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첫 자녀 출산 후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 자녀가치, 양육지식, 자녀미래기대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of Continuous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 A Focus on the Effects of the Values, Knowledge and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5, 2014년, pp.15 - 35  

송영주 (계명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  이미란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천희영 (고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continuous working and continuous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cognitive variables about child-rearing, using the 3r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b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 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후속출산 여부 등의 변인을 분석에서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 자녀 출산 후 3년간 취업 혹은 전업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어머니들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부모기로의 전환 후 나타나는 양육스트레스 변화와 관련 변인 간 관계에서 어머니 취업의 누적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취업유지 어머니와 전업유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양육 지식, 자녀가치, 자녀의 미래기대 변인 등의 양육관련 인지적 요인의 설명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먼저 3년간 관련변인 전체에 의한 양육스트레스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취업유지 어머니 집단에서는 설명값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전업유지 어머니 집단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첫 자녀의 출산은 부모기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부모역할 관련 변인에서 두 번째 이상의 자녀 출산 어머니와 다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 년도에 첫 자녀를 출산한 어머니들만을 대상으로 양육관련 변인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KICCE(2011)의 PSKC 데이터를 활용하여 첫 자녀 출산 후 3년간 취업유지 어머니와 전업유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를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양육지식과 자녀가치, 자녀미래기대 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전체적인 지각을 다루기 위해 자녀에 대한 기대로서 자녀 발달에 대한 기대 대신 자녀의 장기적인 미래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였다.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는 부모자녀 관계에서 부모가 갖게 되는 자녀의 미래에 대한 주관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바람을 의미한다(Cho, 2013).
  • 한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시간차원과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보이지 않아서 두 집단의 양육스트레스 차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도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 자녀 출산을 통해 부모기로 전환한 어머니 중 3년간 계속 전업 혹은 취업 상태를 유지한 경우만을 선정함으로써, 전업 혹은 취업의 누적효과에 따라 두 집단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차이가 변화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두 집단은 시간차원에 따라 양육스트레스 차이가 변하지 않아서, 전업유지 어머니는 취업유지 어머니에 비해 부모기로의 전환 첫 해부터 이미 의미 있게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보이며 이러한 집단 간 차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머니의 자녀양육 관련 인지적 요인을 양육지식, 자녀가치 그리고 자녀미래기대 등의 변인을 포함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이 자녀가 영아기를 거치는 동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하여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일정 시점에서의 취업 상태가 아니라, 첫 자녀 출산 후 3년 동안 연속적으로 취업 혹은 전업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에 따라 취업 유지 어머니와 전업유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변화를 시간차원에 따라 확인하고자 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조사 당시의 취업상태보다는 일정 기간 취업 혹은 전업 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있는 대상만을 제한 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취업여부의 효과를 누적 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 이상의 논의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리 및 지원과 관련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나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에서 운영하는 임신육아교실, 가정양육지원사업, 영유아기 부모의 교육과 상담 프로그램의 계획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전업모와 취업모는 양육스트레스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고, 자녀의 성장에 따라 이러한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관련 변인에서 차이를 보이므로 이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SKC(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에 의한 첫 자녀 출산 후 3년 동안의 종단적 자료를 기초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중 양육관련 인지적 요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자녀양육의 중요한 요인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연구대상을 취업모와 전업모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변화 양상과 어머니의 자녀양육 관련 인지적 요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의 변화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부모가 자신의 양육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녀양육에 관한 정보를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자녀에 대해 어떤 기대와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 등과 같은 양육의 인지적 요인을 기술하고 설명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Ahn, 2000; Choe, 2002; Choe & Chung, 2000; Kim, 2009; Kim, 2011, 2013; Kim & Song, 2007; Lee & Park,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 관련 요인으로서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중 자녀양육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을 다루고자 하였다.
  • 자녀에 대한 기대가 부모역할 인식 수준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Cho, 2013; Kim, 2011)에 기초해 볼 때, 첫 자녀를 출산한 부모가 자녀미래에 대해 기대가 높으면 이러한 높은 기대가 자녀행동에 대한 지각과 자녀양육 상황에 대한 정서반응에도 영향을 주어서 자신의 부모로서의 역할을 기꺼이 수용하며 자녀양육 상황에서 양육스트레스를 덜 경험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머니의 자녀양육 관련 인지적 요인을 양육지식, 자녀가치 그리고 자녀미래기대 등의 변인을 포함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이 자녀가 영아기를 거치는 동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SKC(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에 의한 첫 자녀 출산 후 3년 동안의 종단적 자료를 기초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중 양육관련 인지적 요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자녀양육의 중요한 요인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연구대상을 취업모와 전업모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변화 양상과 어머니의 자녀양육 관련 인지적 요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의 변화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녀양육의 경험이 없는 이들은 어떠한 것을 경험하게 되는가? 결혼을 한 성인은 첫 자녀의 출산으로 새롭게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자녀양육의 경험이 없는 이들은 관련 지식이나 정보도 부족하여 자녀양육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부모로서의 책임이나 부담과 함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녀양육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는 급격한 가치관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 핵가족화 및 가족유형의 다양화 등의 현대사회 현상으로 더욱 가증 되고 있다.
결혼을 한 성인은 첫 자녀의 출산으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가? 결혼을 한 성인은 첫 자녀의 출산으로 새롭게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자녀양육의 경험이 없는 이들은 관련 지식이나 정보도 부족하여 자녀양육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부모로서의 책임이나 부담과 함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전반적으로 자녀에 대한 가치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덜 느낀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자녀 가치가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다른 연구 결과를 나타내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자녀가치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서는 다른 연구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자녀에 대한 정서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모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관계를 보여 자녀에게 가치를 많이 부여할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덜 느낀다는 주장(Lim et al., 2012)이 있는 반면, 자녀에 대한 도구적 가치만이 영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Sohn, 2012). 취업모와 전업모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한 연구(Kwon, 2011)에 의하면 취업모는 자녀에게 정서적 가치를 많이 부여할수록, 전업모는 자녀에 대해 도구적 가치를 높게 부여할수록 양육스트레스를 적게 느낀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 of parenting behavior.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1-412. 

  3. Ahn, J. Y. (2000).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 Bek, Y-S. (2007). The effect stress and guilt of mothers in raising children have in their attitude of raisi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Cho, S. Y., Lee, J. H., Chun, H. Y., Shim, M. K., Hwang, H. J., & Choi, H. Y. (2014).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Seoul: Sinjeong. 

  6. Cho, Y-J. (2013). Influences of mother's expectation about children's future and parenting stress on awareness level of parent's ro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7. Choe, H. S. (2002). Effects of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of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8. Choe, H. S., & Chung, O. B. (2000).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3), 1-16. 

  9. Choi, H., Yeon, E. M., Kwon, S. J., & Hong, Y. J. (2013). A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17(2), 21-45. 

  10. Chung, H-E., & Chin, M-J. (2008). 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by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1(1), 147-164. 

  11. Chung, M., Hong, S., & Park, S. (2013).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additional childbirths of the families with one child.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1), 259-277. 

  12. Collins, M. E. (1992). Parent's cognition and development changes in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43, 79-93. 

  13. Crinic, K., & Acevedo, M. (1995).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2nd ed., pp. 277-297).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Crinic, K., & Booth, C. L.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3, 1042-1050. 

  15. Crinic, K., & Low, C. (2002).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5):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pp. 243-267). Hilllsdale, NJ: Erlbaum. 

  16. Eom, J-W. (2011). Predictable variables for parenting stress in Korean mothers of infants: Focu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ant's characteristics,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arital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Forgays, D. K., Ottaway, S. A., Guarino, A., & D'Alessio, M. (2001). Parenting stress in employed and at-home mothers in Italy.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 22(4), 327-351. 

  18. Goodnow,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s and methods from develop 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9, 286-320. 

  19. Gross, D., Conrad, B., Fogg, L., & Wothke, W. (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ho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207-215. 

  20. Hashimi, H. A., Khurshid, L., & Hassan, I. (2007). Maternal adjustment, stress and depression among working and nonworking women. Internet Journal Med Update, 2(1), 1-11. 

  21. Hunt, J. M., & Paraskevopoulos, J. (1980).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the inaccuracy of their mothers' knowledge of their abilitie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6(2), 285-298. 

  22. Kim, E-J., & Seo, Y-H. (2012). A study on child rearing experience of stay-at-home mom with infant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7(1), 93-114. 

  23. Kim, J. K. (2012). The home environment explora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of infancy mother. The Third Korean Children Panel Investigation Conference, Seoul, Korea, 25-42. 

  24. Kim, J. M., Moon, S. M., Kim, Y. K., & Ahn, S. H. (2013).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knowledge and mother-caregiver relationship on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5), 79-98. 

  25. Kim. K. H., & Kang, K. K. (1997).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141-150. 

  26. Kim, M-J. (2011).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expectation on parenting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3), 155-170. 

  27. Kim, M-J.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liefs, expectations and parenting intellig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3), 311-332. 

  28. Kim, S.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beliefs and their childrear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2), 313-324. 

  29. Kim, Y. E., Cho, B. H., & Jung, M. J. (2007). Prevalence study of mothers' percep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Comparison between years 2002 and 2007.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3(2), 69-88. 

  30. Kim, Y., & Song, Y. (2007).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bout infants and parental str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475-493. 

  31.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2011). Preliminary analysis report of Korean Children Panel 2010. Research Report 2011-26, Retrieved from http://panel.kicce.re.kr/kor/ inquiry/03.jsp?modeview&idx6952&startPage0&listNo8&codepanelreport&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 _level0 

  32. Kwon, M. K. (2011).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7(2), 19-41. 

  33. Lee, H. 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other's attitudes in child rearing and young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8(3), 337-354. 

  34. Lee, H. J. (2013). A longitudinal study on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use of a latent growth model. The Fo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Children, Seoul, Korea, 251-271. 

  35. Lee, K. (2012). The use of child of care service and maternal variables. The Third Korean Children Panel Investigation Conference, Seoul, Korea, 137-159. 

  36. Lee, M. R. (2013).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with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4), 143-162. 

  37. Lee, S., Jeong, Y., Kim, H., Choi, E., Park, S., & Cho, N. (2005). National survey on dynamics of marriage and fertilit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8. Lee, S., & Park, S. (2012). Parenting knowledge, attributions and the perceptions of parenting roles as they relate to the parenting behaviors of mothers' towards their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9(2), 131-149. 

  39. Lee, S-S. (2006). A study on impact of the change in values on marriage and fertility behavio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6(2), 95-140. 

  40. Lim, H-J., Choi, H-J., & Lee, D-K. (2012). How emotions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parenting stress impact on parenting styles for working moms and homemaker mom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3), 225-244. 

  41. MacPhee, D. (1984). The pediatrician as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9(1), 87-100. 

  42. MacPhee, D. (2002).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Survey of child care experiences & manual (2nd ed.). Unpublished manuscript, Colorado State University. 

  43. Melson, G. F., Ladd, G. W., & Hsu, H. (1993). Maternal support network, maternal cognitions and young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4(5), 1401-1417. 

  44.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285. 

  45. Min, H., & Moon, Y. (2013). Relationship among mot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1), 43-56. 

  46. Moon, H. J. (2004).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1), 109-122. 

  47. Muslow, M., Caldera, Y. M., Pusley, M., & Reifman, A.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944-956. 

  48. Nam, J. I. (2005).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self-actualization, mother's expectation and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9. National Women's Education Center of Japan (2007).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on Home education 2005: Survey on children and the family. Saitama, Japan: Author. 

  50. Ok, K. H., & Chun, H. Y. (2012). Maternal parenting stress of infants from different income group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1), 205-221. 

  51. Ostberg, M., & Hagekull, B. (2000).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parenting stres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4), 615-625. 

  52. Reece, S. M., & Harkless, G. (1998). Self efficacy, stress, and parental adaptation: Applications to the care of childrearing families. Journal of Family Nursing, 4(2), 198-215. 

  53. Sohn, S. M. (2012).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9(1), 331-357. 

  54. Song, Y. S., & Kim, Y. J. (2008).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self-efficac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3), 181-203. 

  55. Suh, J. H., & Kim, J. K. (2012). The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infancy maternal parenting stres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3(1), 101-121. 

  56. Watson, R. I., & Lindgen, H. C. (1973). Psychology of the child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57. Yang, M., & Kim, Y. (2012). A study on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8(3), 229-247. 

  58. Yoon, H. J., & Cho, B. H. (2004). Maternal knowledge of child rearing and home environmen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59-88. 

  59. Yoon, J-W., Hwang, R. I., & Cho, H. H. (2009).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4), 294-302. 

  60. Yu, W. Y., & Lee, S. (1998). The causal relations of children's social adjustment and related variables: Focusing on the parenting stressor,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10), 65-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