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말뚝 주변의 세굴 3차원 수치모의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Modeling of Scour around Pile Group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10, 2014년, pp.907 - 919  

김형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박문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LES와 유사이동 모형을 이용하여 군말뚝 주변 세굴과정 및 특성의 수치모의에 관한 내용이다. 군말뚝 주변에서 세굴 및 퇴적은 말뚝간격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무차원 말뚝간격이 3.75보다 작은 경우에는 군말뚝 주변 국부세굴 뿐만 아니라 단면축소세굴이 발생하였다. 반면 무차원 말뚝간격이 3.75 이상이면 단면축소세굴은 사라지고 각각의 말뚝에서 국부세굴만발생하였다. 상류에 위치한 말뚝에서 세굴 심변화는 단일 말뚝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하류에 위치한 말뚝근처에서 세굴심은 상류말뚝 존재 때문에 세굴심이 낮게 나타났고 경향성도 상당히 다름을 보였다. 군말뚝 주변의 무차원 최대 세굴심은 말뚝간격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scour processes and its characteristics around the pile groups using the large eddy simulation (LES) coupled with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dynamic models. The scour and deposition around pile group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ile interval. In case the non-dimens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굴은 교량의 교각과 같은 구조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하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교량의 교각과 같은 수공구조물 주위에서 발생하는 세굴은 안정성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Yang and Choi, 2002; Yoon et al., 2001).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교각주위의 국부세굴 현상 수치모의는 어느때부터 진행되어왔는가?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교각주위의 국부세굴 현상 수치모의는 1990년대 초부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로 Navier-Stokes 방정식을 시간 평균한 RANS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모형과 하상변동 모형을 결합하여 수치해석하였다.
LES와 유사이동 모형을 이용하여 군말뚝 주변 세굴과정 및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LES와 유사이동 모형을 이용하여 군말뚝 주변 세굴과정 및 특성의 수치모의에 관한 내용이다. 군말뚝 주변에서 세굴 및 퇴적은 말뚝간격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무차원 말뚝간격이 3.75보다 작은 경우에는 군말뚝 주변 국부세굴 뿐만 아니라 단면축소세굴이 발생하였다. 반면 무차원 말뚝간격이 3.75 이상이면 단면축소세굴은 사라지고 각각의 말뚝에서 국부세굴만발생하였다. 상류에 위치한 말뚝에서 세굴 심변화는 단일 말뚝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하류에 위치한 말뚝근처에서 세굴심은 상류말뚝 존재 때문에 세굴심이 낮게 나타났고 경향성도 상당히 다름을 보였다. 군말뚝 주변의 무차원 최대 세굴심은 말뚝간격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taie-Ashtiani, B., and Beheshti, A.A. (2006).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lear-water local scour at pile group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2, No. 10, pp. 1100-1104. 

  2. Choi, H.K., Baek, K.W., Koo, B.S., and Choi, Y.M. (2001).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cour characteristics based on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i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1, No. 4, pp. 409-415 (in Korean). 

  3. Dargahi, B. (1990). "Controlling mechanism of local scouring."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6, No. 10, pp. 1197-1214. 

  4. De Ruiter JCC. (1993). Incipient motion and pick-up of sediment as function of local variables. Technical Report R 657-XI, Delft Hydraulics Laboratory, Delft, Netherlands. 

  5. Escauriaza, C., and Sotiropoulos, F. (2011). "Initial stages of erosion and bed form development in a turbulent flow around a cylindrical pie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6, F03007. 

  6. Ettem, R., Kirkil, G., and Muste, M. (2006). "Similitude of large-scale turbulence in experiments on local scour at cylinder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2, No. 1, pp. 33-39. 

  7. Hannah, C.R. (1978). Scour at pile groups. Research Report. No 28-3, Civil Engineering Dept. Univ. of Canterbury, Christchurch, New Zealand. 

  8. Khosronejad, A., Kang, S., and Sotiropoulos, F. (2012).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investigation of local scour around bridge piers." Advance in Water Resources, Vol. 37, pp. 73-85. 

  9. Kirkil, G., Constantinescu, G., and Ettema, R. (2009). "Detached eddy simulation investigation of turbulence at a circular pier with scour hole."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5, No. 11, pp. 888-901. 

  10. Lee, S.O., Lee, J.W., and Cho, Y.S. (2006). "Temporal variation of local scour depth around a bridge pi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1, pp. 29-35 (in Korean). 

  11. Maxey, M.R., and Riley, J.J. (1983). "Equation of motion for a small ridge sphere in a nonuniform flow." Physics of Fluids, Vol. 26, No. 4, pp. 883-889. 

  12. McLaughlin, J.B. (1991). "Inertial migration of a small sphere in linear shear flows."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224, pp. 261-274. 

  13. Mei, R. (1992). "An approximate expression for the shear lift force on a spherical particle at finite Reynolds number."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phase Flow, Vol. 18, No. 1, pp. 145-147. 

  14. Melville, B. W., and Coleman, S. (2000). Bridge scour. Water Resources Publication, Colo. 

  15. Morsi, S.A., and Alexander, A.J. (1972). "An investigation of particle trajectories in two-phase flow systems."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55, No. 2, pp. 193-208. 

  16. Nabi, M. (2012). Computational modelling of small-scale river morphodynamics. Ph.D. dissertation,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Netherlands. 

  17. Nagata, N., Hosoda, T., Nakato, T., and Muramoto, Y. (2005).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flow and bed deformation around river hydraulic structur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1, No. 12, pp. 1074-1087. 

  18. Olsen, N., and Melaaen, C. (1993). "Three dimensional calculation of scour around cylinder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9, No. 9, pp. 1048-1054. 

  19. Paik, J., Escauriaza, C., and Sotiropoulos, F. (2010). "Coherent structure dynamics in turbulent flows past in-stream structures: some insights gained via numerical simula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6, No. 12, pp. 981-993. 

  20. Roulund, A., Sumer, B. M., Fredsoe, J., and Michelsen, J. (2005). "Numer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low and scour around a circular pile."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534, pp. 351-401. 

  21. Saffman, P.G. (1965). "The lift on a small sphere in a slow shear flow."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22, No. 2, pp. 385-400. 

  22. Schmeeckle, M.W., Nelson, J.M., Pitlick, J., and Bennett, J.P. (2001). "Interparticle collosion of natural sediment grains in wate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 No. 9, WR000531. 

  23. Smagorinsky, J.S. (1963). "General circulation experiments with the primitive equations." MonthlyWeather Review, Vol. 91, No. 3, pp. 99-164. 

  24. Sumer, B.M., and Fredsoe, J. (1998). "Wave scour around group of vertical piles."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Vol. 124, No. 5, pp. 248-256. 

  25. Sumer, B. M., and Fredsoe, J. (2002). The mechanics of scour in the marine environment.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LLC. 

  26. Yang, W., and Choi, S-U. (2002).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local scour around the bridge pier using large eddy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2, No. 4, pp. 437-446 (in Korean). 

  27. Yoon, B., Seo, J., and Roh, Y. (2001). "An experimental study on local scour around group pile found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6, pp. 641-649 (in Korean). 

  28. Zhao, M., Cheng, L., and Zang, Z. (2010).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local scour around a submerged vertical circular in steady currents." Coastal Engineering, Vol. 27, pp. 709-7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