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자생 석곡 메탄올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Korean Native Dendrobium moniliforme Methanol Extract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2 no.5, 2014년, pp.331 - 338  

정호경 (전남한방산업진흥원) ,  장지훈 (전남한방산업진흥원) ,  고재형 (전남한방산업진흥원) ,  강병만 (전남한방산업진흥원) ,  여준환 (전남한방산업진흥원) ,  조정희 (전남한방산업진흥원) ,  조현우 (전남한방산업진흥원) ,  빈철구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  김성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 출장소) ,  정원석 (전남한방산업진흥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drobium moniliforme (DM) is a valuable and versatile herbal medicine with the anecdotal claim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DM under various conditions with B16F10 melanoma cells and human dermal fibrobla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석곡은 농도 의존적으로 procollagen 합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 아세포에 의해 분비되어 피부주름 생성에 관여하는 MMPs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MMPs는 촉매부분에 금속을 포함하는 효소로 현재까지 약 25개 이상이 밝혀졌고, 자외선, 산화스트레스, TNF-α 등과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활성이 나타나게 된다 (Steenprot et al.
  • 본 실험에서 자생 석곡추출물이 α-MSH의해 증가된 tyrosinase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포내 tyrosinase 활성도를 확인하여 보았다.
  •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자생 석곡은 대부분 관상용으로 판매 유통되고 있으며, 산업화와 관련된 기능성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생 석곡 (Dendrobium moniliforme)의 추출물을 활용하여 미백 및 주름개선 효능을 평가하여 향후에 향장제품 소재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llagen을 분해하는 collagenase의 발현이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주름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인 이유는 무엇인가? Collagen은 진피조직을 형성하는 단백질로, 피부 탄력성은 진피조직의 두께로 결정이 된다. collagen의 형성억제나 파괴증 가는 피부탄력성을 저하시켜 주름살의 원인이 되고 있다 (Lee et al., 2003).
석곡은 무엇인가? 국내 자생 석곡은 난초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바위나 나무 위에 붙어사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며, 주요 연구로는 약용석곡으로 알려진 금채석곡 (Dendrobium nobile Lindley)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와 H2O2에 의해 손상된 신경세포 주에 대한 보호효과 그리고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효능에 대한 보고가 있다 (Kim et al., 2005; Lo et al.
Melanin 생성의 3가지 key 효소는 무엇인가? Melanin은 melanin세포에 있는 멜라노좀의 표면에서 생기는 물질로써 tyrosinase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DCT) 3개의 key 효소들에 의해 생성된다. Tyrosinase는 tyrosine을 가수분해하여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 DOPA quinone으로 변환되어 붉은 계열의 eumelanin과 갈색계열의 pheomelanin이 합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ytical Biochemistry. 72:248-254. 

  2. Choi GP, Chung BH, Lee DI, Lee HY, Lee JH and Kim JD. (2002).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i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10:399-402. 

  3. Choung MG, Hwang YS, Kim GP, Ahn KG, Shim HS, Hong SB, Choi JH, Yu CY, Chung IM, Kim SH and Lim JD. (2013). Antimelanogenic effect and whitening of anthocyanin rich fraction from seeds of Liriope platyphyll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21:361-371. 

  4. Elliott S, Hays E, Mayor M, Sporn M and Vincenti M. (2003). The triterpenoid CDDO inhibits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atrix metalloproteinase-13 and Bcl-3 in primary human chondrocytes. Arthritis Research & Therapy. 5:285-291. 

  5. Fisher GJ, Talwar HS, Lin J and Voorhees JJ. (1999). Molecular mechanisms of photoaging in human skin in vivo and their prevention by all-trans retinoic acid.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69:154-157. 

  6. Hemesath TJ, Price ER, Takemoto C, Badalian T and Fisher DE. (1998). MAP kinase links the transcription factor Microphthalmia to c-Kit signalling in melanocytes. Nature. 391:298-301. 

  7. Kim DS, Jeon BK, Lim NY, Mun YJ, Lee YE and Woo WH. (2013). Ethanol extract of Dioscorea batatas stimulates procollagen production and reduces UVB-induced MMPs activity in ski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7:183-188. 

  8. Kim DH, Moon YS, Park TS, Hwang JY and Son JH. (2013). Potent whitening activity of Aruncus dioicus extract in B16F10 melanoma cell by suppression of melanin biosynthesi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1:813-820. 

  9. Kim JS, Kim JW, Kwon HS, Lim HW and Lee HY. (2013). Screening of skin whitening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by complex steaming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21:54-60. 

  10. Kim TH, Kim JM, Baek JM, Kim TW, Kim DJ, Park JH and Choe M. (2011).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19:177-184. 

  11. Kim YG, Yang GH and Cho SI.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Dendrobii herba on toxic.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55-60. 

  12. Liu JJ and Fisher DE. (2010). Lighting a path to pigmentation: Mechanisms of MITF induction by UV. Pigment Cell & Melanoma Research. 23:741-745. 

  13. Lo SF, Mulabagal V, Chen CL, Kuo CL and Tsay HS. (2004). Bioguided fractionation and isol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components from in vitro propagated chinese medicinal plants Dendrobium tosaense Makino and Dendrobium moniliforme SW.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2:6916-6919. 

  14. Lee SY, An JH and Cho HY.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MP-1 inhitor pept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68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6:60-65. 

  15. Hwang BM, Roh SS and Seo HS. (2010). Effects of Dendrobii herba and pnica granatum extract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d whitening.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3:11-13. 

  16. Olivares C and Solano F. (2009). New insights into the active site structure and catalytic mechanism of tyrosinase and its related proteins. Pigment Cell & Melanoma Research. 22:750-760. 

  17. Park HY, Kosmadaki M, Yaar M and Gilchrest BA. (2009). Cellular mechanisms regulating human melanogenesis.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66:1493-1506. 

  18. Schiaffino MV. (2010). Signaling pathways in melanosome biogenesis and patholog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42:1094-1104. 

  19. Steenport M, Khan KM, Du B, Barnhard SE, Dannenberg AJ and Falcone DJ. (2009). Matrix metalloproteinase(MMP)-1 and MMP-3 induce macrophage MMP-9: Evidence for the role of TNF-a and cyclooxygenase-2. Journal of Immunology. 183:8119-8127. 

  20. Slominski A, Tobin DJ, Shibahara S and Wortsman J. (2004).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ogical Reviews. 84:1155-1228. 

  21. Ng TB, Liu J, Wong JH, Ye X, Wing Sze SC, Tong Y and Zhang KY. (2012). Review of research on Dendrobium, a prized folk medicine.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93:1795-1803. 

  22. Thody AJ and Graham A. (1998). Does alpha-MSH have a role in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in humans?. Pigment Cell Research. 11:265-274. 

  23. Unemori EN, Bair MJ, Bauer EA and Amento EP. (1991). Stromelysin expression regulates collagenase activation in human fibroblasts. Dissociable control of two metalloproteinases by interferon-gamma.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6:23477-23482. 

  24. Wu M, Hemesath TJ, Takemoto CM, Horstmann MA, Wells AG, Price ER, Fisher DZ and Fisher DE. (2000). c-Kit triggers dual phosphorylations, which couple activation and degradation of the essential melanocyte factor Mi. Genes & Development. 14:301-312. 

  25. Bo Y, Chao J, Jian K, Wenqi C, Zhigang B and Yinsheng W. (2009). Trans-Zeatin inhibits UVB-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via MAP kinase signaling in human skin fibroblas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23:555-560. 

  26. Yoon MY, Kim JY, Hwang JH, Cha MR, Lee MR, Jo KJ and Park HR. (2007). Protec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endrobium nobile Lindl. on $H_2O_2$ -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0:63-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