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 운송위험지수를 활용한 염소(Chlorine) 유통 위해성 평가
Hazard Assessment on Chlorine Distribution Use of Chemical Transportation Risk Index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2 no.6, 2014년, pp.755 - 767  

김정곤 (한화케미칼(주) 울산공장) ,  변헌수 (전남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소(Chlorine)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비가연성 물질이지만 독성, 오존층 파괴 및 활발한 반응성을 지닌 물질이며, 현대사회는 염소와 그 유도체의 사용 없이 윤택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의약품과 세정제, 방취제, 살균제, 제초제, 살충제 및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공산품의 40% 이상에 사용되고 있는 지구상의 대표적인 화학물질이다. 국내의 경우, 염소는 전국의 다양한 사업장(중소기업, 정수장, 운송회사 등)에서 취급 및 유통되고 있지만 관련 운송위험과 유해성 평가 연구가 부족하여, 국내외 염소누출 관련 사고에 대해 분석 및 염소 취급 및 유통에 대한 유해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특히 화학물질 운송위험지수를 국내 실정에 맞도록 모델화하였고, 액화 염소를 포함한 13종 화학물질의 운송위험성 모사를 통해 유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염소를 비롯한 다양한 화학물질에 대한 화학물질 운송위험지수 모델을 적용하여 정형화된 유통 유해성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ine is one of the most produced and most used non-flammable chemical substances in the world even though its toxicity and high reactivity cause the ozone layer depletion. However, in modern life, it is impossible to live a good life without using Chlorine and its derivatives since they are be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국내 화학물질 운송위험성 평가 연구가 가연성(인화성) 물질 중심의 철도 운송사고와 테러에 대비하는 예방 활동 등의관점에서 진행되고있으나, 다양한화학물질(염소를포함) 유통에 대한운송위험성평가가체계적으로이뤄지지 못하고있는현실이다[4]. 따라서 국내 여건에 적합한 화학물질 운송위험 유해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운송위험지수는 Risk Evaluation의 기본공식인 ‘위험 = 결과(영향)×빈도’를 적용하였고, 국내 여건에 맞게 세분화한 화학물질의 물질적 영향을 결과지수로, 운송빈도를 바탕으로 빈도지수로 구성하였다.
  • 실제운송자료를기반으로운송위험에대한 분류와위험의정도를 표현할 수 있는 평가 모델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여 화학물질의 특성과 운송사고의 영향 및 이송거리를 조합하여 위험을 등급화 하는 화학물질 운송위험지수(Chemical Transportation Risk Index: CTI)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국내 실제 유통 자료를 바탕으로 제시한 모델의 적절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참고로 미국 화학안전과 위험사고조사국(CSB)의 605,000건의 화학물질 사고 조사 결과 중 운송시설에의한사고가 259,000건(43%)으로 조사되었고[22], 일본의 경우에도 탱크로리 등 이송 및 기타 사고장소에서 18% 정도의 사고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 염소와 같은 위험물질의 운송 유해성을 파악하기 위해 염소에 대한 기초 자료에서부터 생산량 자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09년도 염소 생산량은 잠정적으로 135만 톤으로 조사되었다(참고로 2012년은 165만 톤으로 추정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소는 어떤 화학물질인가? 염소(Chlorine)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비가연성 물질이지만 독성, 오존층 파괴 및 활발한 반응성을 지닌 물질이며, 현대사회는 염소와 그 유도체의 사용 없이 윤택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의약품과 세정제, 방취제, 살균제, 제초제, 살충제 및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공산품의 40% 이상에 사용되고 있는 지구상의 대표적인 화학물질이다. 국내의 경우, 염소는 전국의 다양한 사업장(중소기업, 정수장, 운송회사 등)에서 취급 및 유통되고 있지만 관련 운송위험과 유해성 평가 연구가 부족하여, 국내외 염소누출 관련 사고에 대해 분석 및 염소 취급 및 유통에 대한 유해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생산된 Chlorine의 대부분은 어떻게 공급되고 있는가? 염소는 세계적인 화학회사 중심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국내도 대규모 화학회사에서 제조하고 있다. 생산된 염소의 대부분은 자가소비 및 공장 간의 배관망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생산된 염소의 일부는 살균 및 소독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전국 모든 지역에 차량을 통한 유통 및 직접적인 취급이 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현황파악이 되지 않은 상태여서 이에 대한 유통 유해성 평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염소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염소(Chlorine)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비가연성 물질이지만 독성, 오존층 파괴 및 활발한 반응성을 지닌 물질이며, 현대사회는 염소와 그 유도체의 사용 없이 윤택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의약품과 세정제, 방취제, 살균제, 제초제, 살충제 및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공산품의 40% 이상에 사용되고 있는 지구상의 대표적인 화학물질이다. 국내의 경우, 염소는 전국의 다양한 사업장(중소기업, 정수장, 운송회사 등)에서 취급 및 유통되고 있지만 관련 운송위험과 유해성 평가 연구가 부족하여, 국내외 염소누출 관련 사고에 대해 분석 및 염소 취급 및 유통에 대한 유해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Environment, "The 3rd Investigation of Distributed and Discharged Quality of Chemical, Toxic Chemicals Control Act article 17," Seoul(2007). 

  2.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The User Safety Manual of the Liquefies Chlorine (KGS 2009-179), Seoul(2009). 

  3. Chung, J. E., "Distribution Risk Review - Dow Chemical Korea Ltd.," Responsible Care Awards for Excellence in Environmental, Health & Safety Project and Public Outreach, Seoul(2002). 

  4. Kwon, T. O., Park, B. B., Roh, H. C. and Moon, I. S., "Electrochemical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from Sodium Chlorite Using 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Effect of Anode Materials," Korean Chem. Eng. Res., 48(2), 275-282(2010). 

  5. Yoo, J. H., Lee, H. S. and Ko, J. W., "Risk Assessment and Drawing Information System Based Change Management," Korean J. Chem. Eng., 28(2), 323-331(2011). 

  6. Kim, H. D., "The study on Chemical Exposure Limit - Chlorin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Seoul (2005). 

  7. http://en.wikipedia.org/wiki/Chlorine#Characteristics. 

  8. NFPA, "NFPA 49, Hazardous Chemicals Dat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Massachusetts, MA(2002). 

  9. NFPA, "NFPA 325, Fire Hazard Properties of Flammable Liquids, Gases, and Volatile Solid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Massachusetts, MA(2002). 

  10. http://www.emedicine.medscape.com. 

  11.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Institute of Gas Technology Training), The Management Course of the Chlorine Gas Handling, KGS Press, Seoul(2008). 

  12. The Chlorine Institute Inc., "Pamphlet 63 First Aid, Medical Management / Surveillance and Occupational Hygiene Monitoring Practices for Chlorine," The Chlorine Institute, Inc., New York, NY(2003). 

  13. http://www.worldchlorine.com. 

  14. http://cischem.com. 

  15. http://www.kpia.or.kr 

  16. http://www.eurochlor.org. 

  17. Bommaraju T. V., Orosz P. J., "Brine Electrolysis, In Electrochemistry Encyclopedia," Ernest B. Yeager Center for Electrochemical Sciences: Grand Island, New York, NY(2001). 

  18. Korea Soda Industry Association, The Chlorine Distributed Emergency Response Guide, Seoul(1997). 

  19. Dow Chemical, "Chemical Exposure Index Guide,"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New York, NY(1994). 

  20. Dow Chemical, "Pacific Area Guideline for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ation Risk Review and Reduction Process," Dow Chemical Pacific Limited, New York, NY(1991). 

  21.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GoAb Gas Tong-Gye: The Statistics of High Pressure Gas (KGS 2009-071), Seoul(2009). 

  22. Kim, J. G., Rhyu, J. Y., Lee, H. Y. and Byun, H. S., "A Study on the Risk Evaluation for Chemical Transportation Tank Lorry of Chemical Plants,"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Proceedings of 2003 KIChE Spring Meeting, 9(1), 1270(2003). 

  23.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Guidelines for Chemical Process Qualitative Risk Analysis," 2nd ed.,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New York, NY(2000). 

  24. Arendt J. S. and Lorenzo D. K., "Evaluating Process Safety in the Chemical Industry: A User's Guide to Quantitative Risk Analysis,"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CCPS),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New York, NY(2000). 

  25. Lees, F. P.,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1, Butterworths, London(1980). 

  26. Ministry of Environment, White Paper of Environment, Seoul(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