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단지계획 기본구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물리적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
The Determinant Factors of Basic Concept in the Residential Site Planning - Focus on Physical Planning Elements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2, 2017년, pp.67 - 74  

조성학 (한국토지주택공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of basic concept that planners should consider in planning process. For this purpose, we have proposed the determinant factors of basic concep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physical planning elements among the various planning ele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본구상 결정요인은 영역별로 제시되었으므로 이를 실제 사례지구에 적용시켜 기본구상에 통합된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지구인 인천비봉 지구의 A2블럭에 결정요인을 계획요소별, 영역별로 적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기본구상의 계획적 접근은 계획가의 영역이나 최종 결과물은 물리적 환경으로 나타나므로 물리적 계획요소를 연구하여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단지계획 수립과정 중 계획착수의 첫 단계로서 단지의 전체적인 개발방향과 계획개념 및 계획적 틀을 설정하는 기본구상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깊게 다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본구상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여 계획가가 기본구상 수립시 고려해야 할 주거단지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주거단지계획 수립시 기본구상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4년간 LH 공동주택단지 현상설계지구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영역을 각 성격에 따라 구분한 후 사례조사를 통해 기본구상단계에서 검토되는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 중첩영역의 계획방향 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주거단지를 도시영역과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 라는 도시 영역 연계 정도, 둘째, 단지경계부와 접한 가로와 주거동 및 부 대복리시설을 도시맥락과 어떻게 중첩시킬것인가? 라는 생활가로 중첩 정도. 셋째, 도시와 단지를 공간적으로 매개하는 단지 경계부 가각이나 접점부를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 라는 접점부 연계 정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단지계획에서 '기본구상'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주거단지계획에서 기본구상이라 함은 에서와 같이 계획초기에 단지의 계획여건을 고려하여 물리적 환경의 커다란 틀을 정하는 계획행위 중 하나이며 도시환경속에 존재하는 단지의 공간적 이용과 주거동 및 부대 복리시설의 계획과 배치에 대한 방향과 계획개념을 정립하는 주요한 의사결정단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기본구상은 도시환경을 감안, 주요개발방향을 결정하고 바람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주거단지의 기본틀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실제적인 환경과 잠재적 환경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즉 계획가는 계획가에 의해 구축된 한계내에서 잠재적 환경(Potential environment)을 만들어 내고 사용자는 실제적인 환경(Effective environment)을 이용 또는 조정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들 두 환경은 각각 계획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참여하지만은 서로 교류함으로써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특성에 따라 독립적인 영향을 받아 환경간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거단지는 계획가가 만들어내는 환경을 사용자가 이용하면서 상호작용을 하는 체계라는 관점에서 물리적 환경을 기본구상의 계획대상으로 검토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partment research association (2007). Residential site planning. Seoul: Dong Nyeok. 

  2. Feguson F. (1975). Cities and the systems approach. Michigan: George Braziller, Inc. 

  3. Hong, S.C. (2005).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ite planning and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plan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City University, Seoul, Korea. 

  4. Jang, S.H., & Bae, W.K. (2010). The site planning trend appeared in housing complex competition. Proceedings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pp. 332-340), Seoul, Korea. 

  5. Jang, Y. H. (2006). A study on the analysis and method of apartment housing complex plan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N.K. (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apartment building design in the competition design of apartment hou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7. Lee, S.Y. (2007).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ition design of apartment housing since 2000.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8. LH (2013-16). LH competition library collection for housing. Bundang and Jinju: LH. 

  9. Park, I. S. (2016). Changes in urban and housing development conditions and challenges of public rental housing design, seminar for 1 million long-term rental housing, p. 47, Seoul, Korea 

  10. Nishiyama, U. (1941). Separation of eating and sleeping quarters in small house. Architectural Magazine, 127. 

  11. Wade, J. W. (1977) Architecture, problems and purpose. New York: John Wil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