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후포퇴 왕돌초 주변의 정밀해저지형 및 해저면 특성 분석
Detailed Bathymetry and Seabed Characteristics of Wangdol-cho, Hupo Bank in the East S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5, 2014년, pp.533 - 540  

김창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독도전문연구센터) ,  박찬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보전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의 주요 어장이고 레저 관광과 동해 해양환경 연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후포퇴 왕돌초 주변해역에 대한 정밀해저지형을 분석하고, 해저면 영상 자료 및 퇴적물 입도 결과를 이용하여 해저면 특성을 분류하였다. 후포퇴는 동해의 해안선과 평행하게 나타나며 가장 수심이 얕은 지역은 후포항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왕돌초 지역이다. 이 왕돌초는 셋잠(북쪽), 중간잠(중간), 맞잠(남쪽)이라는 3개의 봉우리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개의 봉우리 중 가장 수심이 낮은 지역은 중간잠으로 약 6 m의 가장 얕은 수심을 보이고, 북쪽의 셋잠은 약 8 m, 남쪽의 맞잠은 약 9 m의 수심에서 가장 얕은 지역이 나타난다. 왕돌초의 세 봉우리 주변으로는 얕은 해저지형을 보이며 복잡한 지형 기복과 많은 암반들이 산재한다. 그 암반들 사이 및 북동쪽의 평탄면과 급경사면의 서쪽 주변부로는 모래질자갈/자갈질모래 등의 비교적 굵은 조립질 퇴적물이 관측된다. 왕돌초 서쪽으로는 불규칙한 지형보다는 지형 기복이 감소하고 급격한 경사면이 존재하며 후포분지와 연결되는데 이 후포분지 지역은 니질/실트질 모래류의 퇴적물이 나타난다. 왕돌초 주변의 정밀해저지형과 해저면 특성 분석자료는 향후 왕돌초 해역의 해양환경연구 및 생태계의 지속적 이용을 위한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angdol-cho area, in the Hupo Bank,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main fishing grounds, leisure tourism and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es of the East Sea. We analyzed the detailed bathymetry and classified the seabed characteristics of the Wangdol-cho area, based on seafloor backscattering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산자원의 관리, 해양레저산업 육성 및 해양 생태계 변화 파악 등의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해양에서 바닷물을 담는 그릇이 되는 해저지형 및 해저면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왕돌초 주변해역에서 획득한 다중빔 수심자료, 해저면 영상자료, 퇴적물 채취 자료를 이용하여 왕돌초 주변의 정밀해저지형과 해저면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왕돌초 해역의 해양환경연구 및 생태계의 지속적 이용을 위한 기반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포퇴 왕돌초 주변해역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동해의 주요 어장이고 레저 관광과 동해 해양환경 연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후포퇴 왕돌초 주변해역에 대한 정밀해저지형을 분석하고, 해저면 영상 자료 및 퇴적물 입도 결과를 이용하여 해저면 특성을 분류하였다. 후포퇴는 동해의 해안선과 평행하게 나타나며 가장 수심이 얕은 지역은 후포항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왕돌초 지역이다.
후포퇴의 위치는 어떻게 되는가? 경상북도 울진군 해역에서 영덕군 해역까지 해안선과 평행하게 동해 해저에 후포퇴라는 높은 지형이 남북으로 길게 자리 잡고 있다(Fig. 1).
신생대의 지구조 운동을 받은 지역 중 동해의 후포퇴 지역은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가? , 2007). 후포퇴 주변해역은 동해의 대륙주변부로써 대륙붕과 급한 대륙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포분지, 융기된 리프트 측면부인 후포퇴, 그리고 울릉분지가 바다쪽으로 연속해서 나타난다(Kim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olivet, L., Huchon, P., Lepichon, X., Chamot-Rooke, N. and Thomas, J.C. (1991) Arc Deformation and Marginal Basin Opening: Japan Sea as a Case Study. Jour. Geophys. Res., v.96(B3), p.4367-4384. 

  2. Jolivet, L. and Tamaki K. (1992) Neogene Kinematics in the Japan Sea Region & Volcanic Activity of the Northeast Japan Arc. Proc. Ocean Drill. Pro. Sci. Result, 127/128(part 2), p.1311-1331. 

  3. Kim, C.S. (1982) Submarine Geology of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 Sea, Korea. Min. Geol. Korea, v.15, p.65-88. 

  4. Kim, H.J., Jou, H.T., Yoo, H.S., Kim, K.H. and You, L.S. (2011) High-resolution Seismic Imaging of Shallow Geology Offshore of the Korean Peninsula: Offshore Uljin. Jigu-Mulli-wa-Mulli-Tamsa, v.14, p.127-132. 

  5. Kim, H.J., Lee, G.H., Jou, H.T., Cho, H.M., Yoo, H.S., Park, G.T. and Kim, J.S. (2007) Evolution of the eastern margin of Korea: Constraints on the opening of the East Sea (Japan Sea). Tectonophy., v.436, p.37-55. 

  6. Lallemand, S. and Jolivet, L. (1986) Japan Sea: a pullapart basin?. Earth Planet. Sci. Lett., v.76, p.375-389. 

  7. Lee, K.N. and Myoung, J.G. (2003) Sustainable Utilization and Management Scheme in Wangdol-cho Surrounding Sea A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25, p.331-345. 

  8. NFRDI (2007) A study on ecology around Wangdol-cho, the East S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usan, 169p. 

  9. Shim, J.M., Jin, H.G., Sung, K.T., Hwang, J.D., Yun, S.H., Lee, Y.H., Kim, Y.S. and Kwon, K.Y. (2008) The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Winter and Summer Around Wangdol-cho. Jour. Environ. Sci. Korea, v.17, p.1403-1411. 

  10. Tamaki, K., Suyehiro, K., Allan, J., Ingle, J.C., and Pisciotto, K.A. (1992) Tectonic synthesis and implications of Japan Sea ODP drilling. Proc. Ocean Drill. Pro. Sci. Result, 127/128(part 2), p.1333-1348. 

  11. Yoon, S.H. and Chough, S.K.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Bull. Geol. Soc. Am., v.107, p.83-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