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초생대 적정 초종 선정
Selection of Appropiate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lter Strip) for Reducing NPS Pollution of Upland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10, 2014년, pp.973 - 983  

최경숙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장정렬 (농어촌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밭경지 현장실험을 통해 다양한 초생대 초종을 적용하여 밭의 비점오염저감효과 분석 및 초생대에 적용 가능한 적합한 초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경북 군위군에 위치한 면적 $1,500m^2$, 경사 5%의 밭경지를 선정하여 시험포를 조성하였으며, 시험포내에는 대조구 1개와 초생대 처리구 6개로 구성된 총 7개의 시험구를 조성하였다. 츄파, 피, 바랭이, 잔디, 톨페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를 포함하는 6개의 초종을 선정하여 초생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실험 결과 대조구 대비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6.1~77.8%였으며, 비점오염저감효과는 TS의 경우 15.6~90.3%, T-P의 경우 49.9~96.6%, T-N의 경우 6.7~91.1%를 나타내었다. 전체 오염인자 중에 초생대로 인해 전반적으로 높은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나타낸 것은 TS, T-P, T-N, SS인 반면, BOD, TOC와 $NO_3^-$는 낮은 저감효과를 보였다. 비점오염저감 및 유지관리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초생대 초종은 잔디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지역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관리기법으로 초생대가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보다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현장실험을 통해 초생대 현장적용을 위한 설계 지침서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ter strips) and the assessment of VFS effects for reducing NPS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uplands. The experimental field was constructed with 1 control and 6 treated plots in the upland area of $1,500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밭경지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초생대 기법을 개발하고자 현장실험을 통해 다양한 초생대 초종을 적용하여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 및 초생대 적용 가능한 적합한 초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사 5%의 토양특성이 양질사토인 밭경지에 6개의 초종으로 구성한 초생대 처리구와 대조구를 포함한 총 7개의 시험구로 구성된 시험포를 조성하여 콩을 밭작물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초생대 기법의 현장적용 및 실용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보다 많은 관련 연구가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초생대의 현장 적용에 필요한 설치 및 관리방법, 효과 분석 등에 관한 설계기법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초생대기법의 현장적용을 위해 우리나라 밭경지 특성에 적합한 초생대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장실험을 통해 다양한 초종의 초생대를 적용하여 적합한 초생대 초종을 선정하고 이와 더불어 초생대 비점오염저감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 바랭이와 피 등은 우리나라 밭 경지 주위에 흔히 볼 수 있는 잡초로써 비용을 들여 종자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바랭이와 피는 여름철 강우가 빈번한 시기에 왕성한 생육현상을 나타내는 일년생 초종으로 우리나라 농경지에 우점하는 자연식생을 이용하여 초생대 적용 가능성 여부를 파악해 보고자 본 연구에 포함시켰다. 잔디, 톨페스규, 켄터키블루그라스는 연중 생육이 가능한 다년생 초종으로서 운동장 및 골프장 잔디 조성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초종으로, 매트형성에 의한 여과기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생대란 무엇인가? 초생대(vegetative filter strips: VFS)는 경작지 경계를 따라 밀도 있게 조성한 띠 모양의 식생대를 의미하며, 밭 경지 내 발생하는 흐름의 유속을 감소시켜 유출수에 포함 되어 있는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을 여과, 흡착, 침전작용에 의해 오염을 저감시키는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초생대, 식생여과대, 완충식생대가 같은 의미로써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국외에서는 vegetative filter strips (VFS), grassed buffer strips, filter strips, grassed filters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저감방법들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근본적인 수질오염 관리를 위해 농업비점오염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밭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 발생을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저감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 저감기법들은 초생대, 초생수로, 등고선 재배, 지표피복, 식생밭두렁, 실트휀스, 피복작물, 우회수로, 승수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초생대는 농업비점오염저감을 위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또한 초생대는 탁수문제 해결과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토사저감을 위한 최적관리기법으로써 효과가 큰 것으로 소개되고 있어 초생대의 국내 밭경지에 적용하기 위한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Park et al.
점오염과 비점오염의 특징은 각각 무엇인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은 크게 점오염과 비점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점오염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 오염이 발생하는 근원지가 명확하므로 오염을 처리하거나 관리가 용이하다. 그러나 비점오염은 강우에 의해 농경지, 도로, 대지, 임야 등 넓은 면적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씻겨 내려가 일시적으로 폭넓게 대량으로 배출되는 특징이 있어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위치가 명확하지 않고 배출경로가 분명하지 않아 이에 대한 관리가 매우 어렵다. 비점오염에 의한 수질오염은 우리나라 전체 수질오염의 42~69%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2015년에는 전체 수질오염의 65~70%로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점오염에 비해 비점오염 관리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증대되고 있다(Y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illaha, T.A., Sherrard, J.H., Lee, D., Mostaghimi, S., and Shanholtz, V.O. (2010). "Evalu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s as a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feed lots." Journal of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Vol. 60, No. 7, pp. 1231-1238. 

  2. Hwang, S.W. (2005). Reduction of soil loss by rod culture of rye and corn on radish in Daegwallyeong highland. International Symposium & Conference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pp. 125 (in Korean). 

  3. Jae, H.A., Yun, S.L., Kim, S.K., Park, Y.S., and Lim, K.J. (2012).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reduction by vegetative filter strip for cultivated area using Web GIS-based VFSM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Engineering, Vol. 34, No. 12, pp. 792-800 (in Korean). 

  4. Jung, C.G, Ahn, S.R., Kim, S.J., Yang, H.J., Lee, H.J., and Park, G.A. (2013). "HSPF and SWAT modelling for identifying runoff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rice straw mulching on upland cro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55, No. 2, pp. 47-57 (in Korean). 

  5. Kim, J.H., Han, K.H., and Lee, J.S. (2008).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ants by rainfall events in rural watershe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4, No. 1, pp. 69-77 (in Korean). 

  6. Lee, G.J., Park, C.S., Lee, J.T., Zhang, Y.S., Jin, Y.I., and Hwang, S.W. (2005). Reduction of soil loss by rod culture of rye and corn on radish in Daegwallyeong highland. International symposium & conference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pp. 125 (in Korean). 

  7. Marc, D., and Richard, H. (2009). "Reduction in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first year following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grass/tree filter strip system in southern Quebec (Canada)."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Vol. 131, pp. 85-97. 

  8. Mersie, W., Seybold, C.A., McNamee, C., and Lawson, M.A. (2003). "Abating endosulfan from runoff using vegetative filter strips: the importance of plant species and flow rate."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Vol. 97, pp. 215-223. 

  9. MOE. (2006).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manual.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10. Park, Y.S., and Hyun, G.W. (2014). "Optimiz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 using VFSMOD-Wmodel and Genetic-Algorith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0, No. 2, pp. 159-165 (in Korean). 

  11. Park, Y.S., Kim, J.G., Kim, N.W., Park, J.H., Jang, W.S., Choi, J.D., and Lim, K.J. (2008). "Improvement of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module in SWAT using VFSMOD-W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4, No. 4, pp. 473-479(in Korean). 

  12. Patzold, S., Klein, C., and Brumer, G.W. (2007). "Run-off transport of herbicides during natural and simulated rainfall and its reduction by vegetated filter strips." Soil Use and Management, Vol. 23, pp. 294-305. 

  13. Robinson, C.A., Ghaffarzadeh, M., and Cruse, R.M. (1996). "Vegetative filter strip effects on sediment concentration in cropland runof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1, No. 4, pp. 227-230. 

  14. Seo, J.H., and Choi, K.S. (2013).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s effects of VFS system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pland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5, No. 4, pp. 123-131 (in Korean). 

  15. Shin, E.S., Choi, J.Y., and Lee, D.H. (2001).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urface runoff from rural area." Journal ofKorean Society onWater Quality, Vol. 17, No. 3, pp. 299-311 (in Korean). 

  16. SNU R&DB Foundation. (2008). A study on the developing management guidelines for construction sites need to report the NPS reduction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17. Tahiro S. (2007). "Reddish sediment control by grass strip and buckwheat cultivation." Journal of Japanese Agriculture and Rural Engineering, Vol. 75, pp. 156-167. 

  18. Yu, Y.S., Park J.Y., Kim, H.J., Kim, S.B., and Kim, S.J. (2012). "Improvement of stream water quality by apply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to Chungjud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54, No. 1, pp. 55-6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