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올라이트와 제강슬래그에 의한 중금속과 영양염류 복합오염물질의 제거 효과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and Nutrients by Zeolite and Basic Oxygen Furnace Slag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5 no.11, 2014년, pp.13 - 19  

김용우 (Environmental Standard Management Office,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  오명학 (Coastal Development & Ocean Ener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박준범 (Department of Constructi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오순 (Coastal Development & Ocean Ener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투수성 반응벽체 공법은 지하수 오염을 정화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영양염류와 중금속 등 여러 가지 오염물질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두 가지 이상의 반응성 매질을 적용한 반응벽체공법으로 복합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매질로 제올라이트와 제강슬래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복합오염물질의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영양염류인 암모늄인산염, 중금속인 카드뮴이 혼합된 복합오염물질에 대하여 연속회분식실험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및 제강슬래그와의 반응순서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능을 분석하였다. 연속회분식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올라이트-제강슬래그 순서로 반응하는 경우 영양염류와 중금속의 복합오염물질에 대한 제거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meable reactive barrier has been recognized as the one of representative method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Reactive barrier system containing two and more reactive materials can remove multiple contaminants such as nutritive salts and heavy metals. In this study, removal eff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양염류인 암모늄과 인산염, 그리고 중금속인 카드뮴이 동시에 존재할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반응벽체공법의 반응성 매질로 제올라이트와 제강슬래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복합오염물질 제거 효과를 분석하였다. 회분식실험(batch test)을 수행하여 영양염류와 중금속의 제거능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과 영양염류의 복합오염물질 제거를 위하여 제올라이트와 제강슬래그를 반응벽체공법의 반응성 매질로써 활용하는 경우 반응순서에 복합오염물질의 제거능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카드뮴, 암모늄, 인산염의 복합오염물질에 대한 연속회분식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드뮴이 인체에 노출되면 나타나는 결과는 무엇인가? 카드뮴의 경우 사람과 접촉하여 급성중독 시 기도 및 폐를 손상시키고, 인후부 통증, 기침, 두통, 어지러움, 구토 및 호흡곤란을 일으키며 만성중독 시에는 후각 이상, 식용부진, 반복성 설사, 위장장애 및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wis et al., 1972).
제올라이트란 무엇인가?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의 규산알루미늄 수화물인 광물이며, 반응성 매질로의 적용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제올라이트는 중금속과 암모늄 등 양이온성 오염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Park et al.
투수성 반응벽체 공법이란 무엇인가? 지반 및 지하수 오염을 정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투수성 반응벽체 공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이는 지하수 흐름에 수직으로 반응성 물질을 이용한 벽체를 형성하여 오염된 지하수가 벽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응성을 가지는 매질과 오염물질을 접촉시켜 분해, 흡착 및 침전 등의 기작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거나 농도가 저감되는 기술로 지중 내 반응벽체 설치 후 운영관리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적고, 모니터링 작업 이외에 특별한 설비가 지상에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상을 계속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윤길림, 김한선 (2011), 준설토 활용공학, 도서출판 씨아이알, pp. 20-27. 

  2. ASTM (2008), Standard test method for 24-h batch-type measurement of contaminant sorption by soils and sedimentsm, ASTM D4646-03, Pennsylvania, USA. 

  3. Balkaya, N. and Cesur, H. (2008), Adsorption of cadmium from aqueous solution by phosphogypsum,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140, No. 1-3, pp. 247-254. 

  4. Blanchard, G., Maunaye, M. and Martin, G. (1984),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waters by means of natural zeolites, Water Research, Vol. 18, No. 18, pp. 1501-1507. 

  5. Dimitrova, S. and Mehanjiev, D. (2000), Interaction of blastfurnace slag with heavy metal ions in water solutions, Water research, Vol. 34, No. 6, pp. 1957-1961. 

  6. Han, R., Zoua, L., Zhaoc, X., Xua, Y., Xua, F., Lia, Y. and Wanga, Y. (2009),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of iron oxidecoated zeolite as adsorbent for removal of copper(II) from solution in fixed bed colum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149, No. 1-3, pp. 123-131. 

  7. Kim, E. H., Rhee, S. S., Lee, G. H., Kim, Y. W., Park, J. B. and Oh, M. H. (2011), Assessment of th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cadmium onto steel-making slag in simulated sea water using batch experi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7, No. 4, pp. 43-50 (in Korean). 

  8. Kim, S. K., Chung, H. I., Yu, J. and Chang, W. S. (2005), Study on absorption of heavy-metals and organic-materials for utilizing atomizing-slag to media of reactive barrier, Th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2005, pp. 2816-2819 (in Korean). 

  9. Koon, J. and Kaufman, W. (2010), Ammonia removal from municipal wastewaters by ion exchange, Water Environmental Federation, Vol. 47, No. 3, Part 1, pp. 448-465. 

  10. Lee, G. H., Kim, E. H., Park, J. B. and Oh, M. H. (2011), Estimation of the removal capacity for cadmium and calculation of minimum reaction time of BOF slag,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7, No. 10, pp. 5-12 (in Korean). 

  11. Lee, S. H., Lee, K. H. and Park, J. B. (2006), Simultaneous Removal of Cd and Cr(VI) Using Fe-Loaded Zeolite,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2, No. 4, pp. 445-450. 

  12. Lewis, G, P., Jusko, W. J. and Coughlin, L. L. (1972), Cadmium accumulation in man: influence of smoking occupation alcoholic habit and disease, Journal of Chronic Diseases, Vol. 25, No. 12, pp. 717-726. 

  13. Park, D. H., Lim, S. R., Lee, H. W. and Park, J. M. (2008), Mechanism and kinetics of Cr(VI) reduction by waste slag generated from iron making industry, Hydrometallurgy, Vol. 93, No. 1-2, pp. 72-75. 

  14. Park, J. B., Lee, S. H. and Lee, C. Y. (2002), Lab scale experiments for permeable reactive barriers against contaminated groundwater with ammonium and heavy metals using clinoptilolit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95, No. 1-2, pp. 65-9. 

  15. Park, K. S., Kim, H. S. and Chun, H. D. (2006), Application of steel-making (BOF) slag for in-situ remediation of subaqueous contaminated sediments,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Vol. 13, No. 2, pp. 310-322 (in Korean). 

  16. Weng, C. H. and Huang, C. P. (1994), Treatment of metal industrial waste water by fly ash and cement fix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0, No. 6, pp. 1470-1487. 

  17. Westerhoff, P. (2003), Reduction of nitrate, bromate, and chlorate by zero valent iron (Fe0),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29, No. 1, pp. 10-162. 

  18. Yongjie, X., Haobo, H. and Shujing, Z. (2009),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phosphate adsorption onto basic oxygen furnace slag,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62, No. 2-3, pp. 973-9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