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도 일대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Daebudo Island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5, 2014년, pp.447 - 476  

임용석 (동북아식물연구소) ,  유광필 (동북아식물연구소) ,  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 (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 ,  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 안산시에 속하는 대부도와 부속 섬 및 인천시 옹진군에 속하는 선재도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03과 316속에 속하는 451종 9아종 56변종 16품종 등 총 518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들 중, 법정 보호종은 1분류군이었으며, 특산식물은 7분류군,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시한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5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V등급은 3분류군, IV등급은 4분류군, III등급은 4분류군, II등급은 10분류군, I등급은 17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총 67분류군으로 전체 출현 분류군의 12.9%를 차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investigated the flora of Daebudo Island in Ansan-si, Gyeonggi-do and Seonjaedo Island in Ongjin-gun, Incheon. Thirty-three separate field trips were carried out from March 2012 to October 2013. As a result, 518 taxa including 103 families, 316 genera, 451 species, 9 subspecies, 56 variet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부도와 부속 섬, 그리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선재도 등을 포함한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조사된 소산식물 목록을 기초로 주요 식물 분포 및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관광지로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대부도의 식물상 변화 양상 및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정 보호종이란? 선행연구에서 야생생물보호법에 의해 보호받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를 통해 II급에 해당하는 매화마름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Fig. 2A).
대부도의 행정구역은? 대부도는 행정구역상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 속하며, 행정동인 대부동은 대부북동, 대부남동, 대부동동, 선감동, 풍도동 등의 법정동으로 구분된다. 2013년 기준으로 인구는 7,500여 명이며, 면적은 약 42 ㎢, 둘레길이는 약 61 ㎞로 리아스식 해안이다(Ansan-si, 2014).
대부도 일대의 관속식물상 중 양치식물의 분류군은? 대부도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채집된 확증표본을 근거로 소산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103과 316속에 속하는 451종 9아종 56변종 2품종 등 총 518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2, Appendix 1). 이들 중 양치식물은 8과 10속에 속하는 12분류군 이었으며, 나자식물은 2과 2속에 속하는 4분류군이었다. 피자식물 중 단자엽식물이 17과 71속에 속하는 121분류군이었으며, 쌍자엽식물이 가장 많은 76과 233속에 속하는 381분류군으로 전체 출현분류군의 7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san-si. 2014. 2012-2013 Ansan-si Municipal White Paper. Ansan, Korea. pp. 1822-1823 (in Korean). 

  2. Beck, E.H., A.R. Moon, J.M. Park and C.G. Jang. 2010. The study for flora of vascular plants of Deokjeokdo (Incheon). Korean J. Environ. Biol. 28(3):158-171 (in Korean). 

  3. Choi, B.H. and I.S. Choi. 2009a. Flora of Daebu: Keunsa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4. Choi, B.H. and I.S. Choi. 2009b. Flora of Palmi: Gubongi,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5. Choi, D.Y., C.S. Chang, J.Y. Kim, J.I. Jeon, H. Kim, W.K. Min and U. Kang. 2001. Flora of province Gyonggi-do. Bull. of Seoul Nat. Univ. Arboretum 21:25-26 (in Korean). 

  6. Do, J.H. and S.H. Hwang. 2011. Flora of Wido: Mangkeumbong,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7. Hong, H.H., H.D. Son, S. In and H.T. Im. 2011. Floristic study of Imja-do (Isl.). Korean J. Pl. Taxon 41(4):429-439 (in Korean). 

  8. Hyun, J.O. 2003a. Spring Flowers of Korea. Singumunhwasa, Seoul, Korea (in Korean). 

  9. Hyun, J.O. 2003b. Summer Flowers of Korea. Singumunhwasa, Seoul, Korea (in Korean). 

  10. Hyun, J.O. 2004. Autumn Flowers of Korea. Singumunhwasa, Seoul, Korea (in Korean). 

  11. Im, H.T. 1992. Plant geographical study for the plant of Cheju. Korean J. Pl. Taxon 22(3):219-234 (in Korean). 

  12. Jang, C.S., S.G. Yang. M.S. Park, K.H. Kim, S.W. Seo and B.U. Oh. 2011. Floristic study So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4):398-414 (in Korean). 

  13. Jang, G., W. Paik and W. Lee. 1995. Pimpinella brachycarpa var. hallaisanensis (Apiaceae): A new variety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25(1):7-12 (in Korean). 

  14. Jang J, S.H. Park, K.S. Chang, S.J. Ji, S.Y. Jung, H.J. Lee, H.S. Hwang and Y.M. Lee. 2013.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in Daebudo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J. Asia-Pacific Biodiversity 6(2):261-280. 

  15. Lee, C.Y. 2008. A Floristic Study of Vascular Plants on Anmyeondo (Chungnam Province). M.S. Thesis, Mokwon University, Korea (in Korean). 

  16. Lee, D.H., D.P. Jin, J.H. Lee, I.S. Choi and B.H. Choi. 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Korean J. Pl. Taxon 43(1):69-79 (in Korean).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8.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9. Lee, Y.H. 2005. The Flora in Saeng-il Island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lants. M.Ed.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20.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21. Kil, B.S., C.H. Kim, K.W. Yun and B.J. Rho. 1991.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 in island Pogil-do, Chonnam. Theses of Wonkwang University 25(2):423-448 (in Korean). 

  22. Kim, A.R. 2010. Distribution of the Plant Species on the Uninhabited Island in Goheung-gun. M.Ed.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in Korean). 

  23. Kim, C.S. 1984. The flora of Huksan-do archipelago (I). Bull. Inst. Littoral Biota 1(1):67-91 (in Korean). 

  24. Kim, J.S, B.C. Lee, J.M. Chung and J.H. Pak. 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 Pl. Taxon 35(4):337-364 (in Korean). 

  25. Kim, J.H., G.H. Nam and J.S. Kim. 2012. The vascular plants in isl. Gageo (Jeollanam-do). J. Envir. Sci. Int. 21(4):437-450 (in Korean). 

  26. Kim, J.H., G.H. Nam, S.U. Kim, J.S. Kim, J.E. Choi and B.Y. Lee. 2013. A floristic study of Baengnyeongdo (Isl.)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6(2):178-213 (in Korean). 

  27. Kim, M. 2004. A taxonomy review of Korean Lycoris (Amaryllidaceae). Korean J. Pl. Taxon 34(1):9-26 (in Korean). 

  2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in Korean). 

  29.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Korea. p. 182 (in Korean).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3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3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A Guide to the 4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33.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34. Ongjin-gun. 2013. 2013 Ongjin-gun Municipal White Paper. Ongjin-gun, Incheon. pp. 27-28 (in Korean). 

  35. Paik, K.S. and Y.J. Yim. 1982.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isl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Ecol. 5(4):143-153 (in Korean). 

  36. Park C.W. (ed.)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37. Park, G.H. 1983. Ecological and Taxonom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Islands in Gyeong-gi bay. Ph.D Thesis, Kyunghee University, Korea (in Korean). 

  3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9. Ryu, H.S., S.H. Park, K.S. Chang, H.S. Choi, S.G. Ha, H.J. Lee and Y.M. Lee. 2013.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isl. Yeonpyeongdo regions. Koran J. Environ. Ecol. 27(2):147-169 (in Korean). 

  40. Shim, H.B., S.M. Seo and B.H. Choi. 2002.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0(1):25-34 (in Korean). 

  41. Yang, J.C., S.H. Park, S.G. Ha and Y.M. Lee. 2012.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aecheong island,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25(1):31-47 (in Korean).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