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의 대형 주거단지 '그랑 앙상블'의 실패와 그 재생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ilure of Grands Ensembles of France and on the Methods of Renovatio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5, 2014년, pp.113 - 124  

손세관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ands ensembles, or large-scale high-rise housing projects, are widely regarded as notorious products of postwar French government policy in the area of housing and urban planning. There was a general consensus that the grands ensembles had been a 'failure'. They were perceived as the source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차세계대전 이후 ‘실패한’ 단지로 판명된 주거단지의 공통적 특징은? 이차세계대전 이후에 세계 곳곳에서 건설된 주거단지들 중에서 ‘실패했다’고 판명된 사례가 많다. ‘실패한’ 단지들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은 졸속한 결정, 획일적 계획, 큰 규모, 그리고 빠른 속도로 건설되었다는 점이다.1)이런 주거환경들은 거칠고, 안전하지 못하며, 역사적 가치가 없으므로 사람들은 그곳을 ‘내 장소’라고 생각하면서 아끼고 속하려 하지 않는다.
이차세계대전 이후 대량건설 위주의 주택정책이 실패했음을 입증하는 증거 세 사례는? 이 연구는 2013년에 발표된 ‘근대 집합주거의 실패요인에 관한 연구’에 연이은 후속연구다.3) 세인트루이스(St. Louis)에 건설된 ‘프루이트-이고(Pruitt-Igoe)’ 단지와 암스테르담의 ‘베일메르메이르(Bijlmermeer)’ 단지를 다룬 이전 연구에 이어 여기서는 프랑스의 ‘그랑 앙상블’을 바라보았다. 이 세 사례는 이차세계대전 이후 대량건설 위주의 주택정책이 실패했음을 입증하는 증거로서 자주 언급되어 왔다.
주거단지로서 실패한 환경에 대해 프랑스 정부의 노력은? 둘째는, 그랑 앙상블이 실패로 평가된 이후 프랑스 정부에 의한 회복의 노력과 그 방법론들을 파악하려고 한다. 실패한 환경에 대하여 프랑스 정부에서는 ‘내 집 만들기(résidentialisation)’라는 수법을 동원하여 기존의 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새로운 모습과 내용을 부여하려는 노력을 했다. 여기서는 그 재생수법의 특징을 구체적 으로 살펴보려고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우창. (2014). 깊은 마음의 생태학. 서울: 김영사. 

  2. Ardagh, J. (1983). France in the 1980s. New York: Penguin Books. 

  3. Baek, C. H., & So, K. S. (2010). Study on Historical Development Housing Renovation Policy in Fran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4), 29-36. 

  4. Bertrand M. (1964). Le Confort des Logements Paris en 1954. La Vie Urbaine, 3, 23-314. 

  5. Brolin, B. (1976). The Failure of Modern Architectur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6. Blake, P. (1977). Form Follows Fiasco: Why Modern Architecture Hasn't Worked. New York: Little Brown & Co. 

  7. Castells, M. (1983). The City and the Grassroot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Chdiac, S. (2009). A la maison dans mon HLM... La rsidentialisation comme dispositif de rnovation urbaine. Mtropoles, 5, 12-21. 

  9. Chombart de Lawe, P. H. (1962). Problmes Psychosociologiques poss par la Vie dan les Grand Ensembles. SantMentale, 3-4, 1-12. 

  10. Davis, S. (1977). House Versus Housing, in Davis S. (ed.). The Form of Housing.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42. 

  11. Duquesne, J. (1966). Vivre Sarcelles?. Paris: ditions Cujas. 

  12. Evenson, N. (1979). Paris: A Century of Change, 1878-1978. New Heaven: Yale University Press 

  13. Lang, J. T. (1980). The Built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Architectural Determinism Reexamined, VIA: Architectural Journal of Graduate School of Fine Art. University of Pennsylvania, 4, 146-153. 

  14. Lucan J. (2001). Architecture en France 1940-2000: Histoire et thories, Paris: Groupe Moniteur; 한지형 외 3인 (역). (2006). 프랑스 현대건축의 역사와 이론 1940-2000. 서울: 시공문화사. 

  15. Newsome, W. B. (2004). The Rise of the Grands Ensembles: Government, Business, and Housing in Postwar France. The Historian, 66, 807-814. 

  16. Norberg-Schulz C. (1993). The Concept of Dwelling. New York: Rizzoli. 

  17. Maziol, J. (1962). Introduction Urbanisme. 75, 76. 

  18. Masboungi A.(ed.). (2002). Projets Urbains en France. Paris: Editions du Moniteur. 

  19. Masboungi, A. et al. (2005). Rgnrer les grands ensembles. Paris: Editions de la Villette. 

  20. Moudon, A. V. (1994). Getting to Know the Built Landscape: Typomorphology, in K. A. Frank et. al., Ordering Space: Types in Architecture and Design.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289-311. 

  21. Panerai, P. (2005). Faire une banlieue ordinaire et belle, in Masboungi, A. et al. Rgnrer les grands ensembles. Paris: Editions de la Villette, 25-27. 

  22. Phillips, P. (1987). Modern France: Theories and Realities of Urban Planning,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3. Rambert, C. (1956). L'Habitat collectif, probme urbain. Paris: Vincent, Fral et Cie. 

  24. Rainwater, L. (1970). Behind Ghetto Walls: Black Families in a Federal Slum. Chicago: Aldine Publishing. 

  25.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26. Rochfort, C. (1962). Children of Heaven. New York: D. McKay Co. 

  27. Sarfati, A. (2005). Insuffler de la valeur, in Masboungi, A. et al. Rgnrer les grands ensembles. 34-35. 

  28. Schein, I. (1970). Paris Construit. Paris: Vincent, Fral et Cie. 

  29. Sohn, S. K. (2013). A Study on the Causes of Failure of the 'Failed' Modern Housing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6), 151-161. 

  30. Urban, F. (2012). Tower and Slab: Histories of Global Mass Housing. Abingdon. Oxon: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