 증가하게 된다.3-4) GaN LED칩의 굴절율은 2.
실외등, 인테리어 및 특수 조명과 같은 고출력 LED 패키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1,2) 특히, 실외등, 인테리어 및 특수 조명 등에 사용되고 있는 고출력 LED 패키지 시장의 성장 속도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출력 LED 패키지는 저출력 LED 패키지에 비해 광효율이 낮은 편이므로 광효율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다. LED의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빛이 LED칩에서 외부로 빛이 추출되는 효율인 광추출효율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광추출효율은 LED칩과 봉지재 간 굴절율 차이가 줄어들수록 증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 Koo, G Kim and S. E. Kim, "Developing Low Cost, High Throughput Si Through Via Etching for LED Substrate", J. Microelectron. Packag. Soc., 19(4), 19 (2012). 

  2. H. W. Shin, H. S. Lee, J. O. Bang, S. Yoo, S. B. Jung and K. D. Kim, "Variation of Thermal Resistance of LED Module Embedded by Thermal Via", J. Microelectron. Packag. Soc., 17(4), 95 (2010). 

  3. Y. Zhou, N. Tran, Y. C. Lin, Y. Z. He and F. G. Shi, "One- Component, Low-Temperature, and Fast Cure Epoxy Encapsulant with High Refractive Index for LED Applications", IEEE Trans Adv. Packag., 31, 484 (2008). 

  4. T. Fujii, Y. Gaou, R. Sharma, E. L. Hu, S. P. DenBaars and S. Nakamura, "Increase i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Via Surface Roughening", Appl. Phys. Lett., 84, 855 (2004). 

  5. P. Tao, A. Viswanath, Y. Li, R. W. Siegel, B. C. Benicewicz, and L. S. and Schadler, "Bulk Transparent Epoxy Nanocomposites Filled with Poly(Glycidyl Methacrylate) Brush- Grafted $TiO_{2}$ Nanoparticles", Polymer, 54, 1639 (2013). 

  6. C. L. Lu and B. Yang, "High Refractive Index Organic Inorganic Nanocomposites: Design, Synthesis and Application", J. Mater. Chem., 19, 2884 (2009). 

  7. P. Tao, Y. Li, A. Rungta, A. Viswanath, J. N. Gao, B. C. Benicewicz, R. W. Siegel and L. S. Schadler, " $TiO_{2}$ Nanocomposites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Transparency", J. Mater. Chem. 21, 18623 (2011). 

  8. S. Lee, H. J. Shin, S. M. Yoon, D. K. Yi, J. Y. Choi and U. Paik, "Refractive Index Engineering of Transparent $ZrO_{2}$ - Polydimethylsiloxane Nanocomposites", J. Mater. Chem., 18(15), 1751 (2008). 

  9. F. W. Mont and E. F. Schubert, "High Refractive Index $TiO_{2}$ Nanoparticle Loaded Encapsulants for Light-Emitting Diodes", J. Appl. Phys., 103, 083120 (2008). 

  10. M. Ma, F. W. Mont, X. Yan, J. Cho, E. F. Schubert, G. B. Kim and C. Sone, "Effects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Encapsulant on The Light-Extraction Efficiency of Light-Emitting Diodes", Optics Express, 19(19), A1135 (2011). 

  11. Y. Liu, Z. Y. Lin, X. Y. Zhao, K. S. Moon, S. Yoo and C. P. Wong, "ZnO Quantum Dots-Filled Encapsulant for LED Packaging", Proc. 62nd IEEE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San Diego, 2140, IEEE Components, Packaging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Society (CPMT) (2012). 

  12. G. J. Ruiterkamp, M. A. Hempenius, H. Wormeester and G. J. Vancso,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with Alkanephosphonic Acids for Transparent Nanocomposites", J. Nanoparticle Res., 13(7), 2779 (2011). 

  13. R. J. Nussbaumer, W. R. Caseri, P. Smith and T. Tervoort, "Polymer- $TiO_{2}$ Nanocomposites: A Route Towards Visually Transparent Broadband UV Filters and High Refractive Index Materials", Macromolecular Mater. Eng., 288(1), 44 (2003). 

  14. B. T. Liu, S. J. Tang, Y. Y. Yu and S. H. Lin, "High-Refractive- Index Polymer/Inorganic Hybrid Films Containing High $TiO_{2}$ Contents", Colloid. Surf. A, 377(1-3), 138-143 (2011). 

  15. Y. Yang, W. N. Li, Y. S. Luo, H. M. Xiao, S. Y. Fu and Y. W. Mai, "Novel Ultraviolet-Opaque, Visible-Transparent and Light-Emitting ZnO-QD/Silicone Composites with Tunable Luminescence Colors", Polymer, 51(12), 2755-2762 (2010). 

  16. Y. Yang, Y. Q. Li, H. Q. Shi, W. N. Li, H. M. Xiao, L. P. Zhu, Y. S. Luo, S. Y. Fu and T. X. Liu,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parent ZnO- $SiO_{2}$ /Silicone Nanocomposites with Tunable Emission Colors", Composites B, 42(8), 2105 (2011). 

  17. Y. Yang, Y. Q. Li, S. Y. Fu and H. M. Xiao, "Transparent and Light-Emitting Epoxy Nanocomposites Containing ZnO Quantum Dots as Encapsulating Materials for Solid State Lighting", J. Phys. Chem. C, 112(28), 10553 (2008). 

  18. T. Y. Lee, M. S. Kim, E. S. Ko, J. H. Choi, M. G. Jang, M. S. Kim and S. Yoo, "Properties of High Power Flip Chip LED Package with Bonding Materials", J. Microelectron. Packag. Soc., 21(1), 1 (2014). 

  19. Y. Liu, Z. Lin, X. Zhao, C. C. Tuan, K. S. Moon, S. Yoo, J. Choi and C. P. Wong, "High Refractive Index and Transparent Nanocomposites as Encapsulant for High Brightness LED Packaging", IEEE Trans. Adv. Packag., will be published. 

  20. J. Ida, T. Honma, S. Hayashi, K. Nakajima, E. Wada and A. Shimizu, "Pressure Effect on Low-Temperature $TiO_{2}$ Synthesis", J. Phys., 215(1), 1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