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유화학공장의 소화설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Petrochemical Plan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8 no.5, 2014년, pp.14 - 22  

김봉훈 (울산광역시 동부소방서) ,  최재욱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  임우섭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유화학공장에서 화재 폭발사고는 매년 반복되고 있으나 화재 방호시스템에 관한 국내 법규는 최악의 화재 시나리오에 대응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공장에서 국내외 화재 방호시스템의 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울산국가산업단지 석유화학공장 32개소의 소화설비 현황을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석유화학공장에서 소화용수는 최악의 화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하고 고정식 물분무 설비, 고가 모니터 노즐, 워터커튼 설비, 대용량 포모니터 설비와 같은 소화설비가 최악의 화재 시나리오에 대비하여 설치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carbon fires and explosions in petrochemical plants have occurred repeatedly every year. But domestic law of fire protection system is insufficient for the worst case scenario. In this study, we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fire protection system in petrochemical plants and surv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 국내 법규, 미국방화협회(NFPA) 코드 및 선진사의 소화설비 기준 등을 비교 분석하고 울산국가 산업단지 석유화학업체 32개사에 대한 소화설비 현황 및 안전관계자의 의견을 조사하여 석유화학공장의 소화용수 및 소화설비의 개선점을 파악하고 실효성 있는 소화설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OSHA GUIDE P-43-2002, "Guide for Design of Fire Water Supply and Maintenance of Fire Pumps in Chemical Proces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2). 

  2. API RP 2001, "Fire Protection in Refineries",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2012). 

  3. API RP 2030, "Application of Fixed Water Spray Systems for Fire Protection in the Petroleum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2005). 

  4. NFPA 11, "Standard for Low-, Medium-, and High Expansion Foam", National Fire Protection Agency (2010). 

  5. NFPA 15, "Standard for Water Spray Fixed Systems for Fire Protec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gency (2012). 

  6. NFPA 30,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National Fire Protection Agency (2012). 

  7. H. W. Park, J. H. Cho, S. Y. Mun, C. H. Park, C. H. Hwang, S. C. Kim and D. G. Nam,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s for the Fire Model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8, No. 1, pp. 31-36 (2014). 

  8. H. S. Lee, "A Study on the Fire Protection System for Petroleum Industry", Journal of Fire Prevention Technology, Vol. 12, pp. 12-30 (1992). 

  9. "Symposium on the Safety of Ulsan Petrochemical Complex", Ulsan Fire Department (2006). 

  10. "Study on the Fire Prevention of Ulsan Petrochemical Complex", Ulsan Fire Department (2009). 

  11. "Symposium on the Fire Prevention of Ulsan Petrochemical Complex", Ulsan Fire Department (2010). 

  12. K. R. Kim, S. Y. Hwang and B. H. Kim,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Petrochemical Complex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1, pp. 38-4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